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명가 KIA의 추락 왜 ?]소통 부재에 원팀 정신 ‘삐끗’… 성적 ‘날개없는 추락’
지난해 임창용 방출 잡음 수습 안된채 새 시즌
코치-선수간 엇박자…개막후 성적 부진으로 드러나
마운드 줄부상에 선발 구멍·베테랑 야수들도 슬럼프
선수 기용·정신 무장…재건 위한 독한 체질 개선 시급
코치-선수간 엇박자…개막후 성적 부진으로 드러나
마운드 줄부상에 선발 구멍·베테랑 야수들도 슬럼프
선수 기용·정신 무장…재건 위한 독한 체질 개선 시급
![]() |
최하위 KIA 타이거즈가 원점에서 독한 체질 개선을 해야 한다.
KIA는 지난 2017년 8년 만에 통합 우승을 이루며 KBO리그에서 가장 빛나는 팀이 됐었다.
김기태 감독이 트레이드와 ‘형님 리더십’으로 팀 전력을 극대화했고, 선수들이 마음껏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판을 깔아줬다. 그러자 ‘에이스’ 양현종이 마운드를 진두지휘하며 최고의 한 해를 만들었고, 야수진은 폭발적인 화력으로 우승의 중심에 섰다.
하지만 우승의 기쁨은 오래가지 못했다.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했던 지난해 KIA는 5위 턱걸이를 하면서 와일드카드 결정전 한 경기를 끝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김기태 감독의 마운드 변칙 운영 속 투·타의 엇박자에 힘겨웠던 2018시즌, 올 시즌은 더 좋지 못했다.
‘젊은 불펜’의 치열한 내부 경쟁과 성장세가 투수진 줄부상의 아쉬움을 달래줬지만 선발진의 초반 페이스가 좋지 못했다. 무엇보다 ‘우승 멤버’로 대우를 받았던 야수 베테랑들의 부진이 치명적이었다.
결국 KIA는 최하위로 전락했고, ‘우승 감독’ 김기태 감독은 지난 16일 KT전을 끝으로 고향팀의 지휘봉을 내려놓았다.
자진사퇴로 지도자의 책임을 이야기한 김 전 감독. 원점에서 새로운 팀을 짜는 게 남은 이들에게 주어진 의무다. 각자의 자리에 맞는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조계현 단장, 정회열 수석 체제로 새로 구성된 지난 시즌, KIA는 아쉬웠던 성적과 함께 안팎에서 나온 잡음으로 이중고를 겪었다. 특히 임창용 논란이 김 전 감독에게 큰 부담이 됐다.
2018시즌 중반 김 전 감독은 이대진 투수 코치와 함께 임창용을 2군으로 내려보냈다. ‘최고참’이었던 임창용이 세이브 상황에 등판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을 후배들 앞에서 노골적으로 표현한 게 발단이 됐다.
김 전 감독이 진노했던 부분은 팀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최고참이 후배의 세이브에 박수를 보낸 게 아니라 개인 욕심을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결국 김 전 감독은 이대진 코치에게는 ‘소통’, 임창용에게는 ‘팀워크’에 대한 책임을 물어 2군행을 지시했다.
이 과정에서 김 전 감독은 ‘침묵’을 선택했다. 구단도 베테랑 선수의 예우 차원에서 내부 갈등을 노출하는 대신 자연스러운 봉합을 기대했다. 하지만 기대했던 해피엔딩은 아니었다.
고액 연봉자 신분과 다른 팀에서라도 등판할 수 있게 해달라는 선수의 요구에 고민하던 구단은 임창용의 재기용을 언급했다. ‘팀워크’를 중시했던 지도자였지만 김 전 감독은 구단의 의사를 존중했다.
하지만 시즌이 끝난 뒤 임창용과의 작별 과정 역시 매끄럽지 못했다.
구단 내부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조 단장과의 면담 자리에서 갑작스레 임창용의 방출이 확정되고, 외부에 먼저 소식이 알려졌다. 임창용의 1000경기 기념 굿즈 예약 판매 하루 만에 벌어진 일이다. 내부 정보 차단·소통 부재가 결국 최악의 갈등을 야기했다.
프런트와 현장을 아우르는 역할에 실패한 구단, 선수단 통합 역할을 맡은 수석코치도 책임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정 전 수석코치는 위기 상황에서도 팀이 아닌 가족 일에 집중하면서 선수들의 신임을 잃었다.
김 전 감독의 힘이 되어줘야 할 이들이 오히려 무거운 짐을 지워준 모양새가 되면서 어수선하게 2018시즌이 흘러갔다. 지난 시즌의 후유증을 안고 시작한 2019시즌에는 믿었던 선수들이 KIA의 발목을 잡았다.
베테랑들의 급진적인 동반 하락세 속에 ‘야수진 세대교체’가 생각보다 일찍 KIA의 심각한 과제가 되고 말았다.
김 전 감독은 경험과 실력을 존중하며 베테랑을 우대했었다. 베테랑답게 자율적으로 자기 관리를 하면서 후배들에게 모범을 보여주라는 게 김 감독의 주문이었다.
하지만 올 시즌 베테랑들은 최악의 부진으로 김 전 감독의 믿음에 보답하지 못했다. 신예 선수들이 패기 넘치는 모습으로 잠시 활기를 불어넣기도 했지만 패배가 이어지면서 팀 분위기가 가라앉았다.
결국 김 감독은 지난 5일 창원 원정길에서 처음으로 베테랑들에게 호통을 쳤다.
자신감 있는 플레이와 파이팅을 기대했던 일부 신예 선수들까지 감정을 그대로 노출하는 등 개인주의가 만연하자 김 전 감독이 그라운드 안팎에서 모범을 보여주지 못한 베테랑들을 질책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반전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다. 베테랑들의 방망이와 몸은 여전히 무거웠고, 패배는 쌓여만 갔다.
KIA는 박흥식 감독 대행 체제로 치른 지난 주말 3연전에서 모처럼 위닝시리즈(2승1패)를 만들었다. 하지만 ‘상대의 실수’라는 도움도 받았다.
당장 성적을 만들어내기에 야수진의 격차는 크다. 무엇보다 확실한 팀 체질 개선 없이는 장기적인 성적을 낼 수 없다.
쉽게 흔들리지 않는 타이거즈를 위해 구성원 모두가 ‘팀’을 먼저 생각하며 자신의 역할과 자리에 ‘책임’을 져야 한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
KIA는 지난 2017년 8년 만에 통합 우승을 이루며 KBO리그에서 가장 빛나는 팀이 됐었다.
김기태 감독이 트레이드와 ‘형님 리더십’으로 팀 전력을 극대화했고, 선수들이 마음껏 실력을 발휘할 수 있는 판을 깔아줬다. 그러자 ‘에이스’ 양현종이 마운드를 진두지휘하며 최고의 한 해를 만들었고, 야수진은 폭발적인 화력으로 우승의 중심에 섰다.
‘디펜딩 챔피언’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했던 지난해 KIA는 5위 턱걸이를 하면서 와일드카드 결정전 한 경기를 끝으로 시즌을 마감했다.
김기태 감독의 마운드 변칙 운영 속 투·타의 엇박자에 힘겨웠던 2018시즌, 올 시즌은 더 좋지 못했다.
‘젊은 불펜’의 치열한 내부 경쟁과 성장세가 투수진 줄부상의 아쉬움을 달래줬지만 선발진의 초반 페이스가 좋지 못했다. 무엇보다 ‘우승 멤버’로 대우를 받았던 야수 베테랑들의 부진이 치명적이었다.
자진사퇴로 지도자의 책임을 이야기한 김 전 감독. 원점에서 새로운 팀을 짜는 게 남은 이들에게 주어진 의무다. 각자의 자리에 맞는 ‘역할과 책임’이 중요하다.
조계현 단장, 정회열 수석 체제로 새로 구성된 지난 시즌, KIA는 아쉬웠던 성적과 함께 안팎에서 나온 잡음으로 이중고를 겪었다. 특히 임창용 논란이 김 전 감독에게 큰 부담이 됐다.
2018시즌 중반 김 전 감독은 이대진 투수 코치와 함께 임창용을 2군으로 내려보냈다. ‘최고참’이었던 임창용이 세이브 상황에 등판하지 못한 것에 대한 불만을 후배들 앞에서 노골적으로 표현한 게 발단이 됐다.
김 전 감독이 진노했던 부분은 팀을 먼저 생각해야 하는 최고참이 후배의 세이브에 박수를 보낸 게 아니라 개인 욕심을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결국 김 전 감독은 이대진 코치에게는 ‘소통’, 임창용에게는 ‘팀워크’에 대한 책임을 물어 2군행을 지시했다.
이 과정에서 김 전 감독은 ‘침묵’을 선택했다. 구단도 베테랑 선수의 예우 차원에서 내부 갈등을 노출하는 대신 자연스러운 봉합을 기대했다. 하지만 기대했던 해피엔딩은 아니었다.
고액 연봉자 신분과 다른 팀에서라도 등판할 수 있게 해달라는 선수의 요구에 고민하던 구단은 임창용의 재기용을 언급했다. ‘팀워크’를 중시했던 지도자였지만 김 전 감독은 구단의 의사를 존중했다.
하지만 시즌이 끝난 뒤 임창용과의 작별 과정 역시 매끄럽지 못했다.
구단 내부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조 단장과의 면담 자리에서 갑작스레 임창용의 방출이 확정되고, 외부에 먼저 소식이 알려졌다. 임창용의 1000경기 기념 굿즈 예약 판매 하루 만에 벌어진 일이다. 내부 정보 차단·소통 부재가 결국 최악의 갈등을 야기했다.
프런트와 현장을 아우르는 역할에 실패한 구단, 선수단 통합 역할을 맡은 수석코치도 책임감을 보여주지 못했다. 정 전 수석코치는 위기 상황에서도 팀이 아닌 가족 일에 집중하면서 선수들의 신임을 잃었다.
김 전 감독의 힘이 되어줘야 할 이들이 오히려 무거운 짐을 지워준 모양새가 되면서 어수선하게 2018시즌이 흘러갔다. 지난 시즌의 후유증을 안고 시작한 2019시즌에는 믿었던 선수들이 KIA의 발목을 잡았다.
베테랑들의 급진적인 동반 하락세 속에 ‘야수진 세대교체’가 생각보다 일찍 KIA의 심각한 과제가 되고 말았다.
김 전 감독은 경험과 실력을 존중하며 베테랑을 우대했었다. 베테랑답게 자율적으로 자기 관리를 하면서 후배들에게 모범을 보여주라는 게 김 감독의 주문이었다.
하지만 올 시즌 베테랑들은 최악의 부진으로 김 전 감독의 믿음에 보답하지 못했다. 신예 선수들이 패기 넘치는 모습으로 잠시 활기를 불어넣기도 했지만 패배가 이어지면서 팀 분위기가 가라앉았다.
결국 김 감독은 지난 5일 창원 원정길에서 처음으로 베테랑들에게 호통을 쳤다.
자신감 있는 플레이와 파이팅을 기대했던 일부 신예 선수들까지 감정을 그대로 노출하는 등 개인주의가 만연하자 김 전 감독이 그라운드 안팎에서 모범을 보여주지 못한 베테랑들을 질책한 것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반전의 실마리는 찾지 못했다. 베테랑들의 방망이와 몸은 여전히 무거웠고, 패배는 쌓여만 갔다.
KIA는 박흥식 감독 대행 체제로 치른 지난 주말 3연전에서 모처럼 위닝시리즈(2승1패)를 만들었다. 하지만 ‘상대의 실수’라는 도움도 받았다.
당장 성적을 만들어내기에 야수진의 격차는 크다. 무엇보다 확실한 팀 체질 개선 없이는 장기적인 성적을 낼 수 없다.
쉽게 흔들리지 않는 타이거즈를 위해 구성원 모두가 ‘팀’을 먼저 생각하며 자신의 역할과 자리에 ‘책임’을 져야 한다.
/김여울 기자 wo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