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라이프] 바캉스 후 차량 점검
침수땐 배터리 전극부터 분리
침수차량은 견인차로 옮겨야
비올땐 가장자리 차선이 안전
침수차량은 견인차로 옮겨야
비올땐 가장자리 차선이 안전
![]() ‘바캉스 후유증’은 사람뿐만 아니라 자동차도 겪는다. 여름휴가 때 장거리 운행을 한 차량은 휴가 뒤 반드시 점검해야 오래 탈 수 있다.
〈기아차 광주서비스센터 제공〉 |
산으로 바다로 즐거운 휴가를 보냈지만 휴가가 끝난 뒤 ‘바캉스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왠지 휴가기간이 짧아 아쉽고 피로도 쉽게 풀리지 않는다. ‘바캉스 후유증’은 여행의 동반자였던 자동차도 겪는다. 교통체증은 물론 폭염과 폭우, 바닷가의 소금기, 비포장도로 등에 시달려 곳곳이 성하지 않다. 이를 방치하면 차량의 수명이 줄어든다. 전문가들은 자동차를 오래 사용하려면 휴가 뒤 반드시 점검하라고 지적한다.
보쉬의 자동차 정비전문점 ‘보쉬카서비스(BCS)’의 도움을 받아 바캉스 후 차량 점검법을 알아봤다.
◇ 바닷가 염분, 차체 부식 원인=바닷가를 다녀왔다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염분이 차체를 부식시키고 도장을 변색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압세차로 차체 하단부와 구석진 곳까지 충분한 양의 물을 사용해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모래나 먼지가 많이 묻은 자동차를 걸레로 닦으면 미세한 흠집이 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물로 흘려보내야 한다.
또 장거리 운행을 할 경우 차량 내부에서 음식을 먹는 일이 많은데, 음식물 부스러기 등은 곰팡이균을 서식시키고 불쾌한 냄새의 원인이 되므로 차량 내부 청소도 함께하는 것이 좋다.
트렁크는 텐트, 우산, 각종 레저 장비 등 잡다한 물건을 싣기 때문에 각종 악취가 배기 쉽다. 시트를 들어내고 진공청소기를 사용해 말끔히 청소해야 냄새가 없다. 트렁크 속 예비 타이어까지 꺼내 습기를 없애면 곰팡이냄새 등 잡냄새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 오일류 점검은 필수=뜨거운 여름철 장거리 운행을 한 경우 오일류 점검은 필수다. 무더운 날씨에 장거리를 운행했다면 오일이 세거나 기포가 생겨 양이 줄고 묽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엔진오일과 브레이크오일 등을 체크한 뒤 이상이 있으면 교체해야 한다.
산악도로나 비포장도로를 달렸다면 차체하단부가 돌같은 장애물에 부딪혔을 수 있다. 작은 돌멩이지만 달리는 차량이 받는 충격은 크다. 차체하부가 충격으로 인해 오일이나 물이 새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 비포장도로를 오래 달렸을 경우 휠과 타이어에 무리가 갈 수 있는 만큼 휠 얼라인먼트와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 잦은 정체, 브레이크 점검을=휴가철 고속도로는 극심한 정체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게 된다. 정체가 잦으면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게 된다. 뜨거운 노면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으면 라이닝과 패드가 가열돼 제동력이 약해지는 ‘페이드현상’이 발생한다. 이럴 경우 급제동을 하면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점검해줘야 한다. 특히 긴 내리막길에서 계속 브레이크를 밟았을 경우 반드시 브레이크 라이닝과 패드를 점검해야 한다.
◇ 소음·진동 있다면=휴가철 이동이 잦다 보면 작은 손상 및 긁힘 또는 접촉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긁힘 등 손상 부위가 작다면 보수용 페인트나 미세한 입자의 컴파운드로 보수를 한 후 왁스를 입히는 방법도 요령이 될 수 있다.
이전에 없던 잡음이나 진동이 생겼다면 각 부위 연결 볼트와 완충고무를 점검해야 한다. 비포장도로같은 험한 지형을 운행할 경우 볼트가 다소 풀리고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고무도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욱기자 jwpark@kwangju.co.kr
◇ 바닷가 염분, 차체 부식 원인=바닷가를 다녀왔다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염분이 차체를 부식시키고 도장을 변색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압세차로 차체 하단부와 구석진 곳까지 충분한 양의 물을 사용해 깨끗이 씻어내야 한다. 모래나 먼지가 많이 묻은 자동차를 걸레로 닦으면 미세한 흠집이 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물로 흘려보내야 한다.
트렁크는 텐트, 우산, 각종 레저 장비 등 잡다한 물건을 싣기 때문에 각종 악취가 배기 쉽다. 시트를 들어내고 진공청소기를 사용해 말끔히 청소해야 냄새가 없다. 트렁크 속 예비 타이어까지 꺼내 습기를 없애면 곰팡이냄새 등 잡냄새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 오일류 점검은 필수=뜨거운 여름철 장거리 운행을 한 경우 오일류 점검은 필수다. 무더운 날씨에 장거리를 운행했다면 오일이 세거나 기포가 생겨 양이 줄고 묽어지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엔진오일과 브레이크오일 등을 체크한 뒤 이상이 있으면 교체해야 한다.
산악도로나 비포장도로를 달렸다면 차체하단부가 돌같은 장애물에 부딪혔을 수 있다. 작은 돌멩이지만 달리는 차량이 받는 충격은 크다. 차체하부가 충격으로 인해 오일이나 물이 새지 않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 비포장도로를 오래 달렸을 경우 휠과 타이어에 무리가 갈 수 있는 만큼 휠 얼라인먼트와 타이어 공기압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 잦은 정체, 브레이크 점검을=휴가철 고속도로는 극심한 정체로 가다 서다를 반복하게 된다. 정체가 잦으면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게 된다. 뜨거운 노면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으면 라이닝과 패드가 가열돼 제동력이 약해지는 ‘페이드현상’이 발생한다. 이럴 경우 급제동을 하면 제동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반드시 점검해줘야 한다. 특히 긴 내리막길에서 계속 브레이크를 밟았을 경우 반드시 브레이크 라이닝과 패드를 점검해야 한다.
◇ 소음·진동 있다면=휴가철 이동이 잦다 보면 작은 손상 및 긁힘 또는 접촉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긁힘 등 손상 부위가 작다면 보수용 페인트나 미세한 입자의 컴파운드로 보수를 한 후 왁스를 입히는 방법도 요령이 될 수 있다.
이전에 없던 잡음이나 진동이 생겼다면 각 부위 연결 볼트와 완충고무를 점검해야 한다. 비포장도로같은 험한 지형을 운행할 경우 볼트가 다소 풀리고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고무도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정욱기자 jwpark@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