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도로·상하수관 노후화 심각…인프라 구축 시급
기반시설 투자 부족은 인구 유출·지역 소멸 직결…지역 성장 도모 필요
건설산업연구원 “지속가능 성장 위해 물류·에너지망 연계 산업 재편해야”
건설산업연구원 “지속가능 성장 위해 물류·에너지망 연계 산업 재편해야”
![]() /클립아트코리아 |
광주·전남지역 도로·상하수관 등 공공인프라의 노후화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토균형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라도 지방 중심의 인프라 구축 사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전남의 도로연장(도로용량)은 각각 1896㎞, 1만 865㎞로 비슷한 광역시, 도에 비해 짧은 편이다.
또 정수장(광주 2개·전남 88개)은 노후화가 심각하고, 내진 설계 미적용 사례 등도 많았다. 광주는 2개 모두 내진 설계가 적용되지 않았고, 전남은 88개 중 28개 정수장(31.8%)이 준공·개량 후 30년이 넘은 노후 정수장이었다.
또 88개 중 76개(86.4%)는 내진 설계 조차 적용되지 않았다.
노후 수도관을 뜻하는 ‘경년관’의 비율도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국 경년관 순위는 광주(44.2%), 전북(36.4%), 서울(36.3%) 순이었다. 그나마 전남의 경년관 비율은 18.7%였다.
보고서는 “상수관의 파손은 지반 침하 발생으로 연결되는 만큼 상수관 중 내용연한이 지난 경년관은 빠른 교체를 통한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시민의 안전 도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노후 하수관로도 수두룩했다. 광주의 노후 하수관로 비율은 61.6%로 비슷한 도시인 울산(45.1%)보다 훨씬 높았다. 전남의 노후 하수관로 비율은 11.9%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광주·전남의 기반 시설 투자 부족은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로 직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통 접근성과 산업 입지 경쟁력이 낮은 지역일수록 청년층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광주·전남의 경우 2015년 이후 20~30대 순이동률이 -8%를 기록, 전국 평균(-4%)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재정이 열악할 뿐만 아니라 자본 유출도 지속돼 중앙정부의 재정 투자를 통해 지역 자본 유출 보완과 지역 균형 성장 도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균형 발전 없는 인프라 확대는 불가능하며 인구와 산업이 수도권으로 쏠린 현 구조에선 어떤 성장 정책도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경제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재정 투자 확대, 지역 균형과 재정 보완을 위한 민간투자 사업의 활용 등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광주·전남은 제조·에너지 산업 비중이 높고 산업단지 기반이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노후화되고 있다”며 “도로·철도·물류·에너지망을 연계한 산업 기반 재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13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인프라 투자 확대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광주·전남의 도로연장(도로용량)은 각각 1896㎞, 1만 865㎞로 비슷한 광역시, 도에 비해 짧은 편이다.
또 88개 중 76개(86.4%)는 내진 설계 조차 적용되지 않았다.
노후 수도관을 뜻하는 ‘경년관’의 비율도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국 경년관 순위는 광주(44.2%), 전북(36.4%), 서울(36.3%) 순이었다. 그나마 전남의 경년관 비율은 18.7%였다.
노후 하수관로도 수두룩했다. 광주의 노후 하수관로 비율은 61.6%로 비슷한 도시인 울산(45.1%)보다 훨씬 높았다. 전남의 노후 하수관로 비율은 11.9%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보였다.
광주·전남의 기반 시설 투자 부족은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로 직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교통 접근성과 산업 입지 경쟁력이 낮은 지역일수록 청년층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광주·전남의 경우 2015년 이후 20~30대 순이동률이 -8%를 기록, 전국 평균(-4%)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보고서는 “지방은 수도권에 비해 재정이 열악할 뿐만 아니라 자본 유출도 지속돼 중앙정부의 재정 투자를 통해 지역 자본 유출 보완과 지역 균형 성장 도모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역 균형 발전 없는 인프라 확대는 불가능하며 인구와 산업이 수도권으로 쏠린 현 구조에선 어떤 성장 정책도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경고도 덧붙였다.
보고서는 이를 위해 경제 선순환 구조 구축을 위한 재정 투자 확대, 지역 균형과 재정 보완을 위한 민간투자 사업의 활용 등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전문가들은 “광주·전남은 제조·에너지 산업 비중이 높고 산업단지 기반이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노후화되고 있다”며 “도로·철도·물류·에너지망을 연계한 산업 기반 재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해나 기자 khn@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