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서 만나는 5·18 40주년 기념전
4·3 기념사업위, 5·18행사위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서
역사화 7점·사진 15점 전시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서
역사화 7점·사진 15점 전시
![]() |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아 제주에서 처음으로 오월의 역사를 되돌아보는 전시회가 열린다.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는 13일 “5·18민중항쟁 40주년 기념전 ‘제주 : 5·18을 보다’ 전시전을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4·3기념사업위는 ‘제주4·3’이라는 현대사 속 아픔을 가진 제주가 광주와 연대의식을 가지고,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둔 이달 첫 전시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5·18의 역사적 사실을 예술적으로 시각화한 역사화로서 ▲폭풍전야 ▲횃불로 조국의 미래를 밝힌다 ▲계엄령 ▲민주성회 ▲대동세상 ▲슬픈세상 ▲피로 물든 새벽은 밝아오고 등 7점과 5·18 민중항쟁 현장의 생생한 기록이 담겨있는 사진 15점이 선보인다.
제주 4·3기념 사업위가 선정한 7점의 그림은 5·18민주화운동의 진행과정과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로 10년 전 광주지역 작가들이 공동작업을 통해 제작한 것이며, 전시는 이들 작품의 복사본이다.
전시장소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갤러리나 전시관이 아닌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이 선택됐다.
사업위 관계자는 “버스전용차로가 생기면서 이용되지 않는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을 전시장소로 선택했다”며 “제주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으로, 특히 젊은층이 자주 오가는 곳이라 전시장소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은 제주에서 ‘촛불문화제’가 열렸던 장소다.
제주 4·3기념 사업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제주4·3과 함께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기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면서 “코로나19로 실내 전시가 어려운 현 시점에서 야외 거리전시가 역사문화 콘텐츠를 공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5·18민중항쟁기념 제주행사위원회와 제주민중연대,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 5·18기념재단이 공동주최하고 제주 4·3기념사업위원회가 주관한다. 전시회는 거리전시로 24시간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제주 4·3기념 사업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5·18민주화운동과 4·3사건을 함께 다루는 기념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는 13일 “5·18민중항쟁 40주년 기념전 ‘제주 : 5·18을 보다’ 전시전을 오는 15일부터 19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4·3기념사업위는 ‘제주4·3’이라는 현대사 속 아픔을 가진 제주가 광주와 연대의식을 가지고,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앞둔 이달 첫 전시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제주 4·3기념 사업위가 선정한 7점의 그림은 5·18민주화운동의 진행과정과 아픔을 느낄 수 있는 작품들로 10년 전 광주지역 작가들이 공동작업을 통해 제작한 것이며, 전시는 이들 작품의 복사본이다.
사업위 관계자는 “버스전용차로가 생기면서 이용되지 않는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을 전시장소로 선택했다”며 “제주에서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곳으로, 특히 젊은층이 자주 오가는 곳이라 전시장소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또 제주시청 앞 버스정류장은 제주에서 ‘촛불문화제’가 열렸던 장소다.
제주 4·3기념 사업위원회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제주4·3과 함께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기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면서 “코로나19로 실내 전시가 어려운 현 시점에서 야외 거리전시가 역사문화 콘텐츠를 공유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는 5·18민중항쟁기념 제주행사위원회와 제주민중연대,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 5·18기념재단이 공동주최하고 제주 4·3기념사업위원회가 주관한다. 전시회는 거리전시로 24시간 누구나 무료로 관람이 가능하다.
제주 4·3기념 사업위원회 관계자는 “앞으로도 5·18민주화운동과 4·3사건을 함께 다루는 기념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