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시민단체 “위안부 합의 유지는 굴욕”
강제동원시민모임 “이재명 정부가 제3자 변제안 잘못 바로잡아야”
2025년 08월 21일(목) 20:55
이재명 대통령이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박근혜 정부의 ‘한일 위안부 합의’, 윤석열 정부의 ‘강제동원 제3자 대위변제안’ 등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히자 광주를 비롯한 전국 시민단체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1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권이 국민 반발 속에 강행한 강제동원 제3자 대위변제안의 잘못을 이재명 정부가 바로 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위안부 합의는 양국 간 합의문 한 장 없이 10억 엔에 피해자의 존엄을 팔아넘긴 굴욕적인 행위이며, 강제동원 제3자 변제 발표도 구두 약속조차 없이 윤석열 정권이 일방적으로 일본 피고 기업에 면죄부를 주겠다고 한 것”이라며 “대표적인 굴욕외교, 매국 외교 사례로 국민의 지탄을 받았던 사안들에 대해 빛의 혁명으로 출범한 이재명 정권이 탄핵 당한 정권의 외교 실책을 바로잡아야 하는 것은 두말할 것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재명 정부가 ‘국가 간 약속’을 구실로 ‘일관성’을 운운하는 것도 현실을 호도한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제3자 변제 발표 당시 ‘삼전도 굴욕에 버금가는 외교사 최대 치욕’이라는 목소리를 높였던 것은 무엇인지 묻고 싶다”고 지적했다.

전국적으로도 반대 목소리가 잇따랐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이날 서울 종로구 향린교회에서 ‘역사정의 평화 실현을 위한 시민사회 시국선언’을 열었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도 “이전 정권의 과오를 반복하지 말고 역사정의 실현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취지의 성명을 냈다.

촛불행동도 논평을 내고 “일본의 식민지 범죄 역사에 면죄부를 주고 군국주의 재무장화에 날개를 달아준 윤석열 정권의 친일외교정책을 그대로 답습해서는 안 된다”며 “잘못된 한일 합의는 바로 잡아야 한다”고 비판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한일정상회담을 앞둔 지난 19일 일본의 언론 인터뷰에서 위안부 합의 등과 관련 “국가로서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냈다. 이는 기존 합의를 유지하겠다는 취지라는 해석이 나왔다.

/양재희 기자 heestory@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5777300788366006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2일 02:3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