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도 가전·자동차 전장부품 전자파 원스톱 시험인증
  전체메뉴
광주서도 가전·자동차 전장부품 전자파 원스톱 시험인증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호남 유일 현대·기아차 공식 인증기관 지정
지역업체 수개월 대기 어려움 해소…미래차 등 산업 경쟁력 확보
2023년 10월 24일(화) 19:35
광주시 북구 첨단지구 내에 있는 KETI 광주지역본부 주관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KOLAS 국제공인 시험기관)에서 한 연구원이 자동차 램프 GSM·무전기 주파수 내성 시험을 하고 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이 호남권에서 유일하게 현대차·기아 자동차 공식 시험인증기관으로 지정됐다.

이번 지정으로 가전·전력기기부터 자동차 전장부품제품까지 전자파 시험·인증이 ‘원스톱’으로 지원됨에 따라 지역 기업의 신제품·신기술 개발이 신속하게 진행되는 등 호남지역 미래차 산업 성장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4일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원장 신희동)에 따르면 광주지역본부(본부장 원광호)는 최근 현대자동차㈜와 기아㈜로부터 자동차 전장부품 관련 전자파적합성(EMC, Electro Magnetic Compatibility) 공식 인증시험기관으로 지정됐다.

현대차·기아의 전자파적합성 인정 프로그램은 전자파 신뢰성 검증체계를 구축한 외부 우수 전문시험기관을 선정해 인증서를 발급하는 제도로, 관련 인증서를 보유하지 않은 현대차·기아의 협력사(부품 제조)는 반드시 전문시험기관에서 관련 시험을 실시·통과해야 한다.

KETI 광주지역본부가 현대차·기아의 자동차 전장 분야에 있어 호남권 유일의 인증시험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앞으로 호남지역 자동차 전장부품 제조업체들은 전자파 성능시험을 지체 없이 적기에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그동안 호남지역 업체들은 전자파 성능 시험을 받기 위해 수도권 등 타 지역에 있는 시험인증 기관을 방문해 길게는 수개월씩 대기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현대차·기아는 2015년부터 공식시험기관에서 발급된 성적서만을 인정하고 있으며, 기존에는 광주 등을 제외한 전국에 총 15개의 시험기관만 등록돼 있었다. 현대차·기아는 공식시험기관제 도입 9년여 만인 올해 KETI를 포함해 3개 기관을 추가 선정했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광주지역본부는 최근 대용량 전기차의 수요가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공식시험기관 지정으로 전력기기 및 자동차용 제품에 대한 시험·인증이 모두 가능하게 됨에 따라 호남권 기업 제품에 대한 신속한 기술 지원 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KETI 광주지역본부가 주관기관으로 2017년 북구 첨단지구 내에 개소한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KOLAS 국제공인 시험기관)에서는 고압 대용량 전원설비 등 첨단 인프라를 활용한 소형, 대용량 산업용, 전력용 및 자동차 관련 전자 제품의 성능 시험·측정·분석을 원스톱(One-Stop)으로 지원하는 체계도 갖출 수 있게 됐다.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에서는 그동안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LVDC(Low Voltage DC) 기기 및 대용량 송전에 사용하는 HVDC(High Voltage DC) 기기 등의 시험을 진행해 왔으며, 배전망에 사용되는 MVDC(Medium Voltage DC) 기기의 시험·인증을 위한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등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KETI 광주지역본부 원광호 본부장은 “이번 현대차·기아 EMC 인증시험기관 지정을 통해 친환경 전기차(EV) 및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시장 진입을 앞둔 지역 산업계의 경쟁력 확보와 중소·중견 기업의 판로 개척 등에도 힘을 보탤 수 있게 됐다”면서 “특히 DC전기전자산업육성센터는 향후 직류기기를 중심으로 가전·전력기기 산업과 더불어 자동차 전장부품 산업에서도 적극적인 기업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