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일보 문화예술 매거진 4월호 예향 나왔다
세계유산 전남 갯벌, 어떻게 사랑할까?
전남도립미술관·리움미술관 순회전 현장
전남도립미술관·리움미술관 순회전 현장
![]() |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신안·무안 갯벌과 보성·순천 갯벌에 봄이 찾아 왔다. 갯벌 생물들도 하나둘 겨울잠에서 깨어 봄소식을 전하는 시간이다.
광주일보가 발행하는 문화예술매거진 ‘예향’ 4월호는 특집 ‘전남 갯벌, 어떻게 사랑할까?’를 준비했다. 과거 간척대상지로 여겨지던 갯벌이 현재 오염 정화기능과 탄소 저장능력 등 생태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갯벌 보전대책과 현명한 이용에 대해 살펴본다.
예향 초대석 주인공은 천득염 한국학호남진흥원장이다. ‘지역민과 함께 하는 한국학 진흥과 민족문화 선양’. ‘전라도 정명(定名) 천년’을 맞아 광주시와 전남도의 공동 출자로 지난 2018년 4월 개원한 (재)한국학호남진흥원의 비전이다. 최근 취임한 제 2대 천득염 원장의 호남진흥원 운영 포부와 필생의 연구주제로 다뤄온 전통건축과 불탑(佛塔), 소쇄원 이야기를 들어본다.
따뜻한 봄날 떠나는 ‘남도 오디세이 美路味路’ 여행지는 2000년 역사가 살아 숨 쉬는 문화예술·관광의 도시 나주다. 나주에는 ‘잃어버린 역사’ 마한(馬韓) 왕국의 고분이 산재해 있고 금성관과 내아(內衙) 등 조선시대 관아가 잘 보존돼 있다.
잠사공장과 정미소 등 일제 강점기 산업시설은 복합 문화예술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나주평야가 선물한 고품질 쌀을 이용해 만든 쌀빵, 쌀면, 쌀과자 등은 지역민들의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미래 ‘호남의 중심도시’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를 꿈꾸는 나주에서 봄날을 만끽해본다.
‘클릭, 문화현장’은 전남도립미술관 리움미술관 순회전 현장으로 안내한다. 지난해 3월 옛 광양역사에 개관한 전남도립미술관이 코로나 19로 매화꽃축제를 개최하지 못한 광양으로 관광객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국내 최고의 사립미술관인 리움미술관과 공동으로 ‘인간, 일곱개의 질문’ 기획전을 열어 현대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조지 시걸, 알베르토 자코메티, 앤디워홀 등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어서다. 유례없는 전 세계 팬데믹 상황에서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리움미술관 순회전으로 문화나들이를 떠나보자.
광주시 동구에 카페와 미술관이 함께 운영되는 예술공간 ‘카페미술관’을 찾았다. 2020년 6월 문을 연 이곳은 1층 카페와 2층 미술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매주 금요일이면 카페는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4월에 떠나는 광주 한바퀴 나들이 테마는 ‘MICE(마이스) 파크’다. MICE는 Meeting(회의), Incentive tour(포상관광), Convention(컨벤션), Exhibition(전시회) 영문 머릿글자를 딴 용어로 국제·기업회의, 관광, 컨벤션, 전시박람회, 그 외 여러 행사를 포괄하는 산업을 말한다. 광주시는 2018년 마이스 산업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무지구내 ‘김대중국제회의복합지구’를 지정하고 누구나 편히 오가는 일상 속 공원과 같은 곳으로 만들겠다는 의미를 담아 ‘광주마이스파크’라 이름지었다. 광주의 마이스파크 일대와 주변 명소들을 찾아 봄나들이를 떠난다.
이외에 ‘문화를 품은 건축물’은 건축보다 작품이 돋보이는 미래형 미술관인 울산시립미술관, 미술과 음악의 도시 오스트리아 빈으로 떠나는 ‘해외문화기행’, ‘한국의 산사를 가다’ 편은 한국 불교 예술의 백미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을 소개한다. ‘명가재건’의 각오로 2022 시즌을 시작한 KIA타이거즈 기대주들의 인터뷰도 읽을거리다. /이보람 기자 boram@kwangju.co.kr
광주일보가 발행하는 문화예술매거진 ‘예향’ 4월호는 특집 ‘전남 갯벌, 어떻게 사랑할까?’를 준비했다. 과거 간척대상지로 여겨지던 갯벌이 현재 오염 정화기능과 탄소 저장능력 등 생태경제적·문화적 측면에서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갯벌 보전대책과 현명한 이용에 대해 살펴본다.
따뜻한 봄날 떠나는 ‘남도 오디세이 美路味路’ 여행지는 2000년 역사가 살아 숨 쉬는 문화예술·관광의 도시 나주다. 나주에는 ‘잃어버린 역사’ 마한(馬韓) 왕국의 고분이 산재해 있고 금성관과 내아(內衙) 등 조선시대 관아가 잘 보존돼 있다.
‘클릭, 문화현장’은 전남도립미술관 리움미술관 순회전 현장으로 안내한다. 지난해 3월 옛 광양역사에 개관한 전남도립미술관이 코로나 19로 매화꽃축제를 개최하지 못한 광양으로 관광객들을 불러들이고 있다. 국내 최고의 사립미술관인 리움미술관과 공동으로 ‘인간, 일곱개의 질문’ 기획전을 열어 현대미술사에 한 획을 그은 조지 시걸, 알베르토 자코메티, 앤디워홀 등 거장들의 작품을 선보이고 있어서다. 유례없는 전 세계 팬데믹 상황에서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의 의미를 고찰해보는 리움미술관 순회전으로 문화나들이를 떠나보자.
광주시 동구에 카페와 미술관이 함께 운영되는 예술공간 ‘카페미술관’을 찾았다. 2020년 6월 문을 연 이곳은 1층 카페와 2층 미술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매주 금요일이면 카페는 공연장으로 변신한다.
4월에 떠나는 광주 한바퀴 나들이 테마는 ‘MICE(마이스) 파크’다. MICE는 Meeting(회의), Incentive tour(포상관광), Convention(컨벤션), Exhibition(전시회) 영문 머릿글자를 딴 용어로 국제·기업회의, 관광, 컨벤션, 전시박람회, 그 외 여러 행사를 포괄하는 산업을 말한다. 광주시는 2018년 마이스 산업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상무지구내 ‘김대중국제회의복합지구’를 지정하고 누구나 편히 오가는 일상 속 공원과 같은 곳으로 만들겠다는 의미를 담아 ‘광주마이스파크’라 이름지었다. 광주의 마이스파크 일대와 주변 명소들을 찾아 봄나들이를 떠난다.
이외에 ‘문화를 품은 건축물’은 건축보다 작품이 돋보이는 미래형 미술관인 울산시립미술관, 미술과 음악의 도시 오스트리아 빈으로 떠나는 ‘해외문화기행’, ‘한국의 산사를 가다’ 편은 한국 불교 예술의 백미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을 소개한다. ‘명가재건’의 각오로 2022 시즌을 시작한 KIA타이거즈 기대주들의 인터뷰도 읽을거리다. /이보람 기자 bora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