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현장 찾은 김부겸 총리 “원인 철저 규명”
이용섭 시장 “재발방지에 최선”
![]() 김부겸 국무총리가 10일 광주 학동 재개발지역 철거건물 붕괴 사고 현장을 방문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최현배 기자choi@kwangju.co.kr |
김부겸 국무총리는 10일 “철거 현장 사고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사고원인을 철저하게 밝혀내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광주 동구 학동 붕괴 사고 현장을 찾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정책을 집행해온 우리 문재인 정부에서 또 이런 안타까운 사고가 나 희생되신 분들, 유족,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전국에 이런 철거 현장이 상당히 많은데 이런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건축물 관리법이 새로 제정됐음에도 어찌 보면 원시적일 수 있는 사고가 나 안타까운 국민의 희생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김 총리는 소방청과 광주광역시에 현장수습과 피해가족 지원·부상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정부는 국토부 조사와 경찰 수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이에 따라 후속조치와 근원적인 재발방지대책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현장 방문 후 희생자들이 안치된 병원을 방문, 유족들을 위로했다. 그는 SNS를 통해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했다. 참으로 송구하다”며 “그야말로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참변을 당하신 유족들의 애통한 모습을 뵈니 죄스러움에 가슴이 미어진다”고 심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당장 이 같은 원시적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건설 현장부터 철저히 살피겠다. 안전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제로베이스에 두고 다시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이용섭 광주시장도 이날 광주시청에서 브리핑을 하고 “광주시가 책임지고 사고수습과 재발 방지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며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빈다”고 밝혔다.
그는 “사고 원인은 합동조사단의 조사에서 밝혀지겠지만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인재였다”며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국토부, 경찰청 등과 함께 철저하게 사고원인을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하고 책임도 물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업체들의 안전불감증과 하청·감리 관련 문제가 시정되도록 정부와 국회에 제도개선을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 4월 4일 동구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 우리 시는 건설 현장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도록 4차례에 걸쳐 공문으로 지시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게 돼 참으로 안타깝다”며 “앞으로 재개발, 재건축 건설 현장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도 시가 직접 나서서 허가 관청과 함께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
김 총리는 이날 오후 광주 동구 학동 붕괴 사고 현장을 찾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정책을 집행해온 우리 문재인 정부에서 또 이런 안타까운 사고가 나 희생되신 분들, 유족,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도 전국에 이런 철거 현장이 상당히 많은데 이런 일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며 “건축물 관리법이 새로 제정됐음에도 어찌 보면 원시적일 수 있는 사고가 나 안타까운 국민의 희생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김 총리는 소방청과 광주광역시에 현장수습과 피해가족 지원·부상자 치료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정부는 국토부 조사와 경찰 수사를 통해 사고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이에 따라 후속조치와 근원적인 재발방지대책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사고 원인은 합동조사단의 조사에서 밝혀지겠지만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인재였다”며 “이런 일이 두 번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국토부, 경찰청 등과 함께 철저하게 사고원인을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하고 책임도 물을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업체들의 안전불감증과 하청·감리 관련 문제가 시정되도록 정부와 국회에 제도개선을 건의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지난 4월 4일 동구 계림동 주택 붕괴 사고 이후 우리 시는 건설 현장을 철저하게 관리·감독하도록 4차례에 걸쳐 공문으로 지시했음에도 이런 사고가 발생하게 돼 참으로 안타깝다”며 “앞으로 재개발, 재건축 건설 현장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도 시가 직접 나서서 허가 관청과 함께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최권일 기자 cki@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