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백함과 우아함 ‘화첩에 무등을 담다’
조양희 전, 29일까지 광주예술의전당
![]() ‘무등기행도’ |
광주 사람들에게 무등산이 지니는 의미는 각별하다. 여러 의미로 확장되고 환기될 만큼 무등산의 장소성은 그 스펙트럼이 넓다.
어머니의 품 같은 아늑한 산, 의기와 근기가 배어 있는 산, 역사의 상흔을 묵묵히 지켜보며 치유해온 산 등 저마다 무등산에 대해 갖는 의미는 깊고 소중하다.
수묵으로 구현한 조양희 작가의 무등산은 정겨우면서도 담백하다. 등급이 없을 만큼 귀한 의미를 담은 것처럼 화폭은 편안함과 우아한 미를 발한다.
오는 29일까지 광주예술의전당 갤러리에서 진행 중인 조양희 개인전 ‘화첩에 무등을 담다’전은 먹과 붓, 물성을 극대화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한지에 수묵담채로 표현한 ‘무등기행도’는 무등의 자태와 속살 등을 세세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품에 안겨 절경과 정취를 즐기는 이들의 심상까지도 오롯이 전해올 만큼 가깝다. 무등의 의미처럼 높낮이보다 품에 안긴 숲과 나무, 기암괴석 등 존재를 알려오는 다양한 객체들을 볼 수 있다.
작가는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종이를 세우지 않고 바닥에 펼쳐서 작업하며 아무리 큰 그림이라도 밑그림을 그리지 않고 수묵의 느낌을 바로 표현하려 했다”며 “사생작업이 중요한데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착오까지도 어떻게 수습하고 완성할 것인지 고민을 했다”고 전했다.
달 밝은 밤 특유의 운치가 깃든 ‘규봉암의 밤’, 가을날 만추의 쓸쓸함과 적요를 그린 ‘환벽당의 가을’은 발묵의 효과가 잘 이미지화된 작품이다.
한편 조 작가는 광주예고를 거쳐 홍익대 미대 동양학과, 일반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했다. ‘화첩에 이야기를 담다’ 등 개인전을 비롯해 신묵회 정기전 및 국제교류전 등 단체전, 한·미·일 교류전, 해외전 등 다수 전시에 참여했다. 현재 조선대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미협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사진=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어머니의 품 같은 아늑한 산, 의기와 근기가 배어 있는 산, 역사의 상흔을 묵묵히 지켜보며 치유해온 산 등 저마다 무등산에 대해 갖는 의미는 깊고 소중하다.
수묵으로 구현한 조양희 작가의 무등산은 정겨우면서도 담백하다. 등급이 없을 만큼 귀한 의미를 담은 것처럼 화폭은 편안함과 우아한 미를 발한다.
한지에 수묵담채로 표현한 ‘무등기행도’는 무등의 자태와 속살 등을 세세하게 묘사한 작품이다. 품에 안겨 절경과 정취를 즐기는 이들의 심상까지도 오롯이 전해올 만큼 가깝다. 무등의 의미처럼 높낮이보다 품에 안긴 숲과 나무, 기암괴석 등 존재를 알려오는 다양한 객체들을 볼 수 있다.
![]() ‘식영정-광주호에서 송강 정철을 보다’ |
달 밝은 밤 특유의 운치가 깃든 ‘규봉암의 밤’, 가을날 만추의 쓸쓸함과 적요를 그린 ‘환벽당의 가을’은 발묵의 효과가 잘 이미지화된 작품이다.
한편 조 작가는 광주예고를 거쳐 홍익대 미대 동양학과, 일반대학원 동양화과를 졸업했다. ‘화첩에 이야기를 담다’ 등 개인전을 비롯해 신묵회 정기전 및 국제교류전 등 단체전, 한·미·일 교류전, 해외전 등 다수 전시에 참여했다. 현재 조선대에 출강하고 있으며 한국미협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사진=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