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도 전산망 이중시스템 미비
광주, 예산부족 서버 이중화 못해
전남, 같은 공간에 구축 화재 취약
2025년 09월 29일(월) 20:15
광주시청 4층 전산실 전경.
전남도가 최근 화재가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정자원)과 유사한 전산망 운영체계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광주시도 예산 한계로 이중 체계 운영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는 등 지자체 전산망의 문제점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관련기사 3·6면>

29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 데이터센터는 광주시청 4층에 621.6㎡ 규모로 운영 중이다. 전산실에는 총 81개 랙과 656대의 서버가 설치돼 있으며, 정보시스템 수는 100여개(정보자원관리 기준 76개)에 달한다.

광주시는 대전 정자원과 달리 데이터센터(4층)와 UPS(긴급전원공급장치) 배터리실(지하2층)이 물리적으로 완전 분리돼 있어 화재 확산 위험성이 적다.

또 정자원의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황산배터리를 사용해 화재 위험성도 상대적으로 낮다.

하지만 광주시도 예산 문제로 모든 정보시스템의 실시간 이중화는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똑같은 환경을 갖춘 ‘쌍둥이’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소에 갖춰놓고 화재 등 재난 상황이 벌어졌을 때 같은 기능을 맡도록 하는 체계다.

현재 11개 핵심 시스템만을 분기별로 전북·전남 등 타 지자체와 상호 백업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화재 등에 대비하기 위한 원초적 시스템이다.

NHN 클라우드에도 시 홈페이지 등 36개 시스템을 백업하고 있다. 사설업체에 맡기는 위탁백업 방식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 이중화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어 정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중요하다고 판단한 시스템만 나름대로 이중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남도의 경우 100% 백업 시스템을 갖춰놓고 있다는 입장이다. 또 홈페이지와 고향사랑정보시스템, 남도장터 등 절반 이상이 넘는 시스템의 이중화 구축이 이뤄졌다는 게 전남도 설명이다. 다만, 물리적으로 분리된 장소가 아닌, 같은 장소에 구축됐다는 점에서 화재 등 재난 상황이 벌어졌을 때 비슷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국 지자체도 광주·전남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지만, 정부는 대규모 예산 부담을 이유로 전면적인 이중화 구축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광주시는 내년 교체주기가 도래하는 배터리 교체(3억원)를 위한 예산 편성이 진행 중이지만, 전체 시스템 이중화까지는 아직도 예산 확보가 요원한 상태다.

한편, 이번 화재 이후 광주시 자체 시스템은 정상이나 중앙 연계 민원은 곳곳이 막혔다. 주민등록 일반 민원과 전입·변경 등은 복구됐지만, 전자바우처 결제 21개 사업은 결제 기능이 멈춰 서비스 먼저 제공 후 사후 정산으로 우회하고 있다.

/김지을 기자 dok2000@kwangju.co.kr

/정병호 기자 jusbh@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9144500790013004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9일 23:1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