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한국코드페어’ 본선, 17~18일 광주서 열린다
AI 도시 광주, 10대 코더들과 소프트웨어 미래를 펼친다
![]() |
광주시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함께 17~18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컴퓨터프로그램 경진대회인 ‘제7회 한국코드페어’ 본선을 연다.
‘인공지능(AI)과 함께하는 미래, 창의적 혁신을 코드하다’를 내건 이번 행사는 전국 초·중·고 학생들이 소프트웨어와 AI 융합 역량을 겨루는 청소년 기술축제로, AI 중심도시 광주의 위상을 무대로 삼는다.
대회는 소프트웨어 공모전, 해커톤, 온라인 소프트웨어 공부방 등 세 축으로 진행된다.
소프트웨어 공모전에는 예선을 통과한 초·중·고 89개 팀이 참가해 사회 현안과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자체 제작 작품을 전시·발표하고, 부문별 10개 팀씩 총 30개 팀이 최종 수상작으로 뽑힌다.
해커톤은 중·고 각 15개 팀 등 30개 팀이 본선 무대에 올라 현장에서 공개되는 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해 심사를 받으며, 본선 평가를 통해 12개 팀을 가린다.
온라인 소프트웨어 공부방은 누구나 한국코드페어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참여할 수 있어, 현장 열기를 전국으로 확장한다.
광주시는 본선 참가자와 지역 학생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AI TECH+ 2025’와 연계한 AI 체험 콘텐츠를 마련한다.
드론 축구대회와 인공지능 체험존을 운영해 코딩을 넘어 센서·로봇·비전 등 실제 기술과 접점을 넓히고, 학부모를 위한 도시 투어도 병행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전일빌딩 등 대표 명소를 잇는 프로그램과 산림치유 코스가 포함돼 가족 단위 참여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강도 눈길을 끈다. 과학을 쉽고 흥미롭게 전해온 과학 유튜버 ‘궤도’가 17일 오후 3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인공지능 시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변화’를 주제로 강연한다.
강의는 현장 등록 후 무료로 들을 수 있으며, 생성형 AI의 확산이 크리에이터 생태계와 학습 방식,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사례 중심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전국 청소년들이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겨루는 장이 될 것”이라며 “광주가 AI 중심도시로서 미래인재 육성의 중심 역할을 하도록 현장 체험과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인공지능(AI)과 함께하는 미래, 창의적 혁신을 코드하다’를 내건 이번 행사는 전국 초·중·고 학생들이 소프트웨어와 AI 융합 역량을 겨루는 청소년 기술축제로, AI 중심도시 광주의 위상을 무대로 삼는다.
소프트웨어 공모전에는 예선을 통과한 초·중·고 89개 팀이 참가해 사회 현안과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자체 제작 작품을 전시·발표하고, 부문별 10개 팀씩 총 30개 팀이 최종 수상작으로 뽑힌다.
해커톤은 중·고 각 15개 팀 등 30개 팀이 본선 무대에 올라 현장에서 공개되는 주제에 대한 해결 방안을 도출해 심사를 받으며, 본선 평가를 통해 12개 팀을 가린다.
광주시는 본선 참가자와 지역 학생들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AI TECH+ 2025’와 연계한 AI 체험 콘텐츠를 마련한다.
드론 축구대회와 인공지능 체험존을 운영해 코딩을 넘어 센서·로봇·비전 등 실제 기술과 접점을 넓히고, 학부모를 위한 도시 투어도 병행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전일빌딩 등 대표 명소를 잇는 프로그램과 산림치유 코스가 포함돼 가족 단위 참여의 만족도를 높일 계획이다.
특강도 눈길을 끈다. 과학을 쉽고 흥미롭게 전해온 과학 유튜버 ‘궤도’가 17일 오후 3시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인공지능 시대,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변화’를 주제로 강연한다.
강의는 현장 등록 후 무료로 들을 수 있으며, 생성형 AI의 확산이 크리에이터 생태계와 학습 방식,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사례 중심으로 풀어낼 예정이다.
최태조 인공지능산업실장은 “전국 청소년들이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겨루는 장이 될 것”이라며 “광주가 AI 중심도시로서 미래인재 육성의 중심 역할을 하도록 현장 체험과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