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참여자·후손 명예회복 시켜야”
무안 ‘삼의사비’ 세운 최효섭 전 (사)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이사장
특별법 있지만 유공자 지정 등 풀어야할 숙제 산적
동학사상은 민주주의 근본정신이자 헌법정신 근간
특별법 있지만 유공자 지정 등 풀어야할 숙제 산적
동학사상은 민주주의 근본정신이자 헌법정신 근간
![]() 무안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실적비 세운 최효섭 전 (사)동학농민혁명유족회 이사장. |
“지금 동학에 참여한 사람들은 역사에 묻히고, 자손들도 자기 조상들이 참여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우리 집안과 김응문 집안 후손들은 (조상이) 동학에 참여했던 것을 명예롭게 생각하고, 그분들의 정신을 이어가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하고 계십니다.”
최근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해주최씨 삼의사(三義士) 중창비를 세운 최효섭(74) 전(前) (사)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이사장은 “전국에서 몇 안 되는 비를 세웠다는 것이 뿌듯하다”면서 “다른 집안에서도 이것을 기본 삼아서 (동학에 참여한 조상들을) 많이 발굴해서 비를 세웠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삼의사는 무안군 해제면 석용리 석산마을 태생인 민제(民霽) 최장현(문빈)과 청파(淸波) 최선현(이현) 형제 그리고 사촌 춘암(春菴) 최기현 등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세 분을 일컫는다. 함평향교까지 다니며 학문을 익히던 지식층이었지만 동학농민혁명에 적극 뛰어들었다. 1894년 11월 중순, 나주성을 공략하기 위한 고막포 전투에서 패한 후 고향에서 은거하다 이웃마을 주민의 밀고로 붙잡혀 나주 순사청에서 일본 토벌군에 의해 함께 죽임을 당했다. 삼의사가 돌아가시면서 남겼다는 ‘어느 당이든지 가입하지 말라’(此黨彼黨不入黨)는 말이 유훈처럼 전해지고 있다.
앞서 1973년에 손자뻘 후손과 마을주민들이 힘을 모아 ‘삼의사 실적비’를 세웠다. 이번에는 좁은 마을도로를 확장하면서 비석을 옮겨야하는 상황이 되자 증손뻘 후손과 주민들이 발 벗고 나서 새롭게 중창비와 숭모단(崇慕壇)을 마련했다. 목포대 학술조사를 통해 새로 발굴된 삼의사 사료를 중심으로 비문을 지었다. 비는 3년 전에 건립했으나 ‘코로나 19’ 확산 여파로 최근 제막식을 가졌다.
이처럼 후손들이 군사독재 시절에도 삼의사의 행적을 기리는 실적비(實績碑)를 세운 까닭은 삼의사에 대한 자긍심에서 비롯됐다. 청파의 증손인 최 이사장은 “청파 차남인 할아버지(계식)께서 어릴 적부터 손자들을 무릎에 앉혀 놓으시고 삼의사에 대해 교육을 하셨다”며 “일제강점기에 후손들은 생활이 어려워도 일본사람에게는 전답을 팔지 않았고, 마을에서 농악놀이 하는 것을 반대했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교사 출신인 최 이사장은 지난 2008년부터 무안군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회와 무안군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사무국장을 맡아 활동했으며, (사)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사무총장에 이어 선거로 이사장을 역임했다. 최 이사장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과 국가 기념일(5월 11일)이 제정돼 있지만 동학농민혁명 129주년을 맞은 현재에도 여전히 풀어야할 문제가 산적돼 있다고 말한다.
“동학농민혁명때 300여만 명이 참여해 30여만 명이 살상당했다고 합니다. 특별법에 정한대로 역적으로 몰린 그분들을 발굴해 명예를 회복시키고, 국가(독립)유공자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후손(유족)들도 찾아야 합니다. 동학사상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근본정신이고 헌법정신의 밑바탕에 깔려있다고 봅니다. 앞으로 그런 정신이 더 확산되고, 그분들이 흘린 피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조금 더 나서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
/무안=김민준 기자 jun@kwangju.co.kr
최근 동학농민혁명 지도자 해주최씨 삼의사(三義士) 중창비를 세운 최효섭(74) 전(前) (사)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이사장은 “전국에서 몇 안 되는 비를 세웠다는 것이 뿌듯하다”면서 “다른 집안에서도 이것을 기본 삼아서 (동학에 참여한 조상들을) 많이 발굴해서 비를 세웠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후손들이 군사독재 시절에도 삼의사의 행적을 기리는 실적비(實績碑)를 세운 까닭은 삼의사에 대한 자긍심에서 비롯됐다. 청파의 증손인 최 이사장은 “청파 차남인 할아버지(계식)께서 어릴 적부터 손자들을 무릎에 앉혀 놓으시고 삼의사에 대해 교육을 하셨다”며 “일제강점기에 후손들은 생활이 어려워도 일본사람에게는 전답을 팔지 않았고, 마을에서 농악놀이 하는 것을 반대했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교사 출신인 최 이사장은 지난 2008년부터 무안군 동학농민혁명 기념사업회와 무안군 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사무국장을 맡아 활동했으며, (사)동학농민혁명 유족회 사무총장에 이어 선거로 이사장을 역임했다. 최 이사장은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등의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과 국가 기념일(5월 11일)이 제정돼 있지만 동학농민혁명 129주년을 맞은 현재에도 여전히 풀어야할 문제가 산적돼 있다고 말한다.
“동학농민혁명때 300여만 명이 참여해 30여만 명이 살상당했다고 합니다. 특별법에 정한대로 역적으로 몰린 그분들을 발굴해 명예를 회복시키고, 국가(독립)유공자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리고 후손(유족)들도 찾아야 합니다. 동학사상은 우리나라 민주주의 근본정신이고 헌법정신의 밑바탕에 깔려있다고 봅니다. 앞으로 그런 정신이 더 확산되고, 그분들이 흘린 피를 인정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조금 더 나서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
/무안=김민준 기자 jun@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