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실현…광주시, 전기이륜차 충전시설 확충
올해 말까지 50기 설치
2025년 10월 19일(일) 22:00
광주시가 저탄소 도시 구현을 위해 도심 배달용 전기 이륜차 충전시설을 확충한다.

19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말까지 전기이륜차 배터리 교환형 충전시설 50기를 설치한다.

한국산업표준(KS) 규격을 적용한 표준형 설비로 누구나 30초 안에 배터리를 바꿔 쓸 수 있어 이용 장벽을 낮추고, 2045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힘을 보탤 전망이다.

시는 지난해 12월 공모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의 자회사 ‘쿠루’를 보조사업자로 선정해 사업비 1억원으로 17기를 우선 구축했고, 이달 16일부터 운영을 시작했다.

보조사업자는 환경부 공모에도 참여해 20기를 추가 확보했으며, 연말까지 13기를 더 설치해 총 50기 규모의 교환 거점을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에 들어서는 교환형 충전시설은 특정 제조사 전용이던 기존 방식과 달리 KS 표준을 따른다.

표준 규격을 채택한 전기이륜차라면 제조사와 관계없이 호환되며, 사용자는 방전된 배터리를 장비에 넣고 충전 완료 배터리로 바꿔 끼우면 된다. 기계식 자판기처럼 단순한 절차로 운영돼 교환 소요 시간은 30초 이내다.

광주시는 교환형 인프라 확충이 주택가의 공회전 소음과 배출가스를 동시에 낮출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배달 플랫폼 종사자들의 충전 대기 시간을 줄여 업무 효율을 높이는 효과도 기대된다.

시는 올해 전기이륜차 130대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차종과 성능에 따라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까지 차등 지원한다. 소상공인·장애인·차상위계층·농업인이 전기이륜차를 구매하면 해당 금액의 20%를, 배달용 차량에는 10%를 추가로 지원한다.

나병춘 시 기후대기정책과장은 “산업표준형 교환 설비 도입으로 시민 누구나 편리하게 전기이륜차를 이용할 기반이 마련됐다”며 “친환경 차량 보급이 생활 속에서 확산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올해 전기이륜차 130대에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차종과 성능에 따라 경형 140만원, 소형 230만원, 중형 270만원, 대형 300만원까지 차등 지원한다.

소상공인·장애인·차상위계층·농업인이 전기이륜차를 구매하면 해당 금액의 20%를, 배달용 차량에는 10%를 추가로 지원한다. 취약계층 추가 지원과 배달용 추가 지원은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60878800790686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20일 03: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