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은 다가오는데 살 길 막막한 수재민들
지난 8월 폭우로 보금자리를 잃고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은 구례 지역 수재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수해가 발생한 지 어제로 100일이 지났는데도 정부의 복구 지원과 대책은 물론 홍수 원인 규명마저 제자리걸음이기 때문이다.
‘섬진강 수해 참사 피해자 구례군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8월 집중호우로 1300가구가 침수 피해를 입었고 농경지 700㏊가 물에 잠겼으며 소 2000마리도 물에 떠내려갔다. 그 여파로 주민 50가구는 현재까지 임시주택에 머물고 있으며 130여 명은 공동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겨울이 다가오고 있음에도 주민들이 삶터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점이다. 집과 축사를 수리하는 등 일상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재정 지원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주민들은 “정부가 책정한 집 수리비 200만 원으로는 무너진 집을 복구할 수 없으며 송아지 구입비 70만 원으로 300만 원이 넘는 송아지를 어떻게 사느냐”고 하소연한다. 급기야 주민들은 최근 궐기대회를 열고 ‘조속한 재발 방지 대책과 현실적인 피해 보상을 해 달라’고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하지만 정부는 최근에야 수해조사위원회 운영 규정 등을 마련했다. 이 때문에 본격적인 조사 착수는 내년으로 미뤄졌고 이에 따른 보상은 내년 하반기에나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 정부가 구례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음에도 사정이 이렇다.
정부와 지자체는 수해로 신음하는 구례 지역민들에게 또다시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장에서 고통받고 있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주민들이 무사히 겨울을 넘길 수 있도록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섬진강 수해 참사 피해자 구례군 비상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8월 집중호우로 1300가구가 침수 피해를 입었고 농경지 700㏊가 물에 잠겼으며 소 2000마리도 물에 떠내려갔다. 그 여파로 주민 50가구는 현재까지 임시주택에 머물고 있으며 130여 명은 공동주거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수해로 신음하는 구례 지역민들에게 또다시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장에서 고통받고 있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주민들이 무사히 겨울을 넘길 수 있도록 대책을 서둘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