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가 기회…전남 인구감소지역 ‘인생 2막’ 무대로 주목
국회미래연구원 ‘중장년층 유입 방안’ 보고서
중장년층 순유입률 신안·영암·영광 등 상위권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 10곳 중 3곳이 전남
“지역 간 경쟁보다 광역단위 인구정책 필요”
중장년층 순유입률 신안·영암·영광 등 상위권
5년간 연평균 인구증가 10곳 중 3곳이 전남
“지역 간 경쟁보다 광역단위 인구정책 필요”
![]() |
![]() <자료:국회미래연구원> |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전남 16개 군(郡) 지역 모두 지난 2023년 50~64세 중장년층의 순유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개 지역에 한 해 동안 순유입한 중장년층 가구는 모두 2570가구로, 고흥군이 289가구로 가장 많았다. 신안군 237가구, 영암군 205가구, 함평군 190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에 중장년층 순유입이 늘어난 건 연령대별로 다른 삶의 추구 방향과 연관이 깊다. 청년층은 교육과 취업 기회를 찾아 도(道) 지역에서 광역시로 옮겨가지만, 중장년층은 생활의 질 향상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며 반대 방향의 이동을 보인다는 것이다.
지역의 실질적인 인구 변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순유입률을 보니 신안과 영암, 영광 등이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연령대별로 보면 50~54세 순유입률이 높은 지역은 경북 울릉군 4.97%에 이어 신안이 4.7%로 뒤를 따랐다. 순유입률은 순이동자수(전입자수-전출자수)를 연앙인구(해당 연도 중간 인구)로 나눈 비율로 산출된다. 55~59세 순유입률은 인천 강화군 3.86%, 신안군 3.71%, 영광군 3.39% 등 순이었다. 60~64세 순유입률은 인천 강화군 4.17%, 영암군 3.71% 등이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층의 유입은 인구 증가로 이어졌다. 인구감소지역 89곳의 최근 5년간(2020~2024년) 연평균 인구변화율을 보니 영암군은 1.4%의 증가율을 보이며 가장 높았다. 같은 기간 인구가 늘어난 곳은 강원 고성군 1.1%, 강원 횡성군 0.7%, 충남 예산군 0.6%, 신안군 0.3%, 전북 무주군 0.2%, 경북 울릉군 0.2%, 인천 강화군 0.1%, 경기 가평군 0.1%, 진도군 0.1% 등 모두 10개 지역이었다.
이들 10개 지역은 청년층(19~34세) 인구는 순유출했지만 중장년층(50~64세) 순유입이 일어나면서 인구가 늘어날 수 있었다.
전남 인구감소지역은 1시간 생활권에 있는 광주 중장년층의 선택이 주를 이뤘다. 광주에선 출발해 담양군으로 163가구, 장성군으로 124가구, 함평군으로 123가구의 순유입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지난 2023년 전남에서 중장년층 가구 순유입이 가장 많았던 고흥의 사례를 자세하게 다뤘다. 고흥군은 2021년 이후 인구 감소세가 둔화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에는 안정적인 중장년층 순유입을 보였다. 2020년 303명에서 2021년 433명, 2022년 546명까지 증가한 뒤 2023년 410명, 2024년 384명으로 약간 감소했지만 지속적인 순유입을 유지하고 있다. 전남에서 온 중장년층이 66.0%로 가장 많았고 경기(8.6%), 광주(7.0%), 서울(5.6%) 등 순으로 나타났다. 고흥은 경기도와 서울로부터의 유입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중장년층이 고흥을 선택한 이유로는 주택(44.0%)과 직업(25.0%)이 주를 이뤘고, 기타(11.4%), 자연환경(7.4%) 등이 뒤를 이었다.
보고서는 담양, 화순, 영암, 영광, 장성 등은 청년유출, 인구감소, 고령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더라도 유소년비율과 조출생률(인구 1000명당 새로 태어난 사람의 비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일자리와 산업, 환경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민보경 국회미래연구원 인구센터장은 “인구감소지역을 같은 잣대로 접근하기보다는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광역시 생활권형, 관광자원 활용형 등으로 유형화해 맞춤형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한 대도시와 연계성 강화, 의료 접근성을 높이는 체계 구축, 중장년층의 생활양식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주거단지 조성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어 “중장년층의 인구이동은 동일 광역권 내 이동이 주류를 이룬다”며 “지역 간 경쟁보다는 상생 발전하기 위해 광역시 중심부는 문화·의료·교육 인프라 등 정주 서비스를 담당하고 도 지역은 전원생활 공간을 제공하는 등 개별 시군 단위가 아닌 광역 단위의 통합적 인구정책 수립이 효과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남에는 행정안전부가 지난 2021년 지정한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가장 많은 16곳이 포함돼있다. 전남 인구감소지역은 강진, 고흥, 곡성, 구례, 담양, 보성, 신안, 영광, 영암, 완도, 장성, 장흥, 진도, 함평, 해남, 화순 등이 있다.
/백희준 기자 bhj@kwangju.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