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시 영광 한빛원전 컨트롤타워가 전북에?
광역방재센터 입지 부안으로 결정
장세일 전남도의원, 재선정 촉구
장세일 전남도의원, 재선정 촉구
![]() |
영광 한빛원전 광역방재센터 입지가 전북 부안으로 결정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전라남도의회 장세일 의원(더불어민주당·영광1·사진)은 24일 제36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한빛원전 광역방재센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광역방재센터는 방사선 유출 등 원전사고로 기존 영광 군서 방재센터 기능이 상실될 경우 신속히 이동해 사고 수습과 대응을 총괄하는 지휘본부다. 국비 100억 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제염실, 상황실, 회의실 등을 지상 3층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부지선정 위탁을 받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영광 한빛원전으로부터 30~35km 이내 부지를 대상으로 후보지를 공모했다.
전남도에서는 함평 해보면을 전북도에서는 부안군 진서면과 줄포면, 정읍 등 총 3곳을 후보지로 제출했다. 하지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전북 부안군 줄포면을 최종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장세일 의원은 “우리 도와 영광군은 원전 가동 이후 온·배수 피해 등 각종 사건·사고에 시달렸다”며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위험에도 불구하고 꿋꿋하게 정부를 믿고 따른 결과가 이것이냐”고 했다.
이어 “영광군민들의 대피 장소와 정반대 방향의 지휘본부는 광역방재센터 설립 취지를 망각한 처사”라며 “원전 인근에 있는 함평, 영광 주민들의 안전에 중점을 둔 새 기준에 의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전라남도의회 장세일 의원(더불어민주당·영광1·사진)은 24일 제36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한빛원전 광역방재센터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광역방재센터는 방사선 유출 등 원전사고로 기존 영광 군서 방재센터 기능이 상실될 경우 신속히 이동해 사고 수습과 대응을 총괄하는 지휘본부다. 국비 100억 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제염실, 상황실, 회의실 등을 지상 3층 규모로 건립할 예정이다.
전남도에서는 함평 해보면을 전북도에서는 부안군 진서면과 줄포면, 정읍 등 총 3곳을 후보지로 제출했다. 하지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전북 부안군 줄포면을 최종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했다.
이어 “영광군민들의 대피 장소와 정반대 방향의 지휘본부는 광역방재센터 설립 취지를 망각한 처사”라며 “원전 인근에 있는 함평, 영광 주민들의 안전에 중점을 둔 새 기준에 의한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