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포 미래먹거리 ‘수산식품·신재생에너지’ 방점
민선 7기 시장의 치밀한 준비·끈질긴 설득 ‘주효’
■목포 대양산단·신항 국가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어떻게 지정됐나
■목포 대양산단·신항 국가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어떻게 지정됐나
![]() 목포시는 지난 13일 김종식 목포시장의 주재로 ‘2019 시정 성과와 과제 토론회’를 열었다. <목포시 제공> |
지난 6일 정부가 발표한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에 목포 대양산단과 신항이 포함되기까지 수차례 고비를 넘기며 얻어낸 값진 성과물이라는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김종식 목포시장은 지난 13일 열린 ‘2019 시정 성과와 과제 토론회’ 모두발언에서 “연초부터 치밀하게 준비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쾌거”라며 그간의 드라마틱한 과정을 소개했다.
그가 에너지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지난 2017년 광주광역시 경제부시장으로 재임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김 시장은 “경제부시장의 주요 업무가운데 하나가 에너지이어서 에너지에 대한 선구안을 갖게 됐고 이를 계기로 지난 선거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선 7기 출범 초부터 목포의 미래 먹을거리(전략산업)로 ‘수산식품과 신재생 에너지’에 방점을 찍어온 김 시장은 지난 2월19일 ‘김영록 도지시와 목포시민과의 대화’를 디데이 삼아, 당시만 해도 생소했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라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시민과의 대화 이후 도지사와 함께 현지 방문에 나선 김 시장은 의도적으로 대양산단 내 에너지 관련기업을 방문, 이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이를 언급했다.
당시 전남도 담당 국장은 나주시만을 고집하며 어렵다는 의견을 피력했으나 김 시장은 “하나의 단지로만 보지 말고 벨트 개념으로 가야 한다”고 설득해 첫 고비를 넘겼다.
이어 김 지사의 지시로 전남도 녹색 에너지연구원에서 관련 용역이 실시됐지만 아예 목포는 빠지고 나주시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전남도 부지사와 녹색연구원장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개념으로 가야한다”며 적극적인 구애(?)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김신남 목포부시장도 힘을 보탰다.
김 시장은 목포 신항은 에너지관련 부품과 설비의 해외수출 전진기지로 최적의 입지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에너지 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 시 거리 등의 이유로 대양산단이 지정조건에서 배제 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건의가 받아들여지면서 두 번째 고비를 무사히 넘기고 전남도 조성계획안이 9월 25일 확정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됐다.
두 차례 고비를 넘겨 산자부까지 가는 데 성공했지만, 기존 클러스터 공간 범위에 국가혁신 융복합단지의 경우 광역시는 반경 10㎞, 광역도는 20㎞규정에 부딪쳐 또 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이에 김 시장은 두 차례 산자부 장관을 면담하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 중간에 담당 과장까지 바뀌어 다시 처음부터 탑을 쌓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대안신당 박지원 의원의 힘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 집권 여당의 서포트를 받기 위해 민주당 이해찬 대표 부실장인 조요한 전 시의원의 노력도 한몫을 했다.
김 시장은 “지역정치권이 전폭적으로 도와준 결과다. 엄청나게 고생했다. 한 편의 영화처럼 드라마틱했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목포의 미래 먹거리 산업인 신재생 에너지 산업 육성이 탄력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대양산단 조기 분양에도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목포=고규석 기자 yousou@
김종식 목포시장은 지난 13일 열린 ‘2019 시정 성과와 과제 토론회’ 모두발언에서 “연초부터 치밀하게 준비해 무에서 유를 창조해낸 쾌거”라며 그간의 드라마틱한 과정을 소개했다.
김 시장은 “경제부시장의 주요 업무가운데 하나가 에너지이어서 에너지에 대한 선구안을 갖게 됐고 이를 계기로 지난 선거에서 신재생에너지산업 육성을 공약으로 내세운 것도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민선 7기 출범 초부터 목포의 미래 먹을거리(전략산업)로 ‘수산식품과 신재생 에너지’에 방점을 찍어온 김 시장은 지난 2월19일 ‘김영록 도지시와 목포시민과의 대화’를 디데이 삼아, 당시만 해도 생소했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라는 비장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당시 전남도 담당 국장은 나주시만을 고집하며 어렵다는 의견을 피력했으나 김 시장은 “하나의 단지로만 보지 말고 벨트 개념으로 가야 한다”고 설득해 첫 고비를 넘겼다.
이어 김 지사의 지시로 전남도 녹색 에너지연구원에서 관련 용역이 실시됐지만 아예 목포는 빠지고 나주시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에 전남도 부지사와 녹색연구원장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개념으로 가야한다”며 적극적인 구애(?)를 펼쳤다. 이 과정에서 김신남 목포부시장도 힘을 보탰다.
김 시장은 목포 신항은 에너지관련 부품과 설비의 해외수출 전진기지로 최적의 입지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에너지 단지 조성 기본계획 수립 시 거리 등의 이유로 대양산단이 지정조건에서 배제 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건의가 받아들여지면서 두 번째 고비를 무사히 넘기고 전남도 조성계획안이 9월 25일 확정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됐다.
두 차례 고비를 넘겨 산자부까지 가는 데 성공했지만, 기존 클러스터 공간 범위에 국가혁신 융복합단지의 경우 광역시는 반경 10㎞, 광역도는 20㎞규정에 부딪쳐 또 다시 난관에 봉착했다.
이에 김 시장은 두 차례 산자부 장관을 면담하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그 중간에 담당 과장까지 바뀌어 다시 처음부터 탑을 쌓는 수고도 마다하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대안신당 박지원 의원의 힘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또 집권 여당의 서포트를 받기 위해 민주당 이해찬 대표 부실장인 조요한 전 시의원의 노력도 한몫을 했다.
김 시장은 “지역정치권이 전폭적으로 도와준 결과다. 엄청나게 고생했다. 한 편의 영화처럼 드라마틱했다”고 웃었다.
그러면서 “목포의 미래 먹거리 산업인 신재생 에너지 산업 육성이 탄력을 받는 것은 물론이고 대양산단 조기 분양에도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목포=고규석 기자 yous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