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일자리 불균형…청년 “일 할 기업 없어” 기업 “일 할 청년 없어”
인적자원개발위 2024 지역훈련 수요조사
퇴직자가 채용인원보다 많아…특·광역시 유일
전문계고 62%·대졸자 23% 취업 위해 ‘탈광주’
2025년 11월 17일(월) 17:45
<자료:2024 지역 훈련 수요조사 보고서>
심각한 일자리 수급 불균형 탓에 광주가 특·광역시 가운데 유일하게 퇴직인원이 채용인원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 전문계고 졸업생 5명 중 3명은 광주를 벗어나 일했고, 대학생도 5명 중 1명꼴로는 다른 지역으로 나갔다.

17일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24 지역 훈련 수요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상시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52개 산업)의 미충원율(채용인원 대비 미충원인원)은 4.8%로, 전년(4.1%)보다 올랐다.

광주에서는 3만332명을 채용하려 했지만 1471명이 채워지지 않았다. 1년 새 미충원율이 상승한 지역은 광주·서울·충북(각 0.7%포인트↑), 전북(0.3%포인트), 대전(0.1%포인트) 5개 시·도였다.

광주는 7대 특·광역시 중 유일하게 퇴직인원(3만1756명)이 채용인원(3만332명)보다 1424명 많은 초과유출 현상이 나타났다. 서울(5만명)과 부산·인천(각 1만명), 대구(4000명), 대전(3000명), 울산(500명) 등 다른 도시는 채용이 퇴직보다 많은 초과유입을 보였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업·사회복지 서비스업 퇴직자는 채용인원보다 962명 많았다. 건설업(450명), 사업시설 관리·사업 지원·임대 서비스업(154명), 도매·소매업(99명), 숙박·음식점업(52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대로 운수·창고업은 채용인원이 퇴직인원보다 196명 많았고, 정보 통신업(81명), 제조업(56명) 등 순이었다.

전체 미충원인원을 직업별 비중으로 나눠보면 돌봄 서비스직(간병·육아)이 26.1%로 가장 많고, 보건·의료직 18.1%, 운전·운송직 14.3%, 영업·판매직 12.9% 등 순으로 높았다. 미충원율을 기준으로 보면 관리직(임원·부서장)이 15.1%로 가장 높고, 반대로 경영·행정·사무직, 음식 서비스직, 사회복지·종교직 등은 0~1%의 낮은 수준을 보였다.

사업체 규모별로 보면 미충원인원의 40.3%가 30~99인 규모에서 발생했고, 10~29인 규모는 28.7%, 5~9인 4.0% 등이 뒤를 이었다. 광주 사업체 종사자의 비중이 가장 큰 곳은 10~29인 사업체(27.0%)였다.

채용인원을 경력 유무로 나눠보면 광주 신입직 비중은 69.6%로, 경력(30.4%)의 두 배가 넘었다.

하지만 신입사원 채용 노력에도 광주 신입직 미충원율(5.4%)은 경력 미충원율(3.5%)보다 높았다.

광주 업체 종사자 이탈이 심화하는데도 원활한 채용이 이뤄지지 않는 ‘일자리 불균형’은 지역 청년들의 ‘탈광주 현상’으로 번지고 있다.

<자료:2024 지역 훈련 수요조사 보고서>
광주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2024년도 광주지역 인력·훈련 수급분석 결과보고서’를 보면 2023년 2월 광주지역 전문계고 졸업생 중 국민건강보험이나 고용보험에 가입한 546명 중 339명(62.1%)은 광주 외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인적자원개발위가 10개 주요 시·도의 관외 이동률을 비교해보니 광주는 전국 평균(45.3%)을 크게 웃돌고, 서울(26.8%)의 2.3배 수준이었다.

광주지역 대학 졸업자도 2021년 졸업자(건강보험가입자 기준)의 22.6%는 다른 지역에 취업했는데, 이는 전년 이동률(20.7%)보다 1.9%포인트 오른 수치다.

장승현 광주인적자원개발위 책임연구원은 “일부 산업에 일자리 수요 쏠림 현상이 심화하기에 구직·채용 흐름에 맞는 인력 수급 대책이 필요하다”며 “최근 광주 전략산업인 인공지능(AI)을 포함한 정보통신 종사자 유입률이 높기에 연관된 직종에 대한 역량 향상 교육이 지속해서 요구된다”고 말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3369100792069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11월 17일 22:2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