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쓰레기소각장 설명회…주민 반응은 ‘싸늘’
시, 서구 2곳서 “악취·온실가스 감축에 주민 기금 지원” 당위성 설명
주민들 “악취 되풀이·절차 투명성 의심에 지역 이미지 실추” 반발
지난달 열린 광산구 설명회서도 비슷한 지적…사업 추진 차질 우려
주민들 “악취 되풀이·절차 투명성 의심에 지역 이미지 실추” 반발
지난달 열린 광산구 설명회서도 비슷한 지적…사업 추진 차질 우려
![]() 19일 광주시 서구 금호동 서구문화센터에서 열린 자원순환시설 주민설명회에서 한 주민이 광주시에 질문을 하고 있다. |
광주시 5개 자치구가 광역 자원회수시설(쓰레기 소각장) 설치 입지 공모에 앞서 주민설명회를 열고 있으나 주민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어 사업 추진에 차질이 우려된다.
광주시 서구는 19일 금호동 서구문화센터, 농성동 서구청에서 각각 ‘자원회수시설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광주시 관계자는 소각장 설치 시 쓰레기 매립 양과 침출수 농도가 줄어들며 악취,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지난 2016년 상무소각장을 폐쇄한 이후 이대로라면 2030년 이후에는 연간 100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시외로 쓰레기를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또한 소각장이 들어설 자치구에 580억원 수준의 편익시설을 제공하고 특별지원금 500억원을 비롯해 매년 10억원 이상의 주민지원기금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소각장에는 TMS(굴뚝원격감시체계) 시스템을 도입해 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 감시해 초과배출을 방지할 계획이며, 쓰레기 소각 시 발생하는 발암물질 ‘다이옥신’은 연간 1회 이상 측정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각장 설치 전후로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해 안전성을 갖출 계획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앞서 지난해부터 광주시가 두 차례에 걸쳐 후보지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후보지와 자격 요건 통과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별다른 소통도 하지 않았다가 무산된 적이 있어 사업 추진 과정의 투명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후보지로 꼽히는 서창동, 매월동 등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는데다 매월동의 경우 인근 군공항으로 인해 시설물 높이 제한이 있어 굴뚝을 45m 이상 높이지 못하는 등 제약 사항이 많다고 주민들은 반발했다.
서창동의 한 주민은 “당초 사업을 처음 추진할 때부터 자치구별로 주민 공청회와 견학 등 절차를 밟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며 “사업 종료 기간이 6년 남았다며 급하게 주민 설명회를 열다니 어불성설이다”고 지적했다.
세하동 주민은 “과거 상무소각장 인근 주민들도 날씨가 흐릴 때마다 악취가 풍겨온다는 불만을 쏟아냈는데, 아무리 기술이 좋아진다고 한들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며 “소각시설이 들어올 경우 그 존재만으로 불쾌한 이미지를 줄 텐데, 이에 대한 주민들의 염려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명확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주민은 설명회 도중 “서구는 이미 상무소각장을 통해 악취 등 피해를 입었다. 다시는 서구 주민들이 피해를 입어선 안된다”며 설명회장을 박차고 나가기도 했다.
이에 광주시 관계자는 “상무소각장의 경우 음식물·하수 처리 등 시설이 밀집돼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였던데다가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해 악취 등 피해가 적다. 타 지역 소각 시설을 견학할 계획도 있으니 직접 체험해 볼 것을 권한다”며 “과거 진행 과정의 아쉬움은 있었으나, 앞으로 충분히 소통하면서 진행하겠다”고 해명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광산구에서 치러진 주민설명회에서도 비슷한 지적이 잇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구 삼도동의 한 주민은 “광주시가 소각장 설치 시의 문제점이나 주민들이 받을 피해는 무시하고 지원과 혜택만 강조해 주민들을 현혹하고 있다. 하다못해 쓰레기를 운반해 오는 과정에서도 악취 피해는 없을 수가 없지 않느냐”며 “국가와 지자체에서 당연히 설치해줘야 할 주민 편의 시설을 선심쓰듯 보상안으로 내놓고, 주민들과 소통하지도 않고 어떻게든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만 급급하다”고 날을 세웠다.
한편 광주시는 오는 2030년부터 시행되는 정부의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따라 5개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종합해서 처리할 쓰레기 소각장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해 오고있다.
2030년까지 3237억원(지하 설치시 4000억원)을 투입해 6만 6000여㎡ 공간에 하루 650t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드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4월부터 소각장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를 하고 후보지를 물색해 왔으나 번번이 허탕을 쳤다.
광주시는 이달 중 제3차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를 내고 후보지를 다시 모을 계획이다. 이번 3차 공모에서는 자치구가 먼저 후보지를 공모해 입지 요건을 판가름한 뒤, 광주시로 넘겨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1일 동구, 22일 북구, 28일 남구에서 자원회수시설 주민설명회가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광산구는 26일부터 21개 동을 돌며 동별 설명회도 연다.
입지 공모는 이달 중으로 각 자치구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신청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50% 이상 동의를 받은 개인, 법인 등이 응모 대상이다.
/글·사진=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
광주시 서구는 19일 금호동 서구문화센터, 농성동 서구청에서 각각 ‘자원회수시설 주민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광주시 관계자는 소각장 설치 시 쓰레기 매립 양과 침출수 농도가 줄어들며 악취,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광주시는 지난 2016년 상무소각장을 폐쇄한 이후 이대로라면 2030년 이후에는 연간 100억여원의 예산을 들여 시외로 쓰레기를 보내야 하는 상황이라는 점도 덧붙였다.
소각장에는 TMS(굴뚝원격감시체계) 시스템을 도입해 대기오염물질을 실시간 감시해 초과배출을 방지할 계획이며, 쓰레기 소각 시 발생하는 발암물질 ‘다이옥신’은 연간 1회 이상 측정 보고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각장 설치 전후로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해 안전성을 갖출 계획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앞서 지난해부터 광주시가 두 차례에 걸쳐 후보지를 물색하는 과정에서 주민들에게 후보지와 자격 요건 통과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별다른 소통도 하지 않았다가 무산된 적이 있어 사업 추진 과정의 투명성이 의심된다는 것이다.
더구나 후보지로 꼽히는 서창동, 매월동 등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있는데다 매월동의 경우 인근 군공항으로 인해 시설물 높이 제한이 있어 굴뚝을 45m 이상 높이지 못하는 등 제약 사항이 많다고 주민들은 반발했다.
서창동의 한 주민은 “당초 사업을 처음 추진할 때부터 자치구별로 주민 공청회와 견학 등 절차를 밟았어야 하는 것이 아니냐”며 “사업 종료 기간이 6년 남았다며 급하게 주민 설명회를 열다니 어불성설이다”고 지적했다.
세하동 주민은 “과거 상무소각장 인근 주민들도 날씨가 흐릴 때마다 악취가 풍겨온다는 불만을 쏟아냈는데, 아무리 기술이 좋아진다고 한들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며 “소각시설이 들어올 경우 그 존재만으로 불쾌한 이미지를 줄 텐데, 이에 대한 주민들의 염려를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명확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주민은 설명회 도중 “서구는 이미 상무소각장을 통해 악취 등 피해를 입었다. 다시는 서구 주민들이 피해를 입어선 안된다”며 설명회장을 박차고 나가기도 했다.
이에 광주시 관계자는 “상무소각장의 경우 음식물·하수 처리 등 시설이 밀집돼 악취가 발생하기 쉬운 구조였던데다가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해 악취 등 피해가 적다. 타 지역 소각 시설을 견학할 계획도 있으니 직접 체험해 볼 것을 권한다”며 “과거 진행 과정의 아쉬움은 있었으나, 앞으로 충분히 소통하면서 진행하겠다”고 해명했다.
앞서 지난달 26일 광산구에서 치러진 주민설명회에서도 비슷한 지적이 잇따랐던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구 삼도동의 한 주민은 “광주시가 소각장 설치 시의 문제점이나 주민들이 받을 피해는 무시하고 지원과 혜택만 강조해 주민들을 현혹하고 있다. 하다못해 쓰레기를 운반해 오는 과정에서도 악취 피해는 없을 수가 없지 않느냐”며 “국가와 지자체에서 당연히 설치해줘야 할 주민 편의 시설을 선심쓰듯 보상안으로 내놓고, 주민들과 소통하지도 않고 어떻게든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만 급급하다”고 날을 세웠다.
한편 광주시는 오는 2030년부터 시행되는 정부의 ‘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따라 5개 자치구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종합해서 처리할 쓰레기 소각장을 설치하는 사업을 추진해 오고있다.
2030년까지 3237억원(지하 설치시 4000억원)을 투입해 6만 6000여㎡ 공간에 하루 650t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드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광주시는 지난해 4월부터 소각장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를 하고 후보지를 물색해 왔으나 번번이 허탕을 쳤다.
광주시는 이달 중 제3차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를 내고 후보지를 다시 모을 계획이다. 이번 3차 공모에서는 자치구가 먼저 후보지를 공모해 입지 요건을 판가름한 뒤, 광주시로 넘겨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오는 21일 동구, 22일 북구, 28일 남구에서 자원회수시설 주민설명회가 잇따라 열릴 예정이다. 광산구는 26일부터 21개 동을 돌며 동별 설명회도 연다.
입지 공모는 이달 중으로 각 자치구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신청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50% 이상 동의를 받은 개인, 법인 등이 응모 대상이다.
/글·사진=유연재 기자 yjyou@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