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극 ‘적벽대전’ 발레 ‘호두까기 인형’ 공연
광주시립예술단 하반기 프로그램
시향, 손민수·김동현 등 협연
발레단, ‘백조의 호수’ 갈라
극단, ‘나의 살던 고향’ 무대에
소년소녀합창단, ‘어린이 정경’
시향, 손민수·김동현 등 협연
발레단, ‘백조의 호수’ 갈라
극단, ‘나의 살던 고향’ 무대에
소년소녀합창단, ‘어린이 정경’
![]() 광주시립예술단체들은 올 하반기 발레 ‘백조의 호수’, 창극 ‘적벽대전’, 낭독극 ‘양림’ 등 다채로운 무대로 시민과 만난다. 사진은 광주시립발레단 공연 모습. |
발레 ‘백조의 호수’, 창극 ‘적벽대전’, 낭독극 ‘양림’, 오페라 ‘헨젤과 그레텔’…. 올 하반기 광주시립교향악단 등 8개 광주시립예술단체들이 다채로운 무대로 시민들과 만난다.
광주문화예술회관(관장 성현출·이하 문예회관)은 최근 광주시립예술단 2021 하반기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먼저 광주시립교향악단(지휘자 홍석원)은 제356회 정기연주회 ‘음악휴가’로 하반기를 시작한다. 29일 빛고을시민문화관. 이날 공연에서는 베를리오즈 ‘로마의 사육제’, 슈만, 교향곡 제3번 ‘라인’ 등과 함께 휴가의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을 들려주며, 바이올리니스트 김동현과의 협연으로 브루흐의 ‘스코틀랜드 환상곡’을 연주한다. 다음 공연은 8월 26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열리는 제357회 정기연주회 ‘Healing in Nature’다. 오보이스트 한이제의 협연으로 윌리엄스의 ‘오보에 협주곡 A단조’를 선보이며, 슈베르트 ‘로자문데 서곡’,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을 들려준다.
이어 선보이는 정기연주회 ‘고전의 품격’은 10월 30일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만날 수 있다. 하이든의 ‘첼로 협주곡 D장조’는 첼리스트 김두민이 협연하며 브루크너의 ‘교향곡 6번’도 함께 감상할 수 있다.
11월18일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열리는 ‘마지막 유산’ 공연에서는 홍석원 지휘와 손민수의 협연으로 모차르트 ‘피아노 협주곡 27번’과 차이콥스키 ‘교향곡 6번 비창’을 연주한다.
올해 마지막 공연은 제360회 정기음악회 2021 송년음악회 ‘향연’(12월 2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1)이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을 연주하며 피아니스트 임윤찬이 협연한다.
광주시립발레단(예술감독 최태지)은 올 하반기 광주시민 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간다. 9월~10월 선보이는 특별기획공연 ‘빛의 정원’은 창작 발레와 클래식 발레를 접목해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여주는 무대로 문예회관 잔디광장과 광주시립미술관 야외무대를 비롯해 광주 도심 일대에서 펼쳐진다.
또 코로나 극복 힐링 콘서트 ‘백조의 호수’(10월16일)는 광주호호수생태원에서 선보이며, 명작발레 하이라이트 콘서트는 10월21일 광주북구문화센터 무대에 올린다. 발레단은 대표 레퍼토리인 ‘호두까기 인형’(12월 23일~26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2)으로 올 한해를 마무리 한다.
광주시립합창단(지휘자 김인재)은 하반기 두 번의 정기연주회를 준비했다. 187회 정기연주회 ‘맛깔난 우리 식탁’은 ‘늦가을 감성과 추억, 그리고 정겨운 우리 식탁’을 주제로 10월 28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열린다. 이어 선보이는 ‘올 겨울엔 뭐니 뭐니 해도’(12월 14일 문예회관 소극장)공연에서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겨울노래와 캐롤을 통해 ‘아무리 바빠도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따뜻한 행복을 느껴보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지휘자 박주현)은 ‘슈만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with 발레’를 12월 4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공연한다. 어린이다운 순수한 선율을 멜로디 삼아 음악적으로 표현한 슈만의 ‘어린이 정경’을 합창곡으로 편곡해 무대를 꾸민다.
광주시립창극단(예술감독 유영애)은 제56회 정기공연 ‘적벽대전’을 11월 5일~6일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공연한다. ‘적벽대전’은 판소리 ‘적벽가’를 창극으로 만든 작품으로 창극단은 이를 통해 판소리 다섯 바탕 모두를 창극 작품으로 완성해 의미가 있다. 12월 10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열리는 ‘송년 국악한마당’에서는 창극단 대표 레퍼토리를 송년 분위기에 맞게 선보인다.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지휘자 한상일)은 제128회 정기연주회 ‘송년음악회’를 12월 16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공연한다. 명인, 명창들의 무대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한다.
광주시립극단은 제1회 창작희곡 공모전 당선작 ‘양림(楊林)’ 낭독공연을 선보인다. 8월20일 문예회관 소극장. 이정아 작가의 작품이며 광주 근현대사의 자취가 남아있는 양림을 배경으로 주인공 요셉이 고향을 떠나 겪은 일을 다룬다. 11월 25일~27일 무대에는 제17회 정기공연 ‘나의 살던 고향’을 올린다.
광주시립오페라단은 올해 하반기 첫 공연으로 이건용 오페라 ‘박하사탕’(8월27~28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을 선보인다. 이어 오페라단 대표 레퍼토리인 ‘헨젤과 그레텔’을 광주를 비롯해 사천, 용인, 옥천 등의 무대에 올린다. 아울러 하반기 마지막 공연 ‘월드 클래식 오페라 시리즈Ⅰ’(12월3~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1)에서는 오페라 명작을 주축으로 가장 빛나는 오페라 명장면들을 모아 선보인다.
/전은재 기자 ej6621@kwangju.co.kr
광주문화예술회관(관장 성현출·이하 문예회관)은 최근 광주시립예술단 2021 하반기 프로그램을 공개했다.
![]() 손민수 |
![]() 임윤찬 |
광주시립발레단(예술감독 최태지)은 올 하반기 광주시민 곁으로 더 가까이 다가간다. 9월~10월 선보이는 특별기획공연 ‘빛의 정원’은 창작 발레와 클래식 발레를 접목해 다양한 레퍼토리를 보여주는 무대로 문예회관 잔디광장과 광주시립미술관 야외무대를 비롯해 광주 도심 일대에서 펼쳐진다.
또 코로나 극복 힐링 콘서트 ‘백조의 호수’(10월16일)는 광주호호수생태원에서 선보이며, 명작발레 하이라이트 콘서트는 10월21일 광주북구문화센터 무대에 올린다. 발레단은 대표 레퍼토리인 ‘호두까기 인형’(12월 23일~26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2)으로 올 한해를 마무리 한다.
광주시립합창단(지휘자 김인재)은 하반기 두 번의 정기연주회를 준비했다. 187회 정기연주회 ‘맛깔난 우리 식탁’은 ‘늦가을 감성과 추억, 그리고 정겨운 우리 식탁’을 주제로 10월 28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열린다. 이어 선보이는 ‘올 겨울엔 뭐니 뭐니 해도’(12월 14일 문예회관 소극장)공연에서는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겨울노래와 캐롤을 통해 ‘아무리 바빠도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따뜻한 행복을 느껴보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지휘자 박주현)은 ‘슈만과 함께하는 크리스마스 with 발레’를 12월 4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공연한다. 어린이다운 순수한 선율을 멜로디 삼아 음악적으로 표현한 슈만의 ‘어린이 정경’을 합창곡으로 편곡해 무대를 꾸민다.
광주시립창극단(예술감독 유영애)은 제56회 정기공연 ‘적벽대전’을 11월 5일~6일 빛고을시민문화관에서 공연한다. ‘적벽대전’은 판소리 ‘적벽가’를 창극으로 만든 작품으로 창극단은 이를 통해 판소리 다섯 바탕 모두를 창극 작품으로 완성해 의미가 있다. 12월 10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열리는 ‘송년 국악한마당’에서는 창극단 대표 레퍼토리를 송년 분위기에 맞게 선보인다.
광주시립국악관현악단(지휘자 한상일)은 제128회 정기연주회 ‘송년음악회’를 12월 16일 문예회관 소극장에서 공연한다. 명인, 명창들의 무대와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즐거움과 감동을 선사한다.
광주시립극단은 제1회 창작희곡 공모전 당선작 ‘양림(楊林)’ 낭독공연을 선보인다. 8월20일 문예회관 소극장. 이정아 작가의 작품이며 광주 근현대사의 자취가 남아있는 양림을 배경으로 주인공 요셉이 고향을 떠나 겪은 일을 다룬다. 11월 25일~27일 무대에는 제17회 정기공연 ‘나의 살던 고향’을 올린다.
광주시립오페라단은 올해 하반기 첫 공연으로 이건용 오페라 ‘박하사탕’(8월27~28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을 선보인다. 이어 오페라단 대표 레퍼토리인 ‘헨젤과 그레텔’을 광주를 비롯해 사천, 용인, 옥천 등의 무대에 올린다. 아울러 하반기 마지막 공연 ‘월드 클래식 오페라 시리즈Ⅰ’(12월3~4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극장1)에서는 오페라 명작을 주축으로 가장 빛나는 오페라 명장면들을 모아 선보인다.
/전은재 기자 ej662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