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암호수 수심 1.5m로 낮춰 수질 ‘자연정화’
주민협의체·광주시·민간사업자 갈등 1년 3개월 만에 최종 합의
도심 속 명품 공원 탈바꿈…중앙공원 1지구 공원 조성사업 탄력
도심 속 명품 공원 탈바꿈…중앙공원 1지구 공원 조성사업 탄력
![]() 23일 오후 풍암호수 수질개선 주민협의체 위원들과 광주시,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 등이 참여한 ‘풍암호수 수질개선에 대한 전체회의’는 호수 바닥을 높이고, 외부의 맑은 물을 유입하는 자연정화 방식을 풍암호 수질개선안으로 합의했다. /나명주 기자 mjna@kwangju.co.kr |
1년 넘게 ‘원형 보전’을 놓고 논란과 협의가 진행되던 광주 풍암호수 수질 개선사업과 관련, 광주시와 주민협의체 등이 최종 합의하면서 사실상 논란의 종지부를 찍게 됐다.
이에 따라 풍암호수 원형보존 요구로 난항을 겪어왔던 광주 중앙공원 1지구 공원 조성사업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며, 풍암호수가 명실상부한 도심 속 ‘명품 호수공원’으로 탈바꿈될 것으로 전망된다.
23일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이날 시청에서 풍암호수 수질개선 주민협의체 위원과 광주시 관계자, 민간사업시행자인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이 참석한 가운데 ‘풍암호수 수질개선에 대한 전체회의’가 열렸다.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 1년 3개월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논란을 빚어왔던 원형보전 수질개선 방식에 최종 합의했다. 이날 합의안에 대해 주민협의체가 오는 31일 전체 주민 동의를 얻는 절차만 남았다. 주민 동의를 얻을 경우 그동안 원형보전과 수질 개선을 놓고 벌여온 논란은 끝을 맺고 본격적인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전체 회의에서 확정된 협상안의 핵심 내용은 풍암호수 바닥을 일부 성토한 뒤, 지하수를 비롯한 외부의 맑은 물을 유입하는 자연정화 방식을 사실상 수질개선안에 반영했다는 점이다.
그동안 논쟁의 핵심이었던 담수량의 경우 현재 45만t에서 15만t으로 줄이는 방안으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심 역시 현재 평균 6m 안팎의 수심을 1.5m로 줄이며 호수 내 Y형 비점배제 배수박스를 매설해 준공 기준 3급수의 수질을 상시 유지하는 방안에 주민협의체가 사실상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주민협의체에서는 호수의 수면적을 최대한 현행 호수의 크기로 유지할 것과 저수지 바닥 전체에 강자갈을 깔고 청소작업을 상시적으로 진행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우미광장 아파트 앞에 위치한 장미농원을 호수공원 인근으로 확대 이전하고, 호수주변 데크길과 맨발 황톳길 등 산책로 조성도 요구했다.
당초 광주시는 풍암호수를 매립해 수심을 1.5m로 낮추고, 수량도 15만t을 유지해야 한다고 고시했으나, 주민협의체의 반발로 인해 난항을 겪어왔다. 결국 광주시는 주민협의체가 수정 요구한 수심 2.8m유지, 수량 29만t 유지 등을 내용으로 한 수정안까지 고시했지만, 협의체 내부 갈등으로 이마저 부결되면서 그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논란만 지속되어 왔었다.
이에 광주시는 지난해 7월 원형보존에 대한 주민협의체의 요구로 갈등이 불거진 이후 약 1년 3개월 동안 강기정 시장 주재로 서구지역 전·현직 국회의원과 서구청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풍암저수지 수질 개선 사업 관련 설명회를 갖는 등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설득해가면서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이번 협의에서 결실을 맺었고, 앞으로 공원조성 사업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 주민참여형 공원조성사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긍정적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사업시행자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 관계자는 “늦었지만 지역 주민협의체와 협력해 풍암호수 조성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향후 광주시와 협의를 통해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설계변경에 착수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
이에 따라 풍암호수 원형보존 요구로 난항을 겪어왔던 광주 중앙공원 1지구 공원 조성사업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며, 풍암호수가 명실상부한 도심 속 ‘명품 호수공원’으로 탈바꿈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은 이날 회의에서 1년 3개월여 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논란을 빚어왔던 원형보전 수질개선 방식에 최종 합의했다. 이날 합의안에 대해 주민협의체가 오는 31일 전체 주민 동의를 얻는 절차만 남았다. 주민 동의를 얻을 경우 그동안 원형보전과 수질 개선을 놓고 벌여온 논란은 끝을 맺고 본격적인 사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동안 논쟁의 핵심이었던 담수량의 경우 현재 45만t에서 15만t으로 줄이는 방안으로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심 역시 현재 평균 6m 안팎의 수심을 1.5m로 줄이며 호수 내 Y형 비점배제 배수박스를 매설해 준공 기준 3급수의 수질을 상시 유지하는 방안에 주민협의체가 사실상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신 주민협의체에서는 호수의 수면적을 최대한 현행 호수의 크기로 유지할 것과 저수지 바닥 전체에 강자갈을 깔고 청소작업을 상시적으로 진행해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우미광장 아파트 앞에 위치한 장미농원을 호수공원 인근으로 확대 이전하고, 호수주변 데크길과 맨발 황톳길 등 산책로 조성도 요구했다.
당초 광주시는 풍암호수를 매립해 수심을 1.5m로 낮추고, 수량도 15만t을 유지해야 한다고 고시했으나, 주민협의체의 반발로 인해 난항을 겪어왔다. 결국 광주시는 주민협의체가 수정 요구한 수심 2.8m유지, 수량 29만t 유지 등을 내용으로 한 수정안까지 고시했지만, 협의체 내부 갈등으로 이마저 부결되면서 그동안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논란만 지속되어 왔었다.
이에 광주시는 지난해 7월 원형보존에 대한 주민협의체의 요구로 갈등이 불거진 이후 약 1년 3개월 동안 강기정 시장 주재로 서구지역 전·현직 국회의원과 서구청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풍암저수지 수질 개선 사업 관련 설명회를 갖는 등 주민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설득해가면서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이번 협의에서 결실을 맺었고, 앞으로 공원조성 사업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 주민참여형 공원조성사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긍정적 모범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민간사업시행자 빛고을중앙공원개발(주) 관계자는 “늦었지만 지역 주민협의체와 협력해 풍암호수 조성계획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향후 광주시와 협의를 통해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설계변경에 착수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박기웅 기자 pboxer@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