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경북 ‘상생 협력’ 높인다
오늘 이철우 경북지사 전남 방문
대선공약 등 협력 공동합의 추진
대선공약 등 협력 공동합의 추진
![]() 김영록 전남도지사(왼쪽), 이철우 경북도지사 |
인구소멸 위기에 직면한 전남도와 경북도가 상생협력 강도를 높이며 정부에 인구소멸 특별법 제정을 포함해 균형발전을 촉구하기로 했다. 경부(서울~부산)라인에서 제외되면서 쇠락을 거듭하고 있는 광주·대구, 전남·경북이 함께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남도는 25일 “지난 2019년 12월 김영록 전남지사의 경북도청 방문에 대한 답방 방식으로 26일 오후 이철우 경북지사가 영주·울주군수 등과 전남도청을 찾는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당초 지난해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사태로 연기했다가 최근 전남과 경북이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시범 적용에 들어가면서 김 지사를 찾았다.
전남도와 경북도는 지난 2019년 전남·경북 상생교류 협약식을 갖고 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 공동 대응, 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 공동 협력, 관광상품 개발 및 홍보마케팅 공동추진 등 6개 과제에 합의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의 경우 전남도와 경북도가 함께 용역을 발주했으며, 정부부처, 국회 등을 찾아 특별법 제정을 요청하고 있다. 전남은 22개 시·군 중 18개, 경북은 23개 시·군 중 19개가 소멸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소멸위험지수는 해당 지역의 ‘20~29세 여성인구 수’를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산정하는데,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지역으로 보고 있다. 전남에는 이 값이 0.2 미만인 소멸 고위험 지역이 5곳이나 있다.
김 지사와 이 지사는 협력 과제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공동합의문에 서명하게 된다. 공동합의문에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인구소멸지역 특별법 제정, 전남과 경북이 추진할 공동 대선 공약 등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 지사는 전남도청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한 뒤 지난 2017년 9월 목포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에 조성된 ‘경북도민의 숲’을 둘러볼 예정이다.
전남도와 경북도는 지난 2013년 영남지역과 전남지역 국회의원이 동서화합을 위해 만든 ‘동서화합포럼’을 토대로 ‘백신글로벌산업화 기반구축 사업’, ‘국토 끝섬 주민 간 교류’, ‘경북도민의 숲-전남도민의 숲 조성’ 등의 사업을 함께 추진해왔다. 전남도와 경북도는 코로나 19, 수해 등 각 지역이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상호 지원해왔으며, 지난 4월에는 전남도가 경남도와 함께 추진중인 제28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의 남해안남중권 공동 유치에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
전남도는 25일 “지난 2019년 12월 김영록 전남지사의 경북도청 방문에 대한 답방 방식으로 26일 오후 이철우 경북지사가 영주·울주군수 등과 전남도청을 찾는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당초 지난해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 사태로 연기했다가 최근 전남과 경북이 함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시범 적용에 들어가면서 김 지사를 찾았다.
김 지사와 이 지사는 협력 과제의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공동합의문에 서명하게 된다. 공동합의문에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인구소멸지역 특별법 제정, 전남과 경북이 추진할 공동 대선 공약 등을 담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이 지사는 전남도청 직원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한 뒤 지난 2017년 9월 목포 김대중 노벨평화상 기념관에 조성된 ‘경북도민의 숲’을 둘러볼 예정이다.
전남도와 경북도는 지난 2013년 영남지역과 전남지역 국회의원이 동서화합을 위해 만든 ‘동서화합포럼’을 토대로 ‘백신글로벌산업화 기반구축 사업’, ‘국토 끝섬 주민 간 교류’, ‘경북도민의 숲-전남도민의 숲 조성’ 등의 사업을 함께 추진해왔다. 전남도와 경북도는 코로나 19, 수해 등 각 지역이 어려운 일이 있을 때마다 상호 지원해왔으며, 지난 4월에는 전남도가 경남도와 함께 추진중인 제28차 UN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의 남해안남중권 공동 유치에 지지를 선언하기도 했다.
/윤현석 기자 chadol@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