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불균형 이렇게 심했나…전남 필수의료인력 서울 10%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 광주 0.36명, 전남 0.29명 서울 3.02명
심장혈관 흉부외과 광주·전남 0명…“수가 인상·적자 보전 등 필요”
2025년 08월 21일(목) 20:10
광주·전남의 필수의료 전문의 수가 서울의 10% 수준에 불과하며, 특히 심장혈관 흉부외과 전문의는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클립아트코리아>
“지역의 필수의료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분만 담당 의사는 심각한 수준이다. 심지어 ‘관련 의사들을 수입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자조 섞인 말이 나올 정도이다.” 광주지역 대학병원의 한 교수의 지역 필수의료 현황에 대한 촌평이다.

의료분야의 지역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의 필수의료 전문의(인구 1000명당) 수가 서울의 1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심장혈관 흉부외과 전문의는 서울이 0.04명인데 비해 광주·전남은 0명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뢰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8개 진료과 전문의 수가 광주 0.36명, 전남 0.29명으로, 가장 많은 서울(3.02명)에 비해 광주는 12%, 전남은 9.6% 수준에 그쳤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비교하면 광주는 7위, 전남 13위로 중하위권으로 뒤쳐졌으며, 특히 광주는 7개 특·광역시 중 서울·부산(0.81명)·대구(0.59명)·인천(0.55명)에 이어 5위에 그쳤다.

이번 자료는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8개 필수진료과 전문의 수를 지역 인구와 비교한 것이다.

필수의료 전문의 수를 수도권과 비수도권 평균으로 비교하면 수도권이 1.86명으로 비수도권(0.46명)의 4배에 달했다.

또 이번 연구에서 심장혈관흉부외과 전문의 경우, 광주·전남은 울산·강원·충북·충남·전북·제주·세종과 함께 0명으로 조사돼 수도권(서울 0.04명, 경기 0.02명)과 극심한 차이를 보였다. 고위험 산모 등 위급환자가 많은 산부인과는 광주·전남 모두 0.02명으로 서울(0.18명)의 9분의 1 수준이었으며, 특히 광주는 7개 특·광역시 중 다섯번째에 그쳤다.

이 밖에 응급의학과와 신경외과 경우도 서울(0.06명, 0.08명)에 비해 광주·전남 0.01명으로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같이 필수 의료의 지역 불균형은 광주·전남지역 환자의 역외 유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의료원의 2023년도 입원환자 자료에 따르면 광주 환자 42만7318명 중 5.89%(서울 4.63%, 경기 1.26%), 전남 68만2346명 중 9.21%(서울 6.53%, 경기 2.68%)가 수도권에서 진료받은 것으로 집계돼 이를 입증하고 있다.

또 최근 영암·신안·해남군 등 전남 지자체들이 필수의료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노장 의사 구하기’에 나섰지만 지원자가 없었다는 점에서도 의료 불균형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필수 의료 불균형에 대해 전문의들은 분만실·응급실·신생아실 등 필수 진료과의 경우 전문의가 부족해 신속한 처치가 안돼 치료 시기를 놓치는 의료 공백과 함께 의료진 추가 탈퇴 등의 악순환을 우려하고 있다.

김윤하 전남대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인구가 많고 경제 여건이 지방보다 수도권이 훨씬 좋은데다 수도권의 대형병원에는 전공의들이 몰려있어 업무 부담이 적은 편이다. 또 일과 생활의 균형을 통해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 젊은 의사들이 늘고 있어 경제적인 부분 뿐만 아니라 문화적 다양성이 좋은 수도권을 선호하는 것 같다”고 설명한다.

이어 김 교수는 “필수의료 수가 인상과 함께 담당 의사들에 대한 다양한 지원 혜택도 필요하다. 또 의료사고 위험성에 대한 법적 및 배상금을 전적으로 국가가 보장해 줌으로써 의료인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허탁 전남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도 “대학병원 필수진료과의 경우 부족한 의료 인력을 채우기 위해 현직 교수들이 부담을 안게 되면서 번아웃과 의료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추가 이탈을 불러오게 된다” 면서 “일부 병원에서는 해당 진료를 아예 포기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밝혔다. 또 허 교수는 “고위험·고난이도 진료에 대해 현실적인 보상을 마련해야 한다. 필수의료 분야는 공공성을 우선하기 때문에 국가가 적자를 보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승원 기자 swseo@kwangju.co.kr

이 기사는 광주일보 홈페이지(www.kwangju.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wangju.co.kr/article.php?aid=1755774600788356025
프린트 시간 : 2025년 08월 22일 01:1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