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패스 첫날 QR 먹통…“밥 먹기 힘드네” 분통
시스템 오류에 식당·카페 곳곳 혼선…불편한 고령층은 볼멘소리
수기방명록만 작성하고 학원선 방역패스 확인 않고 들여보내기도
수기방명록만 작성하고 학원선 방역패스 확인 않고 들여보내기도
![]() 방역패스 의무화가 시작된 13일 오전 광주 북구의 한 식당에서 이용객들이 방역 패스 ‘QR’ 코드를 찍고 있다. 점심 시간대를 전후로 백신 접종 확인 서비스에오류가 발생하면서 업소별로 방역 패스가 불가능한 곳이 많아 혼선을 빚었다. /최현배 기자choi@kwangju.co.kr |
“혼자 서빙하고 음식 만들고 백신접종 확인까지 하려니 몸이 열개라도 부족한데, 하필 첫 날 QR까지 먹통이라 답답해 죽겠습니다.”
‘방역패스’(백신패스) 미확인 시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되는 첫날인 13일, 광주 지역 식당·카페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점심 시간을 앞두고 직장인들이 몰리는 상황에 네이버, 카카오, 쿠브(COOV·전자예방접종증명)의 QR코드 전자증명 시스템에 오류까지 발생하면서 시민·업주 모두 큰 불편을 겪었다.
정부는 이날부터 ▲식당·카페 ▲영화관·공연장 ▲독서실·스터디카페 ▲멀티방(오락실제외) ▲피씨방 ▲(실내)스포츠경기(관람)장 ▲박물관·미술관·과학관 ▲도서관 ▲마시지·안마소 등 16개 업종의 시설을 이용하는 경우 ‘방역패스’(백신패스) 를 확인토록 했다. 접종 인증 없이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하다가 적발될 경우 이용자는 과태료 10만원, 운영자는 과태료 150만원과 10일 영업정지 처분까지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이날 QR인증 시스템의 접속 장애로 앱 접속을 시도하면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라는 문구가 뜨면서 접속 인증 절차가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점심 시간 이후에도 한참 동안 이어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하루종일 ‘먹통 인증’ 게시글이 잇따랐고 QR코드를 만들려는 손님들로 입구가 가득찬 식당·카페 등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인증 없이 이용이 제한되는 식당·카페 업주는 손님을 돌려보낼 수 없어 부랴부랴 서랍에 넣어뒀던 수기 명부를 다시 꺼내놓는가 하면, 방역패스나 QR 인증 없이 손님을 받기도 했다.
아예 방역패스 시행 첫 날임에도, 별일 없다는 듯 수기 방명록만 비치해놓고 손님을 받는 식당·카페도 눈에 띄었다.
점심시간에 둘러본 광주시 동구 일부 식당 업주들은 ‘백신접종 확인 하느냐’고 묻는 손님에게 “그냥 쓰고 들어오세요”라며 안내하기도 했다. 다른 식당도 백신 접종 확인 없이 QR인증, 안심콜만 요청하고 손님을 맞았다. 점심시간에 몰린 손님들에게 일일이 방역패스를 확인한 업소는 많지 않았다.
오후 1시께 동구 서석동의 한 카페에서는 손님 3명이 들어가자 “명부 작성이나 안심 콜 해주세요”라고 안내할 뿐 다른 확인 절차는 없었다. 비슷한 시간 동구의 한 학원도 수강생들에게 방역패스 확인을 하지 않고 들여보냈다.
자영업자들은 울화통을 터트렸다. 동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60)씨는 “방역패스를 잘 지켜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제대로 확인하려면 직원을 한 명 더 뽑아야 한다”면서 “코로나로 힘들어 인건비를 줄이려고 직원을 줄인지 얼마 안됐는데 또 다시 백신확인 때문에 인건비를 지출해야 하나”며 한숨을 쉬었다.
문행우 북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대부분 사업장이 방역패스를 지키려고 하지만 홀로 영업을 하는 소규모 자영업의 경우 막막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게 백신 접종 확인서를 보여달라고 하면 ‘백신 맞았다’며 역정을 낸다”고 하소연했다.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도 방역패스 문턱에서 불편을 겪었다. QR 인증은 익숙한데 백신 접종 확인까지 받는 절차는 낯설기만 해 “이용하기가 꺼려진다”는 볼멘소리도 터져나왔다.
한편, 이날까지 광주지역 코로나 백신 1·2차 접종률은 각각 83.2%, 80.5%로, 17만2612명(12%)이 추가 접종을 마쳤다.
전남의 경우 코로나 백신 1차 접종률은 86.2%, 2차 접종률은 83.7%, 추가 접종은 전남 인구의 17.2%가 끝냈다.
코로나19 민간전문지원단장을 맡고 있는 최진수 전남대학교 의대 명예교수는 “방역패스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과거처럼 강하화하고 공공의료 체계의 전면적 개편 등의 추가 조치도 필요하다”고 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방역패스’(백신패스) 미확인 시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과태료가 부과되는 첫날인 13일, 광주 지역 식당·카페 곳곳에서 혼란이 빚어졌다.
점심 시간을 앞두고 직장인들이 몰리는 상황에 네이버, 카카오, 쿠브(COOV·전자예방접종증명)의 QR코드 전자증명 시스템에 오류까지 발생하면서 시민·업주 모두 큰 불편을 겪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하루종일 ‘먹통 인증’ 게시글이 잇따랐고 QR코드를 만들려는 손님들로 입구가 가득찬 식당·카페 등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인증 없이 이용이 제한되는 식당·카페 업주는 손님을 돌려보낼 수 없어 부랴부랴 서랍에 넣어뒀던 수기 명부를 다시 꺼내놓는가 하면, 방역패스나 QR 인증 없이 손님을 받기도 했다.
아예 방역패스 시행 첫 날임에도, 별일 없다는 듯 수기 방명록만 비치해놓고 손님을 받는 식당·카페도 눈에 띄었다.
점심시간에 둘러본 광주시 동구 일부 식당 업주들은 ‘백신접종 확인 하느냐’고 묻는 손님에게 “그냥 쓰고 들어오세요”라며 안내하기도 했다. 다른 식당도 백신 접종 확인 없이 QR인증, 안심콜만 요청하고 손님을 맞았다. 점심시간에 몰린 손님들에게 일일이 방역패스를 확인한 업소는 많지 않았다.
오후 1시께 동구 서석동의 한 카페에서는 손님 3명이 들어가자 “명부 작성이나 안심 콜 해주세요”라고 안내할 뿐 다른 확인 절차는 없었다. 비슷한 시간 동구의 한 학원도 수강생들에게 방역패스 확인을 하지 않고 들여보냈다.
자영업자들은 울화통을 터트렸다. 동구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A(60)씨는 “방역패스를 잘 지켜야 한다는 것은 알지만, 제대로 확인하려면 직원을 한 명 더 뽑아야 한다”면서 “코로나로 힘들어 인건비를 줄이려고 직원을 줄인지 얼마 안됐는데 또 다시 백신확인 때문에 인건비를 지출해야 하나”며 한숨을 쉬었다.
문행우 북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대부분 사업장이 방역패스를 지키려고 하지만 홀로 영업을 하는 소규모 자영업의 경우 막막한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 “휴대전화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게 백신 접종 확인서를 보여달라고 하면 ‘백신 맞았다’며 역정을 낸다”고 하소연했다.
디지털 취약계층인 고령층도 방역패스 문턱에서 불편을 겪었다. QR 인증은 익숙한데 백신 접종 확인까지 받는 절차는 낯설기만 해 “이용하기가 꺼려진다”는 볼멘소리도 터져나왔다.
한편, 이날까지 광주지역 코로나 백신 1·2차 접종률은 각각 83.2%, 80.5%로, 17만2612명(12%)이 추가 접종을 마쳤다.
전남의 경우 코로나 백신 1차 접종률은 86.2%, 2차 접종률은 83.7%, 추가 접종은 전남 인구의 17.2%가 끝냈다.
코로나19 민간전문지원단장을 맡고 있는 최진수 전남대학교 의대 명예교수는 “방역패스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라며 “사회적 합의를 통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과거처럼 강하화하고 공공의료 체계의 전면적 개편 등의 추가 조치도 필요하다”고 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