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정신 헌법 수록 절호의 기회 살려야
[5·18 민주화운동 제44주년]
尹, 취임 후 3연속 기념식 참석…헌법 수록 언급 없어 아쉬움
여야 지도부 대거 광주 찾아 “초당적 협력·반드시 개헌” 약속
尹, 취임 후 3연속 기념식 참석…헌법 수록 언급 없어 아쉬움
여야 지도부 대거 광주 찾아 “초당적 협력·반드시 개헌” 약속
![]()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기념식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유가족 대표 등이 손에 손을 잡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하고 있다. <광주·전남사진기자단> |
5·18 민주화운동 제44주년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등이 광주를 찾았지만 여전히 ‘오월 정신 헌법전문 수록’에 대한 명확한 약속은 없어 지역민들의 아쉬움이 컸다는 평가다.
광주시의회 젊은 정치인들은 기념식에서 ‘5·18 헌법전문 수록’이 새겨진 하얀 천을 들고 묵언의 항의를 했지만 대통령은 아무런 답변도 없었다.
지난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4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윤 대통령은 “5월 광주의 거리에 이팝나무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며 “44년 전 5월, 광주시민과 학생들이 금남로에서, 도청에서 나눠 먹은 주먹밥을 닮은 새하얀 이팝나무꽃”이라고 말했다.
또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을 위해 빠른 경제 성장과 공정한 분배를 실현함으로써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기념사에는 대선 후보 당시 자신의 공약이자 불과 한 달 전 4·10 총선 때 국민의힘 공약이었던 5·18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의 기념사 도중에는 광주시의회 5·18 특위 소속 시의원 8명이 ‘5·18 헌법 전문 수록’이 쓰인 피켓을 들고 자리에서 일어나 항의하기도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퇴장하면서 5·18 헌법 전문 수록을 언급하는 양재혁 5·18 유족회장에게 “잘 챙기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오월 어머니들과 양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며 함께 불렀다. 윤 대통령은 좌우에 착석한 유족 대표와 악수한 뒤 곧바로 국립 5·18 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된 고 박금희, 고 김용근, 고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이날 국민의힘도 3년 연속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대거 참석했다. 기념식에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전원이 참석했고, 현역 의원들은 물론이고 22대 총선 당선인과 원외 조직위원장들까지 총 117명이 모였다.
지도부·현역 의원이 29명, 당선인 23명, 원외 위원장이 65명으로 각각 추산됐다.
황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5·18정신은 헌법 정신 그 자체”라며 “(헌법 수록과 관련해) 대통령의 의지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다짐하는 논평을 별도로 냈다.
지도부는 기념식을 마친 뒤에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원외 위원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총선 평가와 당 혁신 및 호남 지역 민심 공략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는 민주당 소속인 강기정 광주시장도 배석했다.
황 위원장은 “지난 대선 때 호남의 호응이 커서 두 자릿수 지지를 받았다. 또 박정희 전 대통령 때는 (지지율이) 30%도 나왔다”면서 “그래서 ‘우리가 호남은 안 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우리가 하기 나름”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원외 위원장들을 향해 “우리가 힘을 합해 다음 선거는 반드시 원내로 진출하자고 다짐하자”며 중앙당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5·18 정신의 헌법 반영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는 점을 여러 차례 부각하며 ‘5·18 원포인트 개헌’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원 행사에 참석해 “대통령도, 국민의힘도 하겠다고 하지 않나. 진심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약속했으니 지키게 해야 한다”면서 “이번에 반드시 5·18 광주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원포인트 개헌을 꼭 해내자”라고 역설했다.
이 대표는 “나를 낳아준 생물학적 어머니는 따로 있지만 사회적으로 다시 태어나게 한 사회적 어머니는 광주”라면서 “광주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성지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의 정신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기념식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이) 대선 때 명백하게 공약했고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공약한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 한마디 말씀이 없었다”며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사기죄보다도 더 엄중한 범죄행위”라고 말했다.
/오광록·김해나 기자 kroh@kwangju.co.kr
광주시의회 젊은 정치인들은 기념식에서 ‘5·18 헌법전문 수록’이 새겨진 하얀 천을 들고 묵언의 항의를 했지만 대통령은 아무런 답변도 없었다.
또 “경제적 자유를 누리지 못하는 수많은 국민들”을 위해 빠른 경제 성장과 공정한 분배를 실현함으로써 서민과 중산층 중심 시대를 열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기념사에는 대선 후보 당시 자신의 공약이자 불과 한 달 전 4·10 총선 때 국민의힘 공약이었던 5·18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는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이어 윤 대통령은 퇴장하면서 5·18 헌법 전문 수록을 언급하는 양재혁 5·18 유족회장에게 “잘 챙기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윤 대통령은 기념식에서 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오월 어머니들과 양손을 잡고 앞뒤로 흔들며 함께 불렀다. 윤 대통령은 좌우에 착석한 유족 대표와 악수한 뒤 곧바로 국립 5·18 민주묘지 1묘역에 안장된 고 박금희, 고 김용근, 고 한강운 유공자 묘소를 찾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이날 국민의힘도 3년 연속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대거 참석했다. 기념식에는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전원이 참석했고, 현역 의원들은 물론이고 22대 총선 당선인과 원외 조직위원장들까지 총 117명이 모였다.
지도부·현역 의원이 29명, 당선인 23명, 원외 위원장이 65명으로 각각 추산됐다.
황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5·18정신은 헌법 정신 그 자체”라며 “(헌법 수록과 관련해) 대통령의 의지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날 오전에는 5·18 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위한 초당적 협력을 다짐하는 논평을 별도로 냈다.
지도부는 기념식을 마친 뒤에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원외 위원장들과 간담회를 열고 총선 평가와 당 혁신 및 호남 지역 민심 공략 방안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 자리에는 민주당 소속인 강기정 광주시장도 배석했다.
황 위원장은 “지난 대선 때 호남의 호응이 커서 두 자릿수 지지를 받았다. 또 박정희 전 대통령 때는 (지지율이) 30%도 나왔다”면서 “그래서 ‘우리가 호남은 안 된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우리가 하기 나름”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총선에서 낙선한 원외 위원장들을 향해 “우리가 힘을 합해 다음 선거는 반드시 원내로 진출하자고 다짐하자”며 중앙당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5·18 정신의 헌법 반영이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는 점을 여러 차례 부각하며 ‘5·18 원포인트 개헌’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당원 행사에 참석해 “대통령도, 국민의힘도 하겠다고 하지 않나. 진심인지 아닌지 모르겠지만 약속했으니 지키게 해야 한다”면서 “이번에 반드시 5·18 광주 정신을 헌법 전문에 수록하는 원포인트 개헌을 꼭 해내자”라고 역설했다.
이 대표는 “나를 낳아준 생물학적 어머니는 따로 있지만 사회적으로 다시 태어나게 한 사회적 어머니는 광주”라면서 “광주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성지일 뿐만 아니라 전 세계 민주주의의 정신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표는 기념식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윤 대통령이) 대선 때 명백하게 공약했고 이번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공약한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해서 한마디 말씀이 없었다”며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은 사기죄보다도 더 엄중한 범죄행위”라고 말했다.
/오광록·김해나 기자 kro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