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불법당원 모집 철퇴…지방선거 최대 변수 되나
출마 자격 박탈 강경 대응…광주·전남 당비 대납 등 전수조사
조사 결과 추가 징계 여부 따라 내년 지방선거 경선 요동칠 듯
조사 결과 추가 징계 여부 따라 내년 지방선거 경선 요동칠 듯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김병기 원내대표, 문진석 원내수석부대표가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대화하고 있다./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이 불법 당원 모집과 당비 대납 행위 혐의를 받는 전남지역 현역 기초단체장과 출마 예정자의 내년 지방선거 출마 자격을 박탈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면서 당원 전수조사 결과가 지방선거 최대 변수가 될 전망이다.
특히 민주당은 광주·전남지역 당원모집에 대한 전수조사를 예고하면서 또 다른 기초단체장에 대한 현미경 검증을 하고 있어 추가 징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민주당이 불법 당원 문제에 철퇴를 휘두른 것은 당원 주권시대에 맞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룰을 준비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경선 과정에 당원 참여를 강화했는데 일부 당원이 ‘오염’될 경우 당심을 제대로 경선에 반영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광주·전남 다른 선거구의 추가 징계 여부에 따라 내년 지방선거 결과도 요동칠 전망이다.
13일 민주당 한 관계자는 “전날 최고위원회에서 전남지역 현직 군수와 군수 후보 입후보 예정자, 광역의원 출마 예정자 등 3명에 대한 중징계에 나서겠다는 것은 ‘당원 주권시대’에 대한 당 지도부의 강력한 메시지이다”면서 “자격 박탈 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제명처리 의견도 나올 정도였으며, 광주·전남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날 정청래 대표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심각한 위법 행위를 자행한 3명에 대해 윤리심판원이 제명을 포함한 중징계를 최대한 빨리 내려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원 데이터베이스(DB) 정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거주지·휴대전화 중복, 당비 대납 정황이 있는 대상자를 추출해 4만6000건 정도의 의심 사례를 확인했고 이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되고 있다.
민주당은 한 주소지에 무더기 당원이 가입됐거나 동일한 인터넷 서버에 다수의 당원이 온라인 입당을 한 사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보고 있다. 이는 특정 정치인이 조직적으로 당원을 모집한 뒤 이를 경선에 활용하는 불법 행위를 사전에 막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앞서 광주시당과 전남도당도 자체 조사 등을 통해 당원 입당 과정에서 서류의 필체가 같거나 주소지 동일 사례 등을 적발해 관련 조치를 취했다.
이처럼 당원 모집 과정을 까다롭게 들여다보는 것은 앞선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 특정 종교의 개입 등이 문제로 지적됐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서울시 등지에서 특정 종교의 당원 가입 논란을 빚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도 민주당의 추가 조사에서 광주·전남의 현직 단체장이나 출마 예정자들의 후보자격 박탈 등의 추가 중징계가 내려진다면 경선 결과도 크게 요동 칠 전망이다.
또 광주시당과 전남도당의 자체 조사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지방선거 일부 출마 예정자들의 지지 세력 입당이 무더기로 거절된데다 중앙당의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추가로 입당이 취소될 경우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내년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 당원 참여 비율을 현재의 50%에서 최대 60%까지 늘리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고, 광역·기초의회 비례대표도 당원 투표로 선정하는 방안이 중앙당 차원에서 논의되면서 공천을 받기 위해서는 ‘당원의 힘’은 절대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후보 자격을 아예 박탈 당하거나 후보별로 지지 당원의 수가 인위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민주당의 이번 당원 전수조사 결과에 광주·전남 정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특히 민주당은 광주·전남지역 당원모집에 대한 전수조사를 예고하면서 또 다른 기초단체장에 대한 현미경 검증을 하고 있어 추가 징계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13일 민주당 한 관계자는 “전날 최고위원회에서 전남지역 현직 군수와 군수 후보 입후보 예정자, 광역의원 출마 예정자 등 3명에 대한 중징계에 나서겠다는 것은 ‘당원 주권시대’에 대한 당 지도부의 강력한 메시지이다”면서 “자격 박탈 뿐 아니라 이들에 대한 제명처리 의견도 나올 정도였으며, 광주·전남지역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민주당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원 데이터베이스(DB) 정비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거주지·휴대전화 중복, 당비 대납 정황이 있는 대상자를 추출해 4만6000건 정도의 의심 사례를 확인했고 이에 대한 추가 조사도 진행되고 있다.
민주당은 한 주소지에 무더기 당원이 가입됐거나 동일한 인터넷 서버에 다수의 당원이 온라인 입당을 한 사례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 보고 있다. 이는 특정 정치인이 조직적으로 당원을 모집한 뒤 이를 경선에 활용하는 불법 행위를 사전에 막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앞서 광주시당과 전남도당도 자체 조사 등을 통해 당원 입당 과정에서 서류의 필체가 같거나 주소지 동일 사례 등을 적발해 관련 조치를 취했다.
이처럼 당원 모집 과정을 까다롭게 들여다보는 것은 앞선 국민의힘 경선 과정에 특정 종교의 개입 등이 문제로 지적됐고, 민주당 내부에서도 서울시 등지에서 특정 종교의 당원 가입 논란을 빚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무엇보다도 민주당의 추가 조사에서 광주·전남의 현직 단체장이나 출마 예정자들의 후보자격 박탈 등의 추가 중징계가 내려진다면 경선 결과도 크게 요동 칠 전망이다.
또 광주시당과 전남도당의 자체 조사를 통해 광주·전남지역 지방선거 일부 출마 예정자들의 지지 세력 입당이 무더기로 거절된데다 중앙당의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추가로 입당이 취소될 경우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내년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 당원 참여 비율을 현재의 50%에서 최대 60%까지 늘리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고, 광역·기초의회 비례대표도 당원 투표로 선정하는 방안이 중앙당 차원에서 논의되면서 공천을 받기 위해서는 ‘당원의 힘’은 절대적일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후보 자격을 아예 박탈 당하거나 후보별로 지지 당원의 수가 인위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민주당의 이번 당원 전수조사 결과에 광주·전남 정가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오광록 기자 kroh@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