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구조 개선으로 먹거리 물가 잡아야
2025년 09월 16일(화) 00:00
우리나라 먹거리 물가는 세계에서도 알아 줄 정도다. 푸드플레이션이 일상이 될 정도인데 우리나라의 식료품 물가는 OECD 38개국 평균보다 1.5배나 높아 스위스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7%로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지만 농축수산물 가격은 4.8%나 올라 13개월 만에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먹거리 물가 상승 원인은 농산물 자급률이 낮고 유통 비용이 높기 때문인데 자급률이야 당장 끌어올릴 수 없다지만 유통 비용은 구조 개선을 통해 낮출 수 있는데도 개선되지 않고 있어 문제다.

소비자들이 사 먹는 농축산물 가격의 절반 가량이 유통비이고 유통비 비중이 해마다 늘었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내놓은 ‘국내 유통실태’ 자료에 따르면 농산물 가격에서 유통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3년 기준으로 평균 49.2% 였다.

소비자가 농산물을 1만원에 구매하면 유통 과정에 4920원이 들어갔다는 것인데 이 비율이 1998년 39.8%에서 해마다 증가하면서 10%가량 상승했다. 유통업체의 이윤율도 2023년 기준 14.6%로 5년 전보다 1.3% 오른 것을 보면 유통 구조 개선이 얼마나 절실한지 알 수 있다.

특히 신선도가 중요한 품목인 양파와 배추, 무 등은 유통비 비중이 70~80%에 달했는데 경매 중심인 국내 유통 구조가 이런 현상을 부추긴다.

정부도 이런 문제점을 알고 유통 구조 개선을 추진한다고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먹거리 물가 상승은 소비를 줄일 수 없는 서민층에 더 심각한 타격을 준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소득 하위 20%의 지난해 소득 대비 식료품 지출 비율은 31%로 소득 상위 10%의 3배에 달했다. 먹거리는 필수 소비재로 가격이 오른다고 해서 줄일 수 없다보니 서민들이 가장 큰 피해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유통 구조 개선을 위해 추진하겠다는 온라인 도매시장을 확대하고 정가·수의매매를 조속히 도입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7948400789425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9월 16일 06: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