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곡작가 박조열 삶과 문학 다룬 ‘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전
ACC 내년 3월 23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
![]() ‘박조열과오장군의발톱’ 전시 포스터 |
극작가 ‘박조열’(1930~2016)은 이색적인 이력의 문인이다. 흥남 철수 작전 때 월남해 13년 간 군인으로 복무하고 예편 이후에는 극작가로 활동한 것. 1974년에 발표한 ‘오장군의 발톱’(1974년)은 대표작으로 6·25전쟁과 남북 이산가족을 모티브로 한 희곡이다.
박 작가는 지난 201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오장군의 발톱’과 ‘토끼와 포수’ 등 희곡 초고 기록물을 기증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전당장 이강현, ACC)은 11일 ‘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전을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 연다.
오는 3월 2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다양한 저술과 다수의 공연 기록물로 이루어져 있다. 1960~1970년대 공연계의 상황 등을 박조열의 활동을 소장 기록물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특히 대표작 ‘오장군의 발톱(1974년)’에는 6·25전쟁과 맞물린 개인사적 아픔이 투영돼 있다. 반공 이념이 강조된 시기에 쓰여진 이 작품은 감시와 통제의 대상이 됐다.
집필 이듬해 1975년 극단 자유극장의 초연을 며칠 앞두고 검열기구의 ‘공연 불가 판정’을 받았으며, 14년이 지난 1988년에야 ‘오장군의 발톱’은 극단 미추에 의해 초연되는 곡절을 겪었다. 백상예술대상에서 대상, 작품상, 연출상, 희곡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박 작가는 ‘연극 대본 사전 규제’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며 ‘표현의 자유’ 운동을 주도해 연극계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시는 국립극단과 아르코예술기록원 등 공연문화예술아카이브 네트워크 협의체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아르코예술기록원은 이번 전시를 위해 ‘오장군의 발톱’ 심의 대본과 구술 기록물을 제공했으며, 국립극단은 ‘오장군의 발톱’ 낭독회 공연을 전시 개막일인 11일 ACC 극장3에서 선보인다.
한편 이강현 전당장은 “이번 ‘박조열’ 전시는 소장 아카이브 외에도 외부 기관의 협조로 이뤄지게 돼 무엇보다 의미가 있다”며 “전시와 낭독 공연을 통해 박조열 작가의 삶과 시대적 배경, 대표작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다.
낭독 예매는 ACC 누리집에서 가능하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박 작가는 지난 2015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오장군의 발톱’과 ‘토끼와 포수’ 등 희곡 초고 기록물을 기증했다.
오는 3월 2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다양한 저술과 다수의 공연 기록물로 이루어져 있다. 1960~1970년대 공연계의 상황 등을 박조열의 활동을 소장 기록물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 1988 극단 미추 ‘오장군의 발톱’ 공연 장면. |
전시는 국립극단과 아르코예술기록원 등 공연문화예술아카이브 네트워크 협의체 협력을 통해 진행된다. 아르코예술기록원은 이번 전시를 위해 ‘오장군의 발톱’ 심의 대본과 구술 기록물을 제공했으며, 국립극단은 ‘오장군의 발톱’ 낭독회 공연을 전시 개막일인 11일 ACC 극장3에서 선보인다.
한편 이강현 전당장은 “이번 ‘박조열’ 전시는 소장 아카이브 외에도 외부 기관의 협조로 이뤄지게 돼 무엇보다 의미가 있다”며 “전시와 낭독 공연을 통해 박조열 작가의 삶과 시대적 배경, 대표작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전다.
낭독 예매는 ACC 누리집에서 가능하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