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오미크론이 우세종 됐다
광주 80%·전남 71% 차지
코로나 하루 400명 넘어서
코로나 하루 400명 넘어서
![]() 코로나 검사를 기다리는 시민들. <광주일보 자료사진> |
광주·전남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국 첫 사례다. 전염성이 강한 오미크론 확산으로 지역에서는 역대 하루 최대인 4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가파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17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으로 확인된 지난해 12월 18일부터 1주 동안 전체 변이 바이러스 가운데 오미크론은 33%였다. 오미크론은 2주 차에 41%, 3주 차에는 49%였지만 4주 차(1월 8∼14일)에는 80%를 기록하면서 압도적인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
광주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변이 감염 건수는 최근 1주일 동안 217건이 늘어 모두 571건이 됐다. 오미크론 확인 건수가 늘어나는 동안 확진자도 급증했다.
확진자 추이는 1주 차 460명, 2주 차 556명, 3주 차 571명에서 4주 차 1178명으로 늘어났다. 최근 일주일(10∼16일) 하루 평균 확진자는 189명으로 직전 주(3∼9일) 89명보다 배 이상 많다. 이 기간 광주시의 확진자 발생 건수가 많은 것은 전국 평균을 웃도는 진단검사의 영향도 크다는 광주시의 설명이다.
실제 광주시는 지난 1주일 간 하루평균 인구수 대비 1.4%인 2만명이 검사를 받았고, 확진판정을 받은 양성률은 1.1%였다. 같은 기간 전국적으로는 인구대비 0.77%가 검사를 받았고, 양성률은 광주보다 2배 이상 높은 2.3%를 기록했다. 광주의 높은 검사건수 때문에 감염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게 방역당국의 추정이다.
전남도 비슷한 상황이다. 전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4일까지 도내 코로나19 확진자 147명을 대상으로 오미크론 변이 여부를 검사한 결과, 이 중 105건이 오미크론으로 확인됐다. 의심 확진자 중 71%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이었다. 전국적인 오미크론 검출률은 26.7%를 기록 중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광주·전남은 지난 11일부터 연일 300명대를 기록했다. 17일에는 0시 기준 광주 237명, 전남 166명 등 403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첫 400명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는 오미크론 변이 대응을 위해 이날부터 24일(평일·주말 오후 1시부터 밤 9시)까지 광산구 광산구 하남3지구 주차타워2(하남동 1201)에 선별진료소를 추가 설치 운영한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17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광주에서 오미크론 변이가 처음으로 확인된 지난해 12월 18일부터 1주 동안 전체 변이 바이러스 가운데 오미크론은 33%였다. 오미크론은 2주 차에 41%, 3주 차에는 49%였지만 4주 차(1월 8∼14일)에는 80%를 기록하면서 압도적인 우세종으로 자리잡았다.
확진자 추이는 1주 차 460명, 2주 차 556명, 3주 차 571명에서 4주 차 1178명으로 늘어났다. 최근 일주일(10∼16일) 하루 평균 확진자는 189명으로 직전 주(3∼9일) 89명보다 배 이상 많다. 이 기간 광주시의 확진자 발생 건수가 많은 것은 전국 평균을 웃도는 진단검사의 영향도 크다는 광주시의 설명이다.
전남도 비슷한 상황이다. 전남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14일까지 도내 코로나19 확진자 147명을 대상으로 오미크론 변이 여부를 검사한 결과, 이 중 105건이 오미크론으로 확인됐다. 의심 확진자 중 71%가 오미크론 변이 감염이었다. 전국적인 오미크론 검출률은 26.7%를 기록 중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은 광주·전남은 지난 11일부터 연일 300명대를 기록했다. 17일에는 0시 기준 광주 237명, 전남 166명 등 403명으로, 코로나19 발생 이후 첫 400명대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편 광주시는 오미크론 변이 대응을 위해 이날부터 24일(평일·주말 오후 1시부터 밤 9시)까지 광산구 광산구 하남3지구 주차타워2(하남동 1201)에 선별진료소를 추가 설치 운영한다.
/박진표 기자 lucky@kwangju.co.kr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