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회도 5·18행사위 빠졌다…공법 3단체 모두 탈퇴
“부상자·공로자회 제명 과한 조치”
![]() <광주일보 DB> |
공법단체인 5·18민주유공자 유족회(5·18유족회)까지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5·18행사위) 행사위원장단에서 공식 탈퇴했다.
5·18유족회는 최근 광주시와 5·18행사위에 ‘행사위원장단 및 행사위에서 탈퇴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43주년 기념행사에서는 활동을 하지 않은 채 행사위원장단에 이름만 올려뒀으나, 내년부터는 아예 기념행사에서 빠지겠다는 것이다.
이로써 5·18 공법 3단체 모두 5·18행사위에서 손을 떼게 됐다. 다른 두 공법단체인 5·18민주화운동 부상자회·공로자회는 지역사회의 반대 여론에도 특전사동지회와 화해 선언을 강행했다는 이유로 지난 3월 행사위원장단에서 제명됐다. 특전사동지회는 5월 강경진압에 대한 사과 없이 군복을 입고 국립묘역을 참배, 시민들의 반발을 샀다.
양재혁 5·18유족회 회장은 “두 공법단체를 5·18행사위에서 배제한 것은 과한 처사였다”며 “5·18행사위에 5·18유족회만 남아 있는 것은 자칫 공법단체들 간 분열로 비칠 수 있다”고 탈퇴 이유를 밝혔다.
이어 “5·18유족회는 5·18행사위와 어떠한 마찰도 없었다”며 “다만 5·18정신 헌법 수록, 5·18의 세계화 등 공법단체를 중심으로 풀어가야 할 과제에 힘을 모으기 위해 탈퇴를 결심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내년 제44주기 5·18전야제에서 공법 3단체와 5·18행사위가 별도로 행사를 치르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18 공법 3단체가 지난 14일 “44주년 기념행사부터는 공법 3단체와 정치색을 배제한 시민단체들이 행사를 주관해야 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5·18기념재단은 “5·18행사위와 공법3단체장들이 화합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공론의 장을 열어 5·18행사가 나아갈 길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5·18유족회는 최근 광주시와 5·18행사위에 ‘행사위원장단 및 행사위에서 탈퇴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43주년 기념행사에서는 활동을 하지 않은 채 행사위원장단에 이름만 올려뒀으나, 내년부터는 아예 기념행사에서 빠지겠다는 것이다.
양재혁 5·18유족회 회장은 “두 공법단체를 5·18행사위에서 배제한 것은 과한 처사였다”며 “5·18행사위에 5·18유족회만 남아 있는 것은 자칫 공법단체들 간 분열로 비칠 수 있다”고 탈퇴 이유를 밝혔다.
일각에서는 내년 제44주기 5·18전야제에서 공법 3단체와 5·18행사위가 별도로 행사를 치르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5·18 공법 3단체가 지난 14일 “44주년 기념행사부터는 공법 3단체와 정치색을 배제한 시민단체들이 행사를 주관해야 한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5·18기념재단은 “5·18행사위와 공법3단체장들이 화합을 위해 머리를 맞대고, 공론의 장을 열어 5·18행사가 나아갈 길을 함께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