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사특집] 37년 역사 문화예술매거진 ‘예향’ 예술로 향하다
  전체메뉴
[창사특집] 37년 역사 문화예술매거진 ‘예향’ 예술로 향하다
1984년 10월 창간…2013년 4월 복간
한국잡지협회 문화·예술·종교 분야 ‘우수 콘텐츠잡지’ 선정
매달 문화소외지역·재외한국문화원에 보급
2021년 04월 19일(월) 23:00
"예향’은 오랜 세월 변치 않고 졸졸 흐르는 석간수와 같은 마음으로 내게 남아있다. 인생에서 가장 힘들었던 한 시기에 슬그머니 다가와 작은 캔디박스 하나를 슬쩍 놓고 지나갔음이니 인연의 향기가 오롯이 깊은 것이다.”

곽재구 시인은 월간 ‘예향’ 복간호(2013년 4월)에 실린 마중글 ‘봄날 새이파리만큼 아름다운 새 출발을’에서 ‘예향’과의 인연을 들려준다. 당시 30대였던 작가는 전업 작가로 나서 전남·북의 갯마을을 취재해 1989~1990년 1년여 동안 ‘예향’에 연재했다. 스무 살 무렵 나라안 마을들에서 하룻밤씩을 자고 싶어 했던 작가는 바닷가 갯마을을 기행하며 “그 무렵의 내게 최고의 선물이었고 따뜻한 위로의 시간이 되었다”고 묘사한다. 이때의 발걸음은 2002년 펴낸 ‘포구기행’의 밑그림이 됐다.

광주일보가 발행하는 문화예술매거진 ‘예향’은 37년의 전통을 갖고 있다. 1984년 10월 창간호를 시작으로 17년 동안 매달 발행해오다 IMF 경제 한파로 2002년 2월(209호)을 끝으로 부득이하게 잠정 휴간에 들어갔다. 하지만 11년만인 2013년 4월에 문화예술 잡지로 재탄생해 2020년 10월에 지역 문화예술잡지로는 최초로 통권(通卷) 300호를 돌파했다. 잡지시장과 활자매체가 쇠퇴하는 현실과 ‘코로나 19’가 불러온 어려운 환경 속에서 이룬 값진 성과이다.

이와 함께 월간 ‘예향’은 지난 3월에 2021년도 ‘문화·예술·종교지 분야’의 ‘우수 콘텐츠잡지’에 선정됐다. ‘우수 콘텐츠 잡지’는 (사)한국잡지협회가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잡지 콘텐츠의 질적 향상과 잡지 산업의 진흥을 도모하기 위해 매년 선정한다.

◇시사교양 종합 잡지에서 문화예술 잡지로 재탄생 =11년의 휴지기를 갖고 복간된 월간 ‘예향’의 가장 큰 변화를 꼽자면 ‘콘텐츠’이다. 복간 이전 ‘예향’이 시사와 문화예술, 교양을 아우르는 종합잡지라면 복간 이후 ‘예향’은 문화예술 전문 매거진으로 변화를 꾀했다. ‘지역성’(Local)과 ‘국제성’(Global)을 가미한 ‘글로컬’(Glocal)한 잡지로 방향을 잡고, 시대의 변화에 걸맞게 판형과 제호 디자인을 바꿨으며, 전면 컬러 인쇄를 통해 시각적인 디자인을 강화했다. 또한 매달 특집을 통해 광주·전남 문화예술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문화수도에서 펼쳐지는 다양한 문화예술 행사를 소개했으며 문화 트렌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복간호(2013년 4월)에서는 ‘불붙은 아시아의 문화전쟁’을 특집으로 다뤘다. 홍콩과 싱가포르 현지 취재를 통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프로젝트를 펼치는 광주의 지향점을 제시, 상당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2015년 8월에는 착공 10년 만에 완공된 국립 아시아문화전당을 40여 페이지에 달하는 특집으로 다루며 전당의 모든 것을 독자들에게 선보였다.

‘문화광주. 컬렉션을 브랜딩 하라’(2020년 3월호) 편은 광주 시립 미술관을 비롯한 광주·전남 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컬렉션을 소개해 미술 애호가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를 통해 미술관의 컬렉션은 한 도시를 상징하는 브랜드이자 고부가 문화자산임을 강조했다.



◇잡지는 남도 문화예술의 소중한 아카이브=“이렇게 오래하다 보니까 인생이 녹아서 영화가 되고, 또 영화가 녹아서 인생이 되는구나하는 생각이 듭니다.”

임권택 감독은 2016년 6월호 ‘예향 초대석’ 인터뷰에서 영화 인생을 은유적으로 표현했다. 임 감독은 ‘예향’ 1986년 4월호에 ‘재미없는 영화만 만드는 이유’라는 칼럼을 실은 적이 있다. 늦장가를 간 그가 첫째가 태어날 때 겪은 체험을 다룬 내용인데, 이때의 고민을 같은 해에 영화 ‘씨받이’에 영상언어로 풀어내며 해외에서 주목받는 한국감독으로 부상했다. ‘예향’을 꼼꼼히 읽어본 독자라면 ‘우리의 토양과 정서, 생활을 담은 우리 색깔의 영화’를 만들고자 했던 임권택 감독의 젊은 시절부터 거장으로 입지를 굳히기까지의 영화인생에 동행하는 듯한 느낌을 받았을 것이다.

돌이켜보면 매달 나오는 ‘예향’ 한권, 한권은 남도 문화예술의 소중한 아카이브(Archive)이자 문화자산이다. 누군가 먼 훗날, 예술의 고향으로 불려온 광주전남의 당대 문화예술을 살펴보고자 한다면 ‘예향’을 펼쳐볼 것이다.

특히 ‘예향’에 실렸던 많은 예술인과 오피니언 리더들이 걸어온 길은 한국 문화예술사의 유장한 강과 거대한 산맥을 이뤘다. 통권 306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을 인터뷰 자리를 빌려 소개했다. 지금은 세상을 떠난 명무(名舞) 이매방과 ‘가야금 명인’ 황병기, 민중사학자 이이화, 문학평론가 황현산을 비롯해 피아니스트 한동일, 사물놀이 창시자 김덕수, ‘100세 철학자’ 김형석 교수, 패션 디자이너 이광희, 김용택 시인 등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예향’의 지면을 빛내주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한 예술가가 어떻게 담금질되며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해 가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외길을 걸어온 예술가들의 인생은 삶 자체만으로도 독자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다.

인터넷 시대에 활자매체의 생존은 쉽지않다. 그렇지만 종이잡지가 주는 ‘아날로그’의 매력은 인터넷이 따라올 수 없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지역의 문화예술 잡지로서 긍지를 갖고 예향(藝鄕)의 예술 향기를 오롯이 담기 위해 한권, 한권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인터넷 시대에 종이잡지를 되살리는 건 독자 한명, 한명일 것이다.

/송기동 기자 song@kwangju.co.kr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