챔피언스시티 사업 ‘흔들’ … ‘더현대 광주’ 일정은 그대로
총 3000억원 규모 공공기여금 차질에 광주시 재정도 빨간불
복합쇼핑몰 일정에 맞춘 도시철도와 BRT 건설 등 난항 예상
2025년 09월 30일(화) 19:40
30일 광주시 북구 임동 옛 전방·일신방직 부지에서 대규모 복합개발 프로젝트 ‘올 뉴 챔피언스시티’ 건설을 위한 모델하우스(사진 왼쪽 원형 건물)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eans@kwangju.co.kr
광주시 북구 임동 ‘챔피언스시티’ 사업의 시공사 재선정 지연이 현실화하면서, 광주시 재정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수천억 원 규모의 공공기여금 확보에 차질이 빚어지면, ‘더현대 광주’ 개점 일정에 맞춘 도시철도와 BRT(간선급행버스) 건설 등 광천권역 교통대책 추진에 비상이 걸리기 때문이다.

30일 광주시에 따르면 챔피언스시티복합개발PFV 시행사가 추진하는 챔피언스시티 사업에서 확보할 예정인 공공기여금은 총 3000억원 규모로, 주거복합1블록 1286억원, 주거복합2블록 1538억원, 랜드마크타워 176억원 등으로 구성돼 있다. 공공기여금은 개발사업 시행자가 광주시와 협약을 바탕으로 광주시에 납부하는 재원이다.

공공기여금은 착공일 기준으로 단계별 납부 방식으로 설계돼 있다. 1차분은 착공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10%(301억 원)를 납부하고, 이후 13개월, 25개월, 37개월 차에 각각 10%씩 납부한 뒤 준공 1개월 전에 나머지 60%(1800억 원)를 납부하면된다.

계획대로라면 주거복합2블록은 올 10월, 주거복합1블록은 내년 10월, 랜드마크타워는 2027년 2월 착공 예정이었지만, 시공사 재선정에 따라 모든 일정이 뒤로 밀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됐다.

결국 당장 올해 안에 받아야 할 1차분마저도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공공기여금 지연의 가장 큰 문제는 광천권역 교통대책의 핵심 사업들이 재원을 확보하지 못해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점이다. 해당 사업은 개발사업으로 발생하는 교통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광주시는 도시철도 상무광천선 건설비 6925억 원 중 시비 부담분 2770억 원과 BRT 건설비 526억 원 가운데 총 3091억 원을 공공기여금으로 충당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광주시가 제시한 공공기여 ‘현금 활용’의 우선순위는 상무광천선과 간선급행버스(BRT), 광천 그린로드·에코브릿지, 서림로~신안교 연결도로, 북구 장기미집행시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상무광천선·BRT의 시비 부담분은 “시 재정 투입 없이 사전협상 공공기여금 등으로 충당한다”는 내용이 전제돼 있다. 공공기여의 입금 속도가 교통대책의 집행 속도를 정하는 구조다.

이 밖에도 광천 에코브릿지와 그린로드 조성사업비 180억 원, 서림로~신안교 간 도로 개설, 북구 장기미집행시설 설치비용 20%(600억 원) 등도 모두 공공기여금을 재원으로 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도시철도 상무광천선은 2032년 완공을 목표로 내년 상반기 국토부 승인과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를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재원 확보에 차질이 생기면 사업 추진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광주시는 일단 사업 지연에 대비해 자체 예산으로 선투입하거나 사업 연동 과제의 착수를 늦추는 방법 등을 고민하고 있다.

문제는 광주시 재정 여건이 공공기여금 지연분을 자체 예산으로 메우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광주시는 최근 수년간 코로나19 대응, 도시철도 공사 장기화, 공원일몰제 부지 구매 등 각종 현안사업 추진으로 재정 부담이 가중된 상태다.

특히 북구 서림로~신안교 간 도로 개설의 경우 더현대 광주 단지 내 도로와 연결하는 구조로, 더현대 광주 준공 일정에 맞춰 추진해야 하는 탓에 사업비 확보는 필수적이다.

사업 지연에 따른 공공기여금 지연 사태는 개발 이익 환수라는 사업의 근본 취지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챔피언스시티와 더현대 광주 등 대규모 개발로 인한 교통 혼잡과 기반시설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비용을 개발업체가 부담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시공사 재선정이 장기화한다면 최악의 경우 사업 자체가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미 건설업계에서 수익성 문제가 거론되고 있으며, 1군 업체들도 선뜻 나서기를 꺼리는 상황으로 알려지고 있다.

광주시도 단기 지연은 감수할 수 있지만, 1년 이상 장기 지연된다면 별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사업시행자들이 전국 개발업계의 큰손들이어서 쉽게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혹시 모를 최악의 상황까지 대비해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9228800790058277
프린트 시간 : 2025년 10월 01일 07:0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