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중심도시 광주’에 맞는 후속 대책 내놓길
2025년 10월 27일(월) 00:20
국가 인공지능(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 무산 후폭풍이 상당하다. 광주시는 물론 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반발은 말할 것도 없고 AI 일자리를 기대했던 청년들의 실망감도 상상 이상이다. 민선 8기 내내 표방해 온 ‘AI 중심도시 광주’가 마지막 단계에서 모래성처럼 허물어질 위기에 처했기 때문일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공모 사업인 국가 AI컴퓨팅센터는 컨소시엄의 기업 지분이 70%라고는 하지만 엄연히 정부가 주도하는 국책사업이고 이재명 대통령이 광주 유치를 공약한 마당에 후보지가 사실상 전남으로 결정됐으니 광주 민심이 술렁이는 것은 당연하다.

성난 민심을 달래려고 대통령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23일에는 우상호 정무수석이 “광주 시민께 송구하다. 약속은 변함없이 지키겠다”는 대통령의 말을 전했다. 오늘은 김용범 정책실장이 강기정 광주시장과 만나 후속 대책을 논의한다고 한다.

광주 민심을 청취하겠다는 발빠른 행보는 반길 일이다. 그러나 단순히 민심 청취에 그쳐서는 안된다. 국가 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에 버금가는 후속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면 성난 광주 민심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이다.

지역사회와 정치권은 다양한 후속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국회 과방위 소속 국회의원 12명도 성명을 내고 대한민국 AI 3강 도약을 위해 AI 중심도시 광주가 꼭 필요하다고 공감을 표시했다. 그러면서 광주에 (가칭)국가 AI연구소 설립과 국산 AI반도체의 실증과 검증을 담당하는 실증센터 조성, 국가 AI데이터센터 용량 업그레이드 등 3대 실행안을 제시했다.

대통령실은 지역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듣고 국가 AI컴퓨팅센터의 빈자리를 채울만한 대책을 마련하길 바란다. 국가 정책은 신뢰성이 가장 중요하다. 국책사업이자 대통령 공약사업마저 신뢰성을 잃는다면 다른 어떤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겠는가.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149200079098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7일 08:2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