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85개국 휴교…학생 90% 수업중단
  전체메뉴
세계 185개국 휴교…학생 90% 수업중단
유네스코 진단,코로나19 여파 15억 4천만명 학교 못가
취약지역 여학생 성착취 우려…여성교육 지속 투자 촉구
2020년 04월 01일(수) 18:00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휴교령이 내려진 미국 버지니아 주의 알링턴 카운티 버스 차고지에 31일(현지시간) 100여대의 스쿨버스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 185개국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면서 여성 청소년의 중퇴율 증가, 교육에서의 성별격차 공고화, 조기 임신과 강제 결혼, 성적 착취의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국제기구의 경고가 나왔다.

유네스코(UNESCO)는 전 세계 학생 89% 이상이 현재 코로나19로 학교에 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 3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네스코는 여학생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여학생의 학교 폐쇄 및 원격학습 정책 개발 참여, 임신 소녀들의 등교 보장 등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대학을 포함한 학교에 등록된 어린이와 청소년은 15억 4000만 명이다. 여학생은 7억 4300만 명이며, 이 중 1억 1100만 명 이상이 교육받기 힘든 저개발 국가에 살고 있다.

여성의 학교 등록률이 가장 낮은 국가인 아프리카의 말리, 니제르, 남수단은 휴교하면서 400만 명 이상의 여학생들이 퇴학당했다. 난민 캠프에 사는 이들 소녀에게 학교 폐쇄는 이미 불리한 입장에 서 있는 그들에게 가장 충격적인 일이며, 코로나19의 영향은 특히 여성과 소녀들에게 광범위하고 파괴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유네스코는 밝혔다.

유네스코는 “많은 여학생은 학교 문이 열리면 학교로 돌아가겠지만, 일부는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우려와 경고는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의 교훈으로부터 나온다. 당시 시에라리온의 17세 소녀였던 크리스티아나는 “학교는 버려진 둥지처럼 텅 비어 있다. 학교에 있는 것은 임신·결혼으로부터 소녀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내 친구들이 임신하고, 일부는 조혼을 강요당했다”고 밝혔다.

일부 연구는 학교 폐쇄로 소녀들이 집에 혼자 있는 상황에서 남성으로부터의 신체적·성적 학대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게다가 소녀와 그 가족은 기본적인 필수품 때문에 성매매하기도 한다.

에볼라 당시 가장이 전염병으로 숨지면서 생계 문제가 막막해지자 많은 이들은 그들을 보호해 줄 것이라는 잘못된 희망으로 딸을 결혼시켰다.

그때 시에라리온 일부 지역은 청소년 임신이 65%까지 증가했고, 이는 학교가 제공했던 보호 환경을 벗어난 데 따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소녀 중 상당수가 최근 임신한 소녀의 등교를 막는 정책 때문에 교실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유네스코는 전했다.

유네스코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대응책을 제시했다.

우선 “교사와 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으로 여학생 교육에 지속해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네스코는 “디지털 솔루션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낮은 기술과 성별 대응 접근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며 “(휴교 상황에서) 읽기와 쓰기 자료를 집으로 보내고 라디오와 TV를 활용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핫이슈

  • Copyright 2009.
  • 제호 : 광주일보
  • 등록번호 : 광주 가-00001 | 등록일자 : 1989년 11월 29일 | 발행·편집·인쇄인 : 김여송
  • 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224(금남로 3가 9-2)
  • TEL : 062)222-8111 (代) | 청소년보호책임자 : 채희종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주일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