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랜드플랜으로 최악의 기후위기 대비해야
2025년 10월 22일(수) 00:20
환경부와 국립환경과학원이 발간한 ‘한국 기후위기평가보고서 2025’는 광주·전남이 기후 변화로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상기후가 일상이 되고 있는 터라 안전한 곳이 없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리 지역이 농수산업 전반에 걸친 타격은 물론 극한 호우와 가뭄으로 인한 재난 위험이 가장 크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보고서는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저배출부터 고배출까지 4단계로 설정해 예상 시나리오를 제시했는데 현 수준으로 탄소배출량이 유지될 경우 전남의 해조류 서식 환경 변화로 전복 등 양식업이 직격탄을 입을 것으로 예측했다.

2100년이 되면 전남 연안 해수면이 최대 82㎝ 상승해 저지대 14㎢가 침수 위험구역으로 변한다는 전망도 내놨다. 해수면 상승은 해양 생태계뿐 아니라 연안 생활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타격이 클 것이다. 농작물도 급격하게 아열대 작물로 대체되고 그에 따라 열대거세미나방과 솔껍질깍지벌레 등 아열대 해충이 기승을 부릴 것은 자명하다.

기후위기 시대에는 극한 호우와 가뭄 등 ‘물 양극화’가 일상이 되는데 광주·전남이 양극화의 최대 피해 지역이 될 것이란 전망은 섬뜩하기까지 하다. 지난 20년간 영산강 유역의 시간당 100㎜ 이상 호우 발생 빈도는 두 배 늘었는데 50년 뒤에는 한국 남부의 폭우 강도가 북부의 1.54배, 연 최대 일강수량도 북부의 1.91배까지 상승할 것이라니 전망이 맞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탄소 배출이 줄지 않는 이상 기후위기는 피할 수 없는 현상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위기에 대응하는 그랜드플랜을 마련해야 한다.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 정책이 그랜드플랜의 큰 틀이겠지만 아열대 기후에 맞게 농어업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극한 호우와 가뭄으로 인한 재난에 대비하는 세밀한 대책도 필요하다. 노인 등 취약계층은 기후변화에 더 취약한 것을 고려해 고령화가 심한 전남의 경우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역에 맞는 맞춤형 대책을 지금부터 고심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1060000790791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2일 1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