광주 노후 공업지역 지속가능 산업공간으로 재편
광주시가 활력을 잃은 광주 공업지역을 지속가능 산업공간으로 재편한다.
노후한 광주 일반공업지역과 준공업지역을 공업정비구역으로 지정해 체계적 관리와 정비를 한다는 것이다.
17일 광주시는 ‘2030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에 대한 시민·전문가 공청회를 개최했다.
기본계획은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 2022년부터 시행됨에 따라 광주시가 마련한 공업단지 활성화 지원 종합계획이다.
광주 16개 산업단지 면적에서 22.1㎢를 제외한 4.2㎢가 사업 대상이다. 제외된 면적은 산단법, 문화산단법, 경제자유구역법 등의 별도 규제를 받는다. 구체적 사업 대상지는 송암·평동산단 일대, 매월유통단지, KT&G 광주공장, 기아자동차, 금호타이어 일대를 비롯해 송암TG(톨게이트) 주변 등 7곳이다.
광주시가 기본계획을 수립하면 공공과 민간이 공동사업시행자로 나서 정비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공업지역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 기업은 규제완화 특례 등의 각종 지원과 사업절차 간소화 등 인센티브를 지원받을 수 있다.
박금화 도시공간국장은 “이번 기본계획은 변화하는 산업 구조와 도시 환경에 맞춰 공업지역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체계적인 관리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아직 최종안은 아니지만 광주시가 총력을 쏟고 있는 첨단산업과 융합하는 산업을 육성해 청년들의 정주여건을 개선하고 일자리를 창출 할 수 있게 하겠다 ”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노후한 광주 일반공업지역과 준공업지역을 공업정비구역으로 지정해 체계적 관리와 정비를 한다는 것이다.
17일 광주시는 ‘2030 공업지역 기본계획(안)’에 대한 시민·전문가 공청회를 개최했다.
기본계획은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이 지난 2022년부터 시행됨에 따라 광주시가 마련한 공업단지 활성화 지원 종합계획이다.
광주시가 기본계획을 수립하면 공공과 민간이 공동사업시행자로 나서 정비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공업지역정비구역으로 지정되면 기업은 규제완화 특례 등의 각종 지원과 사업절차 간소화 등 인센티브를 지원받을 수 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