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여름철 특히 8월 중순 이후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 벌 쏘임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9만 1천여 명이며, 50대 이상이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예방을 위해 밝은색 옷과 긴 옷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벌집 발견 시 직접 제거하지 말고 전문가나 119에 신고해야 한다.
향이 강한 향수·음료도 피해야 하며,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즉시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행정안전부는 여름철 특히 8월 중순 이후 벌의 활동이 왕성해지면서 벌 쏘임 사고가 급증하므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 벌 쏘임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9만 1000여 명이며, 50대 이상이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예방을 위해 밝은색 옷과 긴 옷으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벌집 발견 시 직접 제거하지 말고 전문가나 119에 신고해야 한다.
향이 강한 향수·음료도 피해야 하며, 벌집을 건드렸을 경우 즉시 대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글·그래픽=고단이 인턴
dhui9698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