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구 동물보호센터 입소 문턱부터 낮춰야
광주시가 유기동물을 일시적으로 맡아돌보는 ‘자치구 동물보호센터’(센터)를 개설한 지 수개월이 지났지만, 센터에 맡겨진 유기동물 가운데 한 달 평균 1~2마리만이 보호소에 입소하는 데 그쳤다고 한다. 광주시는 북구 본촌동에 있는 광주동물보호소로 유기동물이 몰리면서 포화상태가 지속되자 이를 해소하기 위해 센터를 도입했다. 지난해 북구와 광산구에 신고돼 보호소에 입소한 유기·유실동물은 각각 701마리와 830마리에 달한 점을 고려해 북구와 광산구의 동물병원에 센터를 위탁 운영한 것인데, 이곳에 입소한 동물들은 10일간 머물다가 보호소로 옮기게 된다.
하지만 운영을 시작한 지 수개월 동안 센터에 입소하는 유기동물 수가 현저히 적어 동물보호소 포화상태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북구(5월부터)와 광산구(3월부터)에 신설된 센터에 현재까지 입소한 유기동물은 총 13마리로 북구의 센터는 3개월 동안 2마리, 광산구 센터에는 5개월 동안 11마리가 각각 입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애초 위탁센터를 동물병원으로 지정하면서 수용조건이 더 까다로워진 데에 원인이 있다. 마리당 지원 예산이 20만 원(센터당 한해 최대 100마리)에 불과, 실질적인 치료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 등 다친 동물들은 입소가 안 되며, 전염병에 걸린 유기동물도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줄이고 돌봄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거란 기대와 달리 입양이 잘 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 좋은 유기동물만 센터로 간다는 게 동물보호단체의 지적이다.
반려동물 1000만 시대에 동물복지가 지자체의 책무가 된 지 오래다. 광주시는 유기동물의 센터 입소 조건이 너무 까다롭지는 않은지, 센터 운영을 동물병원에만 한정하는 지금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지 등을 면밀히 살펴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반려동물 1000만 시대에 동물복지가 지자체의 책무가 된 지 오래다. 광주시는 유기동물의 센터 입소 조건이 너무 까다롭지는 않은지, 센터 운영을 동물병원에만 한정하는 지금 정책이 실효성이 있는지 등을 면밀히 살펴 대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