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 10주년 공연…다이토 마나베 사운드로 시작한다
<세계적 사운드 미디어 아티스트 >
‘ACT 페스티벌 2025’ 9월 5~14일
오디오비주얼 콘서트 ‘SSNN’
시청각 퍼포먼스 ‘Phase Forms’
ACC 사운드 랩 신작 퍼포먼스 ‘몸의 외연’
오민 작가 ‘동시, 렉처 퍼포먼스’ 무대 장식
마나베 미디어 설치작 ‘BPU’ 한국 첫 소개
‘ACT 페스티벌 2025’ 9월 5~14일
오디오비주얼 콘서트 ‘SSNN’
시청각 퍼포먼스 ‘Phase Forms’
ACC 사운드 랩 신작 퍼포먼스 ‘몸의 외연’
오민 작가 ‘동시, 렉처 퍼포먼스’ 무대 장식
마나베 미디어 설치작 ‘BPU’ 한국 첫 소개
![]() ‘ACT 페스티벌’이 오는 9월 5~14일 ACC에서 열린다. 개막공연을 펼칠 다이토 마나베의 지난 공연 모습. ⓒm(_ _)m |
빛과 소리, 움직임과 데이터를 넘나들며 감각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온 아티스트가 있다. 무대 위에 드론을 춤추게 하고, 인간의 뇌파를 음악으로 바꾸어내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문다.
일본을 대표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다이토 마나베. 세계적인 미디어아티스트인 그가 10년 만에 다시 광주 관객 앞에 선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오는 9월 5일부터 14일까지 여는 ‘ACT 페스티벌 2025’에서다.
예술과 창의적 기술(Art & Creative Technology)의 앞 글자를 딴 ACT 페스티벌은 융합 예술 축제로, 올해로 10회를 맞는다. 주제는 인공지능, 뇌과학, 로보틱스 등 최첨단 기술과 예술을 연계하는 ‘뉴로버스: 깨어있는 우주를 항해하며’.
다이토 마나베는 ACC 개관 10주년을 기념하는 개막 공연 무대에 선다. 지난 2015년 ACC 개관 기념 페스티벌에서 드론 24대를 활용한 퍼포먼스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10년 만에 다시 같은 무대에 선다는 의미 외에도 9월 5일(오후 8시)에는 세계 최초 오디오비주얼 콘서트 ‘SSNN(Sound Synthesis Neural Network)’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SSNN’은 인간 뇌의 신경세포가 내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소리로 바꾸어내는 실험적 공연이다. 어디로 흘러갈지 알 수 없는 음향이 즉석에서 음악으로 빚어져 관객 앞에 펼쳐진다. 이어지는 작품 ‘변환의 변형(Phase Forms)’은 앰비언트, 드럼앤베이스, 테크노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한 시청각 퍼포먼스로 한국에서는 처음 무대에 오른다.
전시 프로그램도 주목할 만하다. 마나베가 일본 소프트뱅크 연구팀, 도쿄대와 함께 만든 미디어 설치작 ‘BPU(Brain Processing Unit)’가 한국에서 처음 소개된다. 줄기세포로 배양한 쌀알 크기의 ‘소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신경세포의 반응과 연결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뇌의 청각 반응을 이미지로 바꾸거나, 심박·호흡 같은 생체 리듬을 음악적 리듬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워크1’, ‘워크2’, ‘워크3’ 세 점이 복합전시5관에서 공개된다.
다이토 마나베 외에도 다양한 국내외아티스트들이 참여해 무대를 빛낸다. ACC 창제작 랩 프로젝트 중 하나인 ‘ACC 사운드 랩’은 5일 오후 6시 신작 퍼포먼스 ‘몸의 외연: 원(遠)’을 선보인다. 네 개의 가상 공간과 8채널 입체 음향, 무용수의 움직임을 결합해 기술이 확장한 인간 감각의 경계를 탐구한다. 같은 날 오후 7시에는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한국 작가 오민이 ‘동시, 렉처 퍼포먼스’를 무대에 올린다. 강연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퍼포먼스는 영상, 텍스트, 음악을 넘나들며 ‘동시성’이라는 개념을 풀어낸다. 관객은 작품이 탄생하는 과정을 눈앞에서 지켜보는 경험을 하게 된다.
김상욱 ACC 전당장은 “세계적인 아티스트 다이토 마나베의 귀환은 ACC 10주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순간”이라며 “ACT페스티벌을 통해 관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융·복합 예술을 체험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연·전시 무료, ACC누리집 예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
일본을 대표하는 미디어 아티스트 다이토 마나베. 세계적인 미디어아티스트인 그가 10년 만에 다시 광주 관객 앞에 선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오는 9월 5일부터 14일까지 여는 ‘ACT 페스티벌 2025’에서다.
![]() 다이토 마나베 |
10년 만에 다시 같은 무대에 선다는 의미 외에도 9월 5일(오후 8시)에는 세계 최초 오디오비주얼 콘서트 ‘SSNN(Sound Synthesis Neural Network)’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이목을 끈다.
전시 프로그램도 주목할 만하다. 마나베가 일본 소프트뱅크 연구팀, 도쿄대와 함께 만든 미디어 설치작 ‘BPU(Brain Processing Unit)’가 한국에서 처음 소개된다. 줄기세포로 배양한 쌀알 크기의 ‘소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해 신경세포의 반응과 연결을 시각화한 작품이다. 뇌의 청각 반응을 이미지로 바꾸거나, 심박·호흡 같은 생체 리듬을 음악적 리듬과 결합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워크1’, ‘워크2’, ‘워크3’ 세 점이 복합전시5관에서 공개된다.
다이토 마나베 외에도 다양한 국내외아티스트들이 참여해 무대를 빛낸다. ACC 창제작 랩 프로젝트 중 하나인 ‘ACC 사운드 랩’은 5일 오후 6시 신작 퍼포먼스 ‘몸의 외연: 원(遠)’을 선보인다. 네 개의 가상 공간과 8채널 입체 음향, 무용수의 움직임을 결합해 기술이 확장한 인간 감각의 경계를 탐구한다. 같은 날 오후 7시에는 네덜란드에서 활동하는 한국 작가 오민이 ‘동시, 렉처 퍼포먼스’를 무대에 올린다. 강연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퍼포먼스는 영상, 텍스트, 음악을 넘나들며 ‘동시성’이라는 개념을 풀어낸다. 관객은 작품이 탄생하는 과정을 눈앞에서 지켜보는 경험을 하게 된다.
김상욱 ACC 전당장은 “세계적인 아티스트 다이토 마나베의 귀환은 ACC 10주년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순간”이라며 “ACT페스티벌을 통해 관객들이 쉽게 접하기 어려운 융·복합 예술을 체험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공연·전시 무료, ACC누리집 예매.
/장혜원 기자 hey1@kwangju.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