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석화기업 구조조정으로 재도약 발판
글로벌 공급 과잉과 경쟁력 약화로 위기에 처한 석유화학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의 로드맵이 나왔다. 정부는 어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갖고 민관이 합심해 석유화학 산업의 재도약을 이루겠다고 밝혔는데 핵심은 기업들의 ‘선(先) 자구 노력, 후(後) 정부 지원’이었다.
기업들이 먼저 충분한 자구 노력과 타당성 있는 사업 재편 계획을 마련하면 정부가 금융과 세제, R&D, 규제완화 등 종합지원을 패키지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0개사가 자율적으로 협의해 공급 과잉이 심한 NCC(나프타분해시설)를 최대 25%인 370만t 감축하고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연말까지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과잉 설비 감축에 그쳐서는 안되고 고부가·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할 것과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 및 고용에 영향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구조개편 3대 원칙도 제시했다.
정부가 산업 경쟁력 강화 첫 회의로 석화 산업을 선택한 것은 그만큼 위기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석화 산업은 자동차·전자·건설 등에도 영향을 미치는 기간산업으로 전후방 고용 유발 인원만 40만명에 달한다. 특히 국내 3대 석화단지 가운데 여수산단은 최대 규모로 한때 영업이익 1조원을 넘었던 여천NCC가 부도 직전까지 갈 정도로 심각해 여수 골목경제가 붕괴 위기에 놓일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가 직접 나서 기업 간 빅딜을 유도하고 구조조정을 전제로 패키지 지원 원칙을 밝힌 것은 적절한 조치라고 할 것이다. 정부는 조선업을 롤모델로 삼고 있는데 석화 산업도 구조조정과 정부의 지원을 통해 재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자구 노력이 있어야 한다. 정부도 사업 재편 과정을 단계별로 체크하면서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꼼꼼하게 점검하길 바란다.
기업들이 먼저 충분한 자구 노력과 타당성 있는 사업 재편 계획을 마련하면 정부가 금융과 세제, R&D, 규제완화 등 종합지원을 패키지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10개사가 자율적으로 협의해 공급 과잉이 심한 NCC(나프타분해시설)를 최대 25%인 370만t 감축하고 구체적 사업 재편 계획을 연말까지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단순한 과잉 설비 감축에 그쳐서는 안되고 고부가·친환경 제품으로 전환할 것과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 및 고용에 영향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구조개편 3대 원칙도 제시했다.