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토박이 ‘18번 방의 형’] 죽음을 불사했던 두 청년, 꺼지지 않은 ‘오월의 불꽃’
다음달 2~3일 동구 민들레소극장
1980년 광주교도소서 단식 투쟁
故 박관현·신영일 열사 이야기
2025년 09월 23일(화) 20:40
연극 ‘18번 방의 형’작품 이미지컷.
“나는 아직 죽을 때가 아닌데…”

1982년 10월 12일 새벽, 전남대 병원에서 눈을 감은 청년이 남긴 마지막 말이다. 전남대학교 총학생회장이자 1980년 오월의 불꽃을 온몸으로 살아낸 박관현. 그는 동지 신영일과 함께 광주교도소에서 40일간 단식으로 맞섰지만 끝내 돌아오지 못했다.

죽음을 각오하고 불의에 맞섰던 두 사람의 이야기가 연극으로 되살아난다.

극단 토박이가 ‘18번 방의 형’을 오는 10월 2일(오후 7시 30분), 3일(오후 3시) 광주 동구 민들레소극장에서 무대에 올린다. 지난해 ‘광천동 청년 용준씨’로 큰 울림을 전한 오월 휴먼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이다.

‘18번 방의 형’은 1982년 광주교도소에서 벌어진 옥중 단식투쟁을 소재로 한다. ‘내란 중요 임무 종사자’라는 이름으로 징역 5년을 선고받은 박관현, 그리고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수감된 신영일은 군부정권이 은폐한 5·18의 진실과 재소자 인권유린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목숨을 건 단식을 시작했다.

40여일간 이어진 싸움 끝에 박관현은 결국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의 죽음은 오월의 불꽃이 꺼지지 않았음을 증명하며 이후 민주주의 투쟁의 기폭제가 되었다.

이번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관객을 단순한 관람자가 아닌 ‘참여자’로 끌어들이는 무대 장치다. 연극은 ‘교도소 특별 체험 프로그램’이라는 설정으로 시작된다. 관객은 신체검사, 머그샷 촬영, 죄수복 입기 같은 과정을 거치며 스스로 극의 일부가 된다. 때로는 유쾌하게, 때로는 무겁게 이어지는 체험 속에서 ‘죄’의 의미가 흔들린다.

고(故) 박관현·신영일 열사의 이야기를 다룬 연극 ‘18번 방의 형’이 10월 2~3일 민들레소극장에서 펼쳐진다. 작품 이미지컷. <극단 토박이 제공>
극이 진행되면서 시선은 ‘그곳에 갇힌 사람들’로 향한다. 일제 강점기 나라의 독립을 위해 싸우다 죄인이 된 수많은 독립투사들, 안중근을 도왔던 간수 지바 도시치 같은 인물들이 극중극으로 등장한다.

이어 1982년 광주교도소에서 단식투쟁에 나선 박관현과 신영일의 이야기가 이어지며 관객에게 묻는다. “그들은 과연 죄인인가? 진정 벌을 받아야 할 자는 누구인가?”

박관현은 1953년 영광에서 태어나 전남대 법과대학에 입학한 뒤 들불야학 강학으로 활동하며 노동자 실태조사에 앞장섰다. 1980년 4월 전남대 총학생회장에 선출된 그는 5·18 직전까지 민족민주화성회를 주도했다. 항쟁 직후 수배를 피해 2년간 은신하다가 체포돼 옥중 단식 끝에 스물아홉 해 짧은 생을 마쳤다.

신영일은 1958년 나주에서 태어나 전남대 국사교육과에 진학, 들불야학에서 국사를 가르치며 노동자 조사와 학생운동에 뛰어들었다. 1982년 교도소에서 박관현과 함께 단식에 나섰고, 병보석으로 풀려난 뒤에도 청년운동에 매진하다 1988년 과로로 세상을 떠났다. 두 사람은 망월동 묘역에 함께 잠들어 있다.

작품은 5·18을 엄중하게만 재현하지 않는다. 체험과 상징을 통해 관객의 몰입을 이끌어내며, 배우들은 교도소 프로그램 진행자이자 수감자로 변주해 진지함과 풍자를 오간다. 단출한 무대 위에서는 빛과 음악, 안무가 교차하며 역사의 순간을 함께 그려낸다.

임해정 극단 토박이 대표는 “이 작품은 박관현과 신영일이 목숨으로 지키려 했던 진실을 오늘에 다시 묻는다”라며 “관객들이 연극을 통해 그 시대의 순수한 열망과 인간애의 가치를 함께 느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8627600789774007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3일 23:3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