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교육청, 학교 기숙사 대폭 정비한다
기숙사 내 생활교육 내실화 계획 마련
![]() |
전남지역 학교 기숙사 생활규정이 학생인권 침해와 폭력 예방을 위한 방향으로 대폭 정비된다. 기숙사 내 학생자치활동도 크게 강화될 예정이다.
9일 전남도교육청(교육감 장석웅)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최근 기숙사 내 폭력문화를 근절해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기숙사(합숙소) 생활교육 내실화’ 계획을 수립해 일선학교에 전달했다.
계획을 살펴보면 각급 학교들은 학생·학부모 의견을 수렴해 기숙사 생활규정을 정비토록 했다. 이를 통해 학교생활규정과 일관된 교육적 기준을 마련해 학생인권 침해 및 폭력을 사전에 예방토록 한다는 게 도교육청의 복안이다.
또 기숙사 생활 학생들의 문화공간을 마련하고 공간 재구조화를 통한 문화활동 활성화를 위해 자치회를 구성해 자치활동을 활성화를 유도키로 했다.
특히 기숙사와 합숙소를 운영하는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학기별 1회 학교폭력 관련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학교폭력 사안에 신속 대응하기로 했다. 여기에 심야시간과 휴일 미귀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활교육도 강화할 받침이다. 사감실과 연결된 비상벨을 설치해 긴급 상황에도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했다.
도교육청은 이와 관련해 이날 보성다비치콘도 제석홀에서 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는 일반고 89개교 교감과 기숙사 사감 등 178명이 참여하는 연찬회를 열고 기숙사 생활교육 내실화를 위한 역량강화를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다.
연찬회를 통해 학교 현장에 취지를 전달하고 학교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 5월 1일~17일 기숙사에 잠재돼 있는 학생들의 불편한 관계와 학교폭력 피·가해 사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향후 폭력 및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기숙사·합숙소 운영학교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였다.
조사에 참여한 1만 5238의 학생들 중 4.5%는 ‘기숙사가 안전하지 않다고’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2.3%는 ‘기숙사 내에 폭력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2일 중학교와 특성화고 기숙사 운영학교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연찬회를 한 차례 더 실시할 예정이다.
김성애 도교육청 학생생활안전과장은 “학부모 입장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기숙사가 되기 위해서는‘학생안전’이 우선 확보되어야 한다”면서 “학교 관계자와 사감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기숙사가 안전하고 행복한 공간이 되도록 기숙사 생활교육을 합리적으로 변화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9일 전남도교육청(교육감 장석웅)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최근 기숙사 내 폭력문화를 근절해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기숙사(합숙소) 생활교육 내실화’ 계획을 수립해 일선학교에 전달했다.
또 기숙사 생활 학생들의 문화공간을 마련하고 공간 재구조화를 통한 문화활동 활성화를 위해 자치회를 구성해 자치활동을 활성화를 유도키로 했다.
특히 기숙사와 합숙소를 운영하는 학교 전체를 대상으로 학기별 1회 학교폭력 관련 설문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해 학교폭력 사안에 신속 대응하기로 했다. 여기에 심야시간과 휴일 미귀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활교육도 강화할 받침이다. 사감실과 연결된 비상벨을 설치해 긴급 상황에도 효과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연찬회를 통해 학교 현장에 취지를 전달하고 학교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앞서 도교육청은 지난 5월 1일~17일 기숙사에 잠재돼 있는 학생들의 불편한 관계와 학교폭력 피·가해 사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향후 폭력 및 안전사고 발생 방지를 위해 기숙사·합숙소 운영학교에 대한 전수조사를 벌였다.
조사에 참여한 1만 5238의 학생들 중 4.5%는 ‘기숙사가 안전하지 않다고’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2.3%는 ‘기숙사 내에 폭력적인 분위기가 있다’고 응답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2일 중학교와 특성화고 기숙사 운영학교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연찬회를 한 차례 더 실시할 예정이다.
김성애 도교육청 학생생활안전과장은 “학부모 입장에서 믿고 맡길 수 있는 기숙사가 되기 위해서는‘학생안전’이 우선 확보되어야 한다”면서 “학교 관계자와 사감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으로 기숙사가 안전하고 행복한 공간이 되도록 기숙사 생활교육을 합리적으로 변화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