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함 논란’에 보이콧, 신뢰도 없는 여론조사
광주시교육감 선거 출마 예정자들 사이에 여론조사를 놓고 ‘직함 논란’이 일고 있다. 한 출마 예정자의 직함에 ‘노무현’이란 이름이 붙느냐 여부에 따라 지지율이 1위에서 4위를 오가면서 다른 후보들이 보이콧을 선언하며 언론사의 여론조사 불참을 선언했다.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광주시교육감 선거에 현재 4명의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3명이 지역 언론사의 여론조사 불참을 선언했다. 이 중에는 현직인 이정선 교육감도 포함돼 있다. 후보 중 한 명인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이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할 경우 1위를 한 반면 ‘전 광주전자공고 교장’이란 직함을 사용한 다른 여론조사에선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직함에 따라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이 교육감을 포함한 나머지 3명은 특정 정치인을 연상시키는 직함 표기는 정치적 상징성을 끌어다 쓰는 행위로 교육을 정치화 해 조사 결과를 심각하게 왜곡한다며 공정성과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선거때마다 후보들의 직함 논란이 있었지만 이번처럼 다른 후보들이 보이콧을 선언할 정도로 심각한 적은 없었다. 여론조사가 후보 결정의 중요 기준이 되고 지명도 평가이다보니 어떤 직함을 사용하느냐를 두고 후보들 간 신경전이 치열하게 벌어진다. 특히 호남에선 진보정권 대통령 관련 직함을 사용할 경우 높은 지지율이 나오다보니 후보들 간 직함 논쟁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현행법상 교육감 선거 후보자는 특정 정당으로부터 지지·추천받고 있음을 표방해선 안 된다. 2022년 전북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한 후보가 ‘이재명’ 직함을 사용했다가 기소돼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는 사실에 근거한 직함 사용을 제한할 수 없다며 여론조사 기관이 알아서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여론조사 기관의 공정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원칙이 중요한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 문제다. 한 지역 언론사는 최근 광주시장 선거에 입지를 밝힌 정치인 A씨를 배제했다가 당사자가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언론사들의 여론조사가 잦아지고 있다. 직함 하나에도 공정한 원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언론 본연의 역할에서도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선거관리위원회도 여론조사 기관에만 맡기지 말고 명확한 원칙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지는 광주시교육감 선거에 현재 4명의 후보들이 거론되고 있는데 이 가운데 3명이 지역 언론사의 여론조사 불참을 선언했다. 이 중에는 현직인 이정선 교육감도 포함돼 있다. 후보 중 한 명인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이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할 경우 1위를 한 반면 ‘전 광주전자공고 교장’이란 직함을 사용한 다른 여론조사에선 4위를 차지할 정도로 직함에 따라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현행법상 교육감 선거 후보자는 특정 정당으로부터 지지·추천받고 있음을 표방해선 안 된다. 2022년 전북교육감 선거 과정에서 한 후보가 ‘이재명’ 직함을 사용했다가 기소돼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하지만 선거관리위원회는 사실에 근거한 직함 사용을 제한할 수 없다며 여론조사 기관이 알아서 판단할 문제라는 입장이다.
따라서 여론조사 기관의 공정하고 신뢰성을 높이는 원칙이 중요한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 문제다. 한 지역 언론사는 최근 광주시장 선거에 입지를 밝힌 정치인 A씨를 배제했다가 당사자가 법원에 가처분신청을 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언론사들의 여론조사가 잦아지고 있다. 직함 하나에도 공정한 원칙을 따르지 않는다면 언론 본연의 역할에서도 신뢰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선거관리위원회도 여론조사 기관에만 맡기지 말고 명확한 원칙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