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을 통해 만나는 다채로운 도시문화
  전체메뉴
예술을 통해 만나는 다채로운 도시문화
ACC, 하반기 인문강좌 7월~11월…ACC 극장 3서 진행
웹툰, 영화, 시, 음악, 사진 등 주제로 전문가 초청 강연
2024년 07월 18일(목) 16:50
상반기 인문강좌 당시 김봉중 역사학자가 ‘세 도시로 읽는 미국사’를 강연하는 장면.
웹툰, 영화, 시, 음악, 사진 등.

예술과 도시의 관계는 상보적이다. 도시를 배경으로 예술은 꽃을 피울 수 있었고, 예술의 활성화로 도시는 확장될 수 있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전당장 이강현, ACC)이 올해의 주제를 도시에 초점을 두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가운데, 하반기에 예술과 도시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인문 강좌를 마련했다.

상반기 인문강좌 당시 정우철 작가가 ‘화가가 사랑한 빛’을 주제로 강연하는 모습.
7월~11월(마지막 주 수요일 오후 7시) ACC 극장3에서 열리는 이번 강좌 주제는 ‘예술을 통해 본 도시문화’. 일반인들이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웹툰을 비롯해 영화, 시, 음악, 사진 등이 모티브다.

먼저 오는 31일에는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작가 무적핑크(변지민)이 강사로 나선다. 최고 조회수 200만회를 기록할 만큼 폭발적 인기를 끌었던 ‘조선왕조실톡’ 등을 토대로 ‘K-역사도 케이팝이 될 수 있을까’를 이야기할 예정이다.

무적핑크는 강연에서 일본, 대만, 중국 등에 수출한 웹툰 ‘조선왕조실톡’, ‘세계사톡’, ‘삼국지톡’의 사례를 매개로 강연한다. 유사한 역사를 공유하지만 관점이 상이한 동북아시아 독자들을 만나며 얻은 식견과 가치관 등은 새로운 감성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8월 28일에는 영화 전문 저널리스트 이지혜 씨(MBC 라디오 ‘별이 빛나는 밤에-영화의 밤’ 진행자)가 자신의 인생 영화에서 발견한 도시의 얼굴과 욕망을 풀어낼 예정이다. 텍스트로는 영화 ‘1987’을 비롯해 ‘퍼펙트 데이즈’, ‘건축학개론’, ‘존윅4’ 등이다.

시를 모티브로 기후위기 극복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는 시간도 있다. 9월 25일에는 시인인 나희덕 서울과학기술대 교수가 ‘기후위기 시대,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를 주제로 시민들을 만난다. 나 시인은 인간과 자연 관계에 대한 사유와 공존의 방식에 초점을 두고 예술의 실천적 방향 등을 이야기한다.

198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뿌리에게’로 등단한 나 시인은 ‘그곳이 멀지 않다’, ‘가능주의자’, ‘파일명 서정시’ 등 다수 창작집을 펴냈다.

클래식 음악을 알아보는 안우성 지휘자의 ‘음악을 통한 취향의 발견’은 오는 10월 30일 진행된다. 안 지위자는 그동안 JTBC ‘톡파원 25시’ 등 다수 방송과 강연 등에 출연하며 일반인들이 클래식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 역할을 펼쳤다. 독일, 이탈리아, 영국에서 오페라 ‘마술피리’, ‘어린이와 마법’, ‘비밀 결혼’ 등에 주역으로 출연한 바 있으며 독일 프라이부르크 국립 음대 석사과정과 최고 연주자 과정을 졸업했다.

미 주류 언론에서 33년간 포토 저널리스트로 역사적 현장을 앵글에 담아온 강형원 사진가의 강연도 있다. 마지막 11월 27일에는 ‘사진으로 보는 한국인의 정체성 발견’을 주제로 강 사진가가 우리의 정체성을 시각 자료를 통해 들려줄 예정이다. 퓰리처상을 두 번 수상하기도 했던 그는 디지털 시대 만국 공통어인 사진으로 이야기와 콘텐츠를 접목한 강연을 펼쳐오고 있다.

5개 강좌 동시 수어통역이 진행되며 참가비는 무료. 강연 당일 ACC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중계도 한다.(신청은 ACC 누리집에서 가능)

한편 이강현 전당장은 “ACC는 지금까지 다양한 주제의 문화와 예술에 대한 인문강좌를 펼쳐왔다”며 “이번 하반기 강좌도 웹툰, 영화, 시, 음악, 사진 등 대중과 친근한 주제로 구성돼 있어 흥미와 재미가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박성천 기자 skypark@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