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난방비 폭탄 고지서 예고…서민은 떨고 있다
  전체메뉴
2월 난방비 폭탄 고지서 예고…서민은 떨고 있다
대폭 오른 난방비·전기요금
한파에 사용량 늘어 부담 가중
자영업자·농어업인 울상
“농사용 전기료 전년의 2배↑”
2023년 01월 31일(화) 18:55
도시가스 요금이 급등한 가운데 강추위가 계속되면서 광주 동구의 한 주민이 걱정스럽게 가스계량기를 살펴보고 있다. /나명주기자mjna@kwangju.co.kr
겨울철 ‘난방비 폭탄’을 맞은 서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유난히 추웠던 이달 난방 수요가 많았다는 점에서 2월에 받게 될 난방비 고지서에 대한 불안도 감지된다. 무엇보다 대폭 인상된 전기료가 적용된 관리비 고지서도 함께 받게 될 것으로 보이면서 난방비와 전기료 부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가정용 난방과 전기를 사용하는 서민들의 부담도 늘지만, 코로나19로 침체의 늪에 빠진 상황에서 고물가로 삶이 팍팍해진 자영업자들에게는 급등한 난방비가 더 가혹한 실정이다. 농사용 전기요금 역시 크게 오르면서 농업과 양식업 등 종사자가 많은 전남지역 농어업인들도 위기에 처했다.

◇2월 난방·전기료 폭탄 고지서 날라올까=지난 31일 한국부동산원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따르면 광주지역 공동주택의 ㎡당 평균 난방비는 지난해 12월 기준 126원으로, 전년(96원)보다 28.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남지역 공동주택의 난방비는 42원에서 72원으로 71.4%나 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년 새 실질적으로 민수용(주택용·영업용) 가스요금 자체가 1.5배 이상 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달 전국 주택용 도시가스 사용량은 8555만GJ(기가줄)로, 2021년 12월(7673만GJ) 대비 11.5% 증가했다. 또 지난해 가스 도매요금은 주택용 기준으로 네 차례(4·5·7·10월)에 걸쳐 38.4% 올랐다.

산업부는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실질 난방요금이 2021년 12월과 견줘 작년 12월에 1.54배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12월 사용한 난방비가 아니다. 올해 1월 사용한 난방비를 비롯해 전기요금까지 관리비 고지서의 공공요금 부담은 더 커지기 때문이다.

올해 1월 광주·전남에는 폭설과 함께 체감온도가 영하 10도 밑으로 떨어지는 등 최강 한파가 찾아왔다. 12월보다 1월 추운 날이 더 많았다는 점에서 난방 수요가 증가해 이에 따른 난방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난방비 뿐만 아니라 전기요금 폭탄도 예고돼 있다.

우선 지난해 12월 광주지역 공동주택 ㎡당 평균 전기료는 543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 484원보다 12.2% 올랐다. 전남지역도 467원에서 545원으로 16.7% 늘었다. 지난해 4월과 7월, 10월 세 차례에 걸쳐 전기료가 kWh당 19.3원이 인상된 게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 정부가 전기료 인상을 발표하면서 올해 1분기 kWh당 13.1원 급등, 2차 오일쇼크 시기였던 1981년 이후 42년 만에 최고 인상 폭을 기록할 예정이다.

가뜩이나 올해부터 전기료가 추가로 오르는 데다, 최강 한파가 찾아온 탓에 전기난로 등 난방기기 사용까지 늘었다고 가정하면 전기사용량이 대폭 늘었을 것으로 전망돼 전기료 폭탄 요금도 피할 수 없어 보인다.

◇가뜩이나 어려운데…자영업자·농어업인 죽을 맛=코로나19로 장기간 어려움을 겪어왔던 자영업자들은 최근 고물가로 고정비 지출이 증가한 상황에서 난방비에 부담에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이날 한국가스공사와 한국도시가스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업무난방용 가스 도매요금은 MJ(메가줄)당 34.69원으로, 1년 전 2021년 12월(22.01원) 대비 57.6% 급등했다.

업무난방용 요금은 주거 목적 이외의 건축물에서 난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가스 요금이다. 같은 기간 주택용 난방요금이 42.3% 오른 것보다 인상률이 높다.

특히 정부가 겨울철 난방비 폭탄이 현실화되자 취약계층과 사회적배려대상자 가구에 대한 에너지 지원 대책을 발표한 것과 달리, 자영업자에 지원책은 내놓지 않으면서 이들의 불만도 높아지고 있다.

광주시 동구에서 삼겹살 집을 운영하고 있는 김모(63)씨는 “코로나 사태 이후 적자를 감수하면서 겨우 버텨왔는데 가스비와 전기요금을 너무 가파르게 올리는 것 아니냐”며 “가뜩이나 어려운 자영업자들에게 너무 가혹한 것 아니냐”고 토로했다.

원자잿값 폭등과 잦은 이상기후, 농산물 수급 불안 영향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지역 농어업인들도 전기요금 인상에 울상이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월과 10월 두 차례에 걸쳐 kwh당 12.3원 정액 인상됐고, 농사용(갑)은 74%, 수산업에서 사용하는 농사용(을)은 34%까지 인상됐다.

교육용·산업용 등 다른 산업의 평균 인상률 13.8%에 비해 농사용 전기요금 인상률이 상대적으로 높아 농어업인들의 부담이 커졌다. 여기에 올해부터 농사용 전기요금도 3년간 세 차례에 걸려 11.4원 더 오른다.

실제 한국전력의 ‘지역본부별 전기요금 체납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광주·전남에서 농사용 전기요금을 2개월 이상 체납한 호수는 1만3756호로, 전년 말(8246호)보다 66.8%(5510호) 급증했다.

장흥군 관산읍 송촌리에서 6만6115㎡(2만평) 규모 벼농사를 짓는 권영식(55)씨는 “논에 물을 퍼 나르는 펌프에 쓰는 농사용 전기요금이 지난해 100만원 넘게 들었는데, 이는 전년의 2배 넘는 수준”이라며 “2년 전 면세유를 쓰는 데 900만원이 들었는데, 지난해에는 2300만원이 나갔다. 갈수록 농사 짓기 어려운 상황에서 전기요금의 급격한 인상은 농민들의 부담만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