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에서 옛 도청 분리는 정체성 흔드는 일
2025년 08월 22일(금) 00:00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설립 취지는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인 민주·인권·평화의 가치를 국내외에 전파하는 데 있다. ACC가 자리한 옛 전남도청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최후 항쟁지로 역사적 상징성이 크다. 정부가 ACC를 광주에 조성하면서 장소를 옛 전남도청 일대로 선정한 이유이기도 하다.

ACC를 구성하는 5개 원 가운데 민주평화교류원(옛 전남도청)을 중심으로 전시와 공연, 어린이 문화기관 역할을 하는 나머지 4개 원을 배치한 것도 옛 전남도청의 상징성에 의미를 두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ACC에서 민주평화교류원을 분리하려는 움직임과 함께 ACC 운영 주체를 놓고 논쟁이 일고 있다.

그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조성지원포럼이 이슈 포럼을 열고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것도 이런 논쟁을 잠재우려는 의도였다. 전문가들은 민주평화교류원을 ACC에서 분리하려는 것은 아특법(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에 관한 특별법)에도 어긋난다고 입을 모았다.

아특법에 따른 조성사업 3차 수정계획에 “충실한 도청 복원으로 민주·평화·인권 정체성을 확립하라”고 제시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 운영 주체에 대해서도 현재 4가지 방안이 거론중인데 기존처럼 ACC에서 직접 운영해야 한다는 주장이 주를 이뤘다.

대다수 광주시민들의 생각도 전문가들의 의견과 같을 것이다. ACC에서 옛 전남도청이 포함된 민주평화교류원을 분리하는 것은 5·18민주화운동을 배제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만약 민주평화교류원을 제외한다면 ACC는 그냥 그런 문화기관의 하나 일 뿐이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 문제에 대해 더 이상 좌고우면 하지 않길 바란다. 몇 차례 시민 의견도 수렴한 만큼 민주평화교류원 분리 문제와 운영 주체에 대해 결론을 내야 할 것이다.

ACC의 설립 취지가 무엇인가. 민주·인권·평화를 기반으로 아시아문화예술의 발신자이자 교류 허브를 표방한다면 더 이상 논쟁을 할 이유가 없다.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5788400788354074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2일 11: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