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군 총격에 숨진 박현숙 열사 추모비 44년 만에 건립
모교 광주 송원여상 교정에 제막
![]() |
5·18 당시 주남마을 마이크로버스 총격 사건의 희생자인 박현숙(18·송원여상 3학년) 열사를 기리기 위한 추모비가 건립됐다.
박 열사의 모교인 광주 송원여자상업고교는 20일 교정에서 ‘박현숙 열사 추모비’ 제막식을 열었다.
박 열사는 항쟁 기간 계엄군 총격에 숨진 시민군들의 시신을 수습해 입관하는 일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박 열사는 1980년 5월 23일 옛 전남도청 지하실에서 시신을 수습하던 중 화순으로 관을 구하러 갔다가 버스를 향한 계엄군의 무차별 사격에 의해 숨졌다.
제막식에는 송원여상 오준환 교장, 원순석 5·18 기념재단 이사장, 박 열사의 유족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비에는 ‘꽃다운 꿈이 스러지고 아려오는 슬픔과 절망의 세월을 건너 불어오는 오월의 바람, 이제는 희망이다’는 문구가 담겼다.
박 열사의 언니인 박현옥 전 5·18유족회 사무총장은 “44년 소망이었던 추모비를 세워 마음을 빚을 덜어낸 것 같다”며 “유족의 역할을 학교가 대신해줘 너무나 감사하다”고 말했다.
한편 보훈부는 지난 18일 열린 제44주년 5·18민주화운동 정부기념식에서 학생 희생자를 조명하기 위해 상영한 기념공연 영상에서 박금희 열사 대신 박 열사의 생전 사진을 사용해 빈축을 샀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박 열사의 모교인 광주 송원여자상업고교는 20일 교정에서 ‘박현숙 열사 추모비’ 제막식을 열었다.
박 열사는 항쟁 기간 계엄군 총격에 숨진 시민군들의 시신을 수습해 입관하는 일을 도운 것으로 알려졌다.
제막식에는 송원여상 오준환 교장, 원순석 5·18 기념재단 이사장, 박 열사의 유족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추모비에는 ‘꽃다운 꿈이 스러지고 아려오는 슬픔과 절망의 세월을 건너 불어오는 오월의 바람, 이제는 희망이다’는 문구가 담겼다.
박 열사의 언니인 박현옥 전 5·18유족회 사무총장은 “44년 소망이었던 추모비를 세워 마음을 빚을 덜어낸 것 같다”며 “유족의 역할을 학교가 대신해줘 너무나 감사하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