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85개국 휴교…학생 90% 수업중단
유네스코 진단,코로나19 여파 15억 4천만명 학교 못가
취약지역 여학생 성착취 우려…여성교육 지속 투자 촉구
취약지역 여학생 성착취 우려…여성교육 지속 투자 촉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휴교령이 내려진 미국 버지니아 주의 알링턴 카운티 버스 차고지에 31일(현지시간) 100여대의 스쿨버스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
코로나19 확산으로 전 세계 185개국 학교가 휴교에 들어가면서 여성 청소년의 중퇴율 증가, 교육에서의 성별격차 공고화, 조기 임신과 강제 결혼, 성적 착취의 위험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국제기구의 경고가 나왔다.
유네스코(UNESCO)는 전 세계 학생 89% 이상이 현재 코로나19로 학교에 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 3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네스코는 여학생 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여학생의 학교 폐쇄 및 원격학습 정책 개발 참여, 임신 소녀들의 등교 보장 등을 대응책으로 제시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대학을 포함한 학교에 등록된 어린이와 청소년은 15억 4000만 명이다. 여학생은 7억 4300만 명이며, 이 중 1억 1100만 명 이상이 교육받기 힘든 저개발 국가에 살고 있다.
여성의 학교 등록률이 가장 낮은 국가인 아프리카의 말리, 니제르, 남수단은 휴교하면서 400만 명 이상의 여학생들이 퇴학당했다. 난민 캠프에 사는 이들 소녀에게 학교 폐쇄는 이미 불리한 입장에 서 있는 그들에게 가장 충격적인 일이며, 코로나19의 영향은 특히 여성과 소녀들에게 광범위하고 파괴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유네스코는 밝혔다.
유네스코는 “많은 여학생은 학교 문이 열리면 학교로 돌아가겠지만, 일부는 돌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런 우려와 경고는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의 교훈으로부터 나온다. 당시 시에라리온의 17세 소녀였던 크리스티아나는 “학교는 버려진 둥지처럼 텅 비어 있다. 학교에 있는 것은 임신·결혼으로부터 소녀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내 친구들이 임신하고, 일부는 조혼을 강요당했다”고 밝혔다.
일부 연구는 학교 폐쇄로 소녀들이 집에 혼자 있는 상황에서 남성으로부터의 신체적·성적 학대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게다가 소녀와 그 가족은 기본적인 필수품 때문에 성매매하기도 한다.
에볼라 당시 가장이 전염병으로 숨지면서 생계 문제가 막막해지자 많은 이들은 그들을 보호해 줄 것이라는 잘못된 희망으로 딸을 결혼시켰다.
그때 시에라리온 일부 지역은 청소년 임신이 65%까지 증가했고, 이는 학교가 제공했던 보호 환경을 벗어난 데 따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소녀 중 상당수가 최근 임신한 소녀의 등교를 막는 정책 때문에 교실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유네스코는 전했다.
유네스코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대응책을 제시했다.
우선 “교사와 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으로 여학생 교육에 지속해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네스코는 “디지털 솔루션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낮은 기술과 성별 대응 접근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며 “(휴교 상황에서) 읽기와 쓰기 자료를 집으로 보내고 라디오와 TV를 활용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유네스코(UNESCO)는 전 세계 학생 89% 이상이 현재 코로나19로 학교에 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지난 31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현재 대학을 포함한 학교에 등록된 어린이와 청소년은 15억 4000만 명이다. 여학생은 7억 4300만 명이며, 이 중 1억 1100만 명 이상이 교육받기 힘든 저개발 국가에 살고 있다.
여성의 학교 등록률이 가장 낮은 국가인 아프리카의 말리, 니제르, 남수단은 휴교하면서 400만 명 이상의 여학생들이 퇴학당했다. 난민 캠프에 사는 이들 소녀에게 학교 폐쇄는 이미 불리한 입장에 서 있는 그들에게 가장 충격적인 일이며, 코로나19의 영향은 특히 여성과 소녀들에게 광범위하고 파괴적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유네스코는 밝혔다.
이런 우려와 경고는 2014년 에볼라 사태 당시의 교훈으로부터 나온다. 당시 시에라리온의 17세 소녀였던 크리스티아나는 “학교는 버려진 둥지처럼 텅 비어 있다. 학교에 있는 것은 임신·결혼으로부터 소녀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많은 내 친구들이 임신하고, 일부는 조혼을 강요당했다”고 밝혔다.
일부 연구는 학교 폐쇄로 소녀들이 집에 혼자 있는 상황에서 남성으로부터의 신체적·성적 학대에 대한 취약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혀냈다.
게다가 소녀와 그 가족은 기본적인 필수품 때문에 성매매하기도 한다.
에볼라 당시 가장이 전염병으로 숨지면서 생계 문제가 막막해지자 많은 이들은 그들을 보호해 줄 것이라는 잘못된 희망으로 딸을 결혼시켰다.
그때 시에라리온 일부 지역은 청소년 임신이 65%까지 증가했고, 이는 학교가 제공했던 보호 환경을 벗어난 데 따른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 소녀 중 상당수가 최근 임신한 소녀의 등교를 막는 정책 때문에 교실로 돌아가지 못했다고 유네스코는 전했다.
유네스코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대응책을 제시했다.
우선 “교사와 지역사회 간 긴밀한 협력으로 여학생 교육에 지속해서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네스코는 “디지털 솔루션에 접근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낮은 기술과 성별 대응 접근 방법을 채택해야 한다”며 “(휴교 상황에서) 읽기와 쓰기 자료를 집으로 보내고 라디오와 TV를 활용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