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업 외국인 산재 급증…전남 재해 취약성 크다
2020년 149명서 지난해 293명 96% 급증…전체 증가폭보다 커
자격증·안전교육·장치없이 투입…사업장 점검·안전교육 등 절실
2025년 09월 21일(일) 20:20
/클립아트코리아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 중 농·어업분야 피해인원 증가폭이 5년 전에 비해 1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외국인노동자 의존도가 높은 전남 지역의 재해 취약성 보완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21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안양만안)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받은 ‘업종별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 피해자는 455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농·어업분야에서의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 피해는 2020년 687명에서 지난해 801명으로 늘었다.

외국인 노동자의 산업재해자 수는 7583명(2020년), 8030명(2021년), 8286(2022년), 8792명(2023년), 9219명(2024년)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또 2025년 상반기에만 4057명이 다치고 59명이 사망하면서 올해 산재 피해자가 9000명을 웃돌 것이라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사망자는 매년 세 자릿수를 기록했다. 2020년 118명에서 2022년 108명으로 잠시 줄었으나 지난해에는 114명으로 다시 늘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일어났다. 지난해 기준 제조업 재해자는 3602명, 건설업 재해자는 3402명으로 전체 외국인 노동자 재해의 75%를 차지했다.

건설업에서만 48명이 숨졌고, 제조업에서도 36명이 목숨을 잃어 두 업종의 사망자를 더하면 전체 사망자의 73%를 차지한다.

농·어업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 피해인원 증가폭이 전체 산업재해 증가폭보다도 큰 것으로 드러났다.

농·어업 전체 산업재해는 2020년 687명에서 지난해 801명으로 16% 증가했지만, 외국인 노동자 재해는 같은 기간 149명에서 293명으로 96% 급증했다.

외국인 노동자 농업 의존도가 높은 전남 지역 역시 재해 취약성이 크다는 점에서 사업장 점검과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업안전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할 수 밖에 없다.

전남은 농촌 고령화와 인력 부족으로 계절근로자·이주노동자 비중이 높은데, 이들 상당수가 농·어업용 기계 작업 등에 자격증이나 안전교육·장치 없이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도 전남 곳곳에서 지역사회의 무관심이 빚은 ‘인재’가 발생하면서 외국인근로자 고용 및 관리의 사각지대 문제가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지난달 10일 고흥군 두원면 한 새우양식장에서 20대 태국인 근로자 A씨와 30대 베트남인 B씨가 수중 모터에 의해 감전돼 숨졌고, 하루 전인 같은달 9일에는 곡성군 곡성읍 한 농로에서 베트남 국적 30대 C씨가 자신이 몰던 지게차에 깔려 숨졌다. 2년 전 계절노동자로 입국한 그는 지게차 자격증이 없는 채로 불법 파견업체를 통해 해당 농가에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올 3월에는 영암군의 한 돼지농장에서 네팔 국적의 20대 노동자가 농장주의 폭언과 폭행 등에 시달리다가 사망하기도 했다.

이런 사고의 원인으로는 계절·단기 인력이 집중적으로 투입되고, 농장주 1인을 중심으로 소규모로 운영되는 사업장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안전관리·감독 의무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다는 지역의 구조적 취약성이 꼽힌다.

강득구 의원은 “‘일하는 모든 사람이 건강하고 안전한 나라’가 이재명 정부의 목표인 만큼 외국인 노동자도 예외일 수 없다”며 “외국인 노동자 산업재해에 대한 철저한 원인 분석과 다국어 안전교육 의무화, 외국인 전담 안전관리자 배치 등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진아 기자 jinggi@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8453600789660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22일 00:1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