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전기요금 체계 개편 연기
코로나 확산·유가 변동성 확대…하반기 내 확정
![]() 나주 한전 본사 전경. <광주일보 자료사진> |
한국전력이 코로나19 확산세를 감안, 상반기에 추진하기로 했던 전기요금 체계 개편을 하반기로 연기했다.
한전은 “지난 26일 서울에서 이사회를 열고 코로나19 확산과 유가 변동성 확대 등 변화한 여건을 반영해 전기요금 체계 개편안을 마련, 올해 하반기 중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정부 인허가를 받기로 결정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한전은 앞서 지난해 6월 2020년 상반기까지 전기료 개편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전은 월 200㎾h 이하 사용 가구에 대해 월 최대 4000원을 할인해주는 필수사용량 보장 공제를 폐지 또는 축소하고, 계절별·시간대별로 요금을 차등화하는 주택용 계절·시간별 요금제 도입 등을 추진해왔다.
이날 요금체계 개편과 관련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제도의 폐지 혹은 수정보완 ▲누진제 폐지 또는 선택적 전기요금제 도입 등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도 개편 ▲전기요금과 에너지복지 분리 등 안건을 사외이사가 제안해 의결했다.
한전 올해 1분기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연료비와 구입비가 1조6005억원 감소하면서 3년 만에 흑자를 냈다.
한전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43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손실 6299억원)과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전의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17년 1분기 1조4632억원 이후 3년 만이다.
최근 정치권과 산업계 등에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과 산업용 전기요금을 내려주라는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한전은 “지난 26일 서울에서 이사회를 열고 코로나19 확산과 유가 변동성 확대 등 변화한 여건을 반영해 전기요금 체계 개편안을 마련, 올해 하반기 중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정부 인허가를 받기로 결정했다”고 이날 공시했다.
한전은 월 200㎾h 이하 사용 가구에 대해 월 최대 4000원을 할인해주는 필수사용량 보장 공제를 폐지 또는 축소하고, 계절별·시간대별로 요금을 차등화하는 주택용 계절·시간별 요금제 도입 등을 추진해왔다.
이날 요금체계 개편과 관련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제도의 폐지 혹은 수정보완 ▲누진제 폐지 또는 선택적 전기요금제 도입 등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도 개편 ▲전기요금과 에너지복지 분리 등 안건을 사외이사가 제안해 의결했다.
한전은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이 430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손실 6299억원)과 비교해 흑자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전의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를 기록한 것은 2017년 1분기 1조4632억원 이후 3년 만이다.
최근 정치권과 산업계 등에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과 산업용 전기요금을 내려주라는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