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내년예산 7조6823억, 민생·미래투자
전남 12조7023억원, 인구감소 대응에 중점
![]() |
광주시와 전남도가 11일 2026년도 예산안을 동시에 내놓으며 내년 지역 살림의 큰 틀과 투자 우선순위를 공개했다.
양 시도는 민생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 미래산업 기반 확충, 인구감소 대응 등을 핵심 축으로 제시했다.
이날 광주시는 2026년도 본예산안을 7조6823억원으로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전년도 7조6043억원 대비 780억원(1.0%) 증가한 규모다. 지방세와 세외수입 등 자체수입은 올해보다 3.9% 감소했다. 반면 국고보조금 등 의존수입이 7.4% 늘어 재정 여건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일반회계는 6조2725억원(전년비 0.2%↑), 특별회계는 1조4098억원(5.0%↑)으로 편성했다.
‘광주시는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 함께 행복한 광주’ 실현을 목표로 , 국정과제 연계 사업과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 시민 삶의 질 제고에 중점을 뒀다.
시는 대규모 사업 시기 조정과 부진사업 구조조정, 사무관리비·업무추진비 절감으로 효율 재정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전남도는 내년도 예산을 12조 7023억원으로 확정하고 전남도의회에 제출했다. 내년 본예산은 올해보다 1587억원(1.3%↑) 증가한 액수로 일반회계 10조 4587억원(5%↑), 특별회계 1조 2355억원(8.5%↑), 기금 1조 81억원(30.1%↓)이다.
전남도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인공지능(AI), 에너지, 첨단산업 선도 도시로 도약하고 민생 회복 효과와 인구 감소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방점을 뒀다. 아울러 내년 전남도 예산은 지방세수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유사, 중복사업과 집행부진 사업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기반으로 마련됐다는 게 전남도 설명이다.
예산안은 시·도 의회 본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양 시도는 민생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 미래산업 기반 확충, 인구감소 대응 등을 핵심 축으로 제시했다.
이날 광주시는 2026년도 본예산안을 7조6823억원으로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
일반회계는 6조2725억원(전년비 0.2%↑), 특별회계는 1조4098억원(5.0%↑)으로 편성했다.
‘광주시는 ‘민생·성장·돌봄·기후 4대 전략, 함께 행복한 광주’ 실현을 목표로 , 국정과제 연계 사업과 지속가능한 도시 성장, 시민 삶의 질 제고에 중점을 뒀다.
시는 대규모 사업 시기 조정과 부진사업 구조조정, 사무관리비·업무추진비 절감으로 효율 재정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전남도는 내년도 예산안에서 인공지능(AI), 에너지, 첨단산업 선도 도시로 도약하고 민생 회복 효과와 인구 감소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방점을 뒀다. 아울러 내년 전남도 예산은 지방세수 부진에 대응하기 위해 유사, 중복사업과 집행부진 사업에 대한 강력한 구조조정을 기반으로 마련됐다는 게 전남도 설명이다.
예산안은 시·도 의회 본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된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김민석 기자 mskim@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